Page 61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61









한복의 특성과 우수성 |

형태적 아름다움 색채의 아름다움 다양한 전통 문양
한복의 짧은 저고리와 긴치마는 우리나라 사람 한복에 사용되는 색은 자연계의 색을 그대로 사 나비, 꽃, 글자 등 한복에 새겨진 문양
들의 체형을 보완해 주면서 풍성한 형태감, 율 용하거나 자연 염료로 염색하여 만들어져 자연 은 부귀와 장수를 누리고 자손이 번
동적인 곡선을 보여 준다. 과의 조화를 이루는 색채미를 지녔다. 성하기를 바라는 마음과 자연을 사
평면 재단으로 만들어지는 한복은 입으면 입체 한복의 치마와 저고리의 배색은 음양오행설을 랑하는 소박한 마음을 표현하였다.
감이 형성되는데, 입는 사람과 입는 방법에 따라 바탕으로 원색끼리 배색하였으나 옷의 비율 때
맵시가 달라지고 자연스러운 선의 흐름이 나타 문에 어색하지 않으며, 색깔과 여밈에 따라 혼인
난다. 옷감이나 바느질 법 등에 따라서도 다른 여부와 신분을 표현하였다.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활동성과 보온 효과 평면 구성과 정확한 바느질 계절에 맞는 다양한 소재
한복의 풍성한 형태는 몸을 조이지 않아 혈액 한복은 직선과 평면으로 재단하여 구조가 매우 한복은 계절에 따라 다양한 소
순환에 좋고,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아 단순하지만, 모든 옷의 시접 솔기를 꺾는 방법 재를 사용하였다. 여름에는 모
활동하기가 편하다. 또한 옷과 몸 사이에 충분 과 바느질 방법이 정확하게 정해져 있고, 깃 등 시나 삼베로, 겨울에는 비단을
한 공기층을 형성하여 보온 효과가 있고, 통풍 이 곡선으로 바느질된다. 사용하였고, 솜을 넣어 누벼서
이 잘되어 건강에 도움이 된다. 옷을 지었다.


























과학

감물 염색 효과
감물 염색은 덜 익은 떫은 감(풋감)
을 사용하여 염색하는 방법이다. 감
의 주성분인 타닌이 공기에 닿아 산
화 발색하여 적갈색을 띠면서 섬유
오방장 두루마기 혼례복 상복 에 방수와 방부의 기능이 더해진다.
첫돌이나 명절에 아이들은 색동옷이 신분이 엄격하게 지켜지던 조선 시 조선 시대에는 효를 강조한 유교의
나 오방장 두루마기를 입는데, 다섯 대에는 평민과 양반의 옷차림도 달 영향으로 부모가 돌아가시면 불효한
가지 색은 동서남북과 중앙의 방위 랐다. 그러나 혼례 때에는 평민들도 탓으로 여겨 거친 굴건과 상복을 입 한복의 아름다움과 장점을 살려 한복의
를 나타내며, 나쁜 기운을 막고 무병 궁중 옷인 활옷과 관복을 입을 수 었고 지팡이를 짚어 깊은 슬픔을 표 단점을 보완할 방법을 이야기해 보자.
장수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있었다. 현하였다.
그림 Ⅲ–6 의례용 한복

02. 한복의 우수성과 창의적인 의생활 59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