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고등학교 미술 지도서
P. 17










참고 자료




1. 판화의 종류

(1) 볼록 판화
① 특징: 선명하고 강하며, 단순한 흑백의 대비 효과와 조각칼의
특징이 잘 나타난다.
② 종류: 목판화, 고무 판화, 지판화, 직판화 등
㉠ 목판화, 고무 판화: 판 위에 직접 스케치하거나, 원화를 베낀
밑그림을 판 위에 뒤집어 붙이고 조각칼로 새긴 후 판에 잉
크를 칠하여 찍어 내는 판화이다.
㉡ 지판화: 두꺼운 종이 위에 여러 종류의 종이를 붙여 찍어 내
는 판화이다.
㉢ 직판화: 나무 판재 위에 못, 철사, 핀 등을 놓고 망치로 두드 박수지(학생 작품) 바다 바닥(드라이포인트/21×29cm)
려 그 자국을 찍어 내는 판화이다. 프로타주와 같이 요철이
있는 대상의 표면 위에 종이를 올려놓고 문질러 찍어 내기 (3) 평판화
도 하고, 신체의 일부나 손바닥 등 물체 자체를 직접 찍기도 ① 특징: 판에 요철을 만들지 않고 물과 기름의 반발 원리를 이용
한다. 하여 표현한다. 부드럽고 자유로우며, 붓과 크레용의 터치와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어 회화적인 느낌이 든다.
② 종류: 석판화, 모노타이프, 마블링, 데칼코마니 등
㉠ 석판화: 물과 기름의 반발 작용을 이용한 판화로 선과 명암
의 변화와 회화적 느낌을 낼 수 있다.
㉡ 모노타이프: 한 장밖에 찍을 수 없는 판화로 판에 물감을 바
르고 펜이나 송곳 등으로 그림을 그린 후 종이를 덮어 찍어
낸다.
③ 제작 과정
㉠ 석판화: 판에 해먹이나 유성 크레용으로 그림 그리기 → 아
라비아 고무액 바르기 → 물을 바른 후 롤러로 잉크 칠하기
→ 프레스로 찍어 내기
키르히너(Kirchner, Ernst Ludwig/독일/1880~1938) 세 무희의 행진
(목판화/26x20.3cm/1910년 작)


(2) 오목 판화
① 특징: 동판이나 아연판에 강철 침으로 직접 새기거나 화학적으
로 부식시켜 오목하게 파진 곳에 잉크를 채우고 프레스로 찍어
내는 판화이다. 예리한 선과 섬세하고 정교한 표현이 가능하다.
② 종류: 에칭(세밀하고 정교한 표현이 가능하며 지폐를 찍을 때 사
용됨), 드라이포인트(에칭과 비슷하나 질산액에 부식시키는 과
정이 없으며 농담 표현이 가능함) 등
③ 제작 과정
㉠ 에칭: 동판이나 아연 판에 그라운드 니스 바르기 → 철침으
로 그림 새기기 → 질산액에 넣어서 부식시키기 → 방식제 고흐(Gogh,Vincent Van/1853~1890/ 무하(Mucha, Alphonse/체코/1860~
네덜란드) 손으로 얼굴을 감싸고 있는 1939) 모나코 몬테카를로 광고 포스터
닦아 내고 판 전체에 잉크
노인(석판화/50.1×34.2cm/1882년 작) (석판화/110×76㎝/1897년 작)
바르기 → 판면의 잉크를 닦
아 내고 프레스로 찍어 내기
(4) 공판화
㉡ 드라이포인트: 판에 철침으로
① 특징: 판의 구멍을 통해 찍히며, 그림의 좌우가 바뀌지 않는다.
그림 그리기 → 판 전체에 잉
등사판의 원리를 이용하여, 잉크가 대상에 직접 묻어 가장 선명
크 바르기 → 판의 잉크를 닦
하게 찍히는 판화이다.
아 내고 프레스로 찍어 내기
② 종류: 스텐실, 실크 스크린 등
㉠ 스텐실: 두꺼운 종이 위에 밑그림을 그려 오린 다음, 판 밑에
뒤러(Dürer, Albrecht/독일/1471~1528) 연구 중인
찍을 종이를 놓고 물감을 뿌리거나 스펀지 등으로 물감을
성 제롬(인그레이빙/25x19cm/1514년 작)

3. 평면의 특징을 살려 | 97





고등 미술지도서-3단원.indd 97 2017-12-20 오후 4:26:42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