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5 고등학교 마케팅과 광고 교과서
P. 135
3 물류의 목적과 기능
물류의 목적
① 물류 비용의 절감 ② 물류 서비스의 향상
운송 보관 하역 포장(유통 가공) 정보 처리
운송 최적화 보관 최적화 하역 최적화 포장(유통 가공) 최적화 정보 처리 최적화
•운송비의 절감 •보관비의 절감 •하역비의 절감 •포장비의 절감 •정보 처리비의 절감
•운송 서비스의 향상 •보관 서비스의 향상 •하역 서비스의 향상 •포장 서비스의 향상 • 정보 처리 서비스의 향상
[그림 Ⅲ-28] 물류의 목적과 기능
(1) 물류의 목적
기업들은 치열한 시장 경쟁 속에서 매출 증대나 원가 절감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 7R
• Right commodity - 적절한 상품
운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물류 합리화를 추구한다.
• Right quantity - 적정한 수량
• Right quality - 적절한 품질
① 물류비 절감을 통한 이익 창출: 물류비를 절감하여 영업 이익을 증대시키면 영
• Right time - 적절한 시기
업 이익이 증대된 만큼 매출액 증대 효과가 나타난다. • Right price - 적정한 가격
• Right impression - 좋은 인상
② 마케팅 활동의 지원: 합리적인 재고의 보유와 효율적인 운송 시스템 운영으로 • Right place - 원하는 장소
유통 경로를 합리화 하며, 7R이나 3S1L 원칙 등을 활용한 정시 배송 적절한 물 3S1L
1. Speedy - 신속하게
류 서비스를 통하여 마케팅 활동을 지원한다. 2. Safety - 안전하게
3. Surely - 정확하게
4. Low - 저렴하게
(2) 물류의 기능
물류의 기능은 물자 유통 기능과 이를 지원하는 정보 유통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 Ⅲ-7] 물류의 기능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수송 수단을 이용하여 재화를 특정 장소로 이동하
수송 기능
는 것
보관 기능 재화를 물리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하는 것
물자
유통 하역 기능 물품을 다른 운송 수단으로 옮겨 싣는 것 하나 알기
더
기능 물품을 수송하거나 보관할 때 가치와 상태를 보호하기 위하여 적절한 재료, 우리나라 정보 유통 기능
포장 기능
용기 등을 물품에 가하는 기술 및 물품에 가한 상태 우리나라는 국가 물류 통합 정보망
을 구축하고 화물의 수송 수요와
유통 가공 기능 상표 붙이기, 정찰 가격 붙이기 등 유통 과정에서 가해지는 작업 화물 수송 수단의 운행 상황을 종
합하여 화물 수송을 효율적으로 처
정보 전신, 전화, 우편, 인터넷, SNS 등 주요 산업용 통신의 기본 시설 및 기본 시 리할 수 있도록 물류 정보를 제공
통신 기초 시설
유통 설에 부과되는 활동 하는 화물 정보 공유 시스템(CVO)
을 구축하였다.
기능 정보 전달 기능 메시지 및 메시지 담당자에 의한 정보의 공간적 전달 및 정보 통신의 유통 가공
3. 유통 전략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