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1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61
한복의 특성과 우수성 |
형태적 아름다움 색채의 아름다움 다양한 전통 문양
한복의 짧은 저고리와 긴치마는 우리나라 사람 한복에 사용되는 색은 자연계의 색을 그대로 사 나비, 꽃, 글자 등 한복에 새겨진 문양
들의 체형을 보완해 주면서 풍성한 형태감, 율 용하거나 자연 염료로 염색하여 만들어져 자연 은 부귀와 장수를 누리고 자손이 번
동적인 곡선을 보여 준다. 과의 조화를 이루는 색채미를 지녔다. 성하기를 바라는 마음과 자연을 사
평면 재단으로 만들어지는 한복은 입으면 입체 한복의 치마와 저고리의 배색은 음양오행설을 랑하는 소박한 마음을 표현하였다.
감이 형성되는데, 입는 사람과 입는 방법에 따라 바탕으로 원색끼리 배색하였으나 옷의 비율 때
맵시가 달라지고 자연스러운 선의 흐름이 나타 문에 어색하지 않으며, 색깔과 여밈에 따라 혼인
난다. 옷감이나 바느질 법 등에 따라서도 다른 여부와 신분을 표현하였다.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활동성과 보온 효과 평면 구성과 정확한 바느질 계절에 맞는 다양한 소재
한복의 풍성한 형태는 몸을 조이지 않아 혈액 한복은 직선과 평면으로 재단하여 구조가 매우 한복은 계절에 따라 다양한 소
순환에 좋고,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아 단순하지만, 모든 옷의 시접 솔기를 꺾는 방법 재를 사용하였다. 여름에는 모
활동하기가 편하다. 또한 옷과 몸 사이에 충분 과 바느질 방법이 정확하게 정해져 있고, 깃 등 시나 삼베로, 겨울에는 비단을
한 공기층을 형성하여 보온 효과가 있고, 통풍 이 곡선으로 바느질된다. 사용하였고, 솜을 넣어 누벼서
이 잘되어 건강에 도움이 된다. 옷을 지었다.
과학
감물 염색 효과
감물 염색은 덜 익은 떫은 감(풋감)
을 사용하여 염색하는 방법이다. 감
의 주성분인 타닌이 공기에 닿아 산
화 발색하여 적갈색을 띠면서 섬유
오방장 두루마기 혼례복 상복 에 방수와 방부의 기능이 더해진다.
첫돌이나 명절에 아이들은 색동옷이 신분이 엄격하게 지켜지던 조선 시 조선 시대에는 효를 강조한 유교의
나 오방장 두루마기를 입는데, 다섯 대에는 평민과 양반의 옷차림도 달 영향으로 부모가 돌아가시면 불효한
가지 색은 동서남북과 중앙의 방위 랐다. 그러나 혼례 때에는 평민들도 탓으로 여겨 거친 굴건과 상복을 입 한복의 아름다움과 장점을 살려 한복의
를 나타내며, 나쁜 기운을 막고 무병 궁중 옷인 활옷과 관복을 입을 수 었고 지팡이를 짚어 깊은 슬픔을 표 단점을 보완할 방법을 이야기해 보자.
장수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있었다. 현하였다.
그림 Ⅲ–6 의례용 한복
02. 한복의 우수성과 창의적인 의생활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