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고등학교 미술 지도서
P. 12












쉴 때는 팔레트에 분무기로 물을 뿌리고 비닐로 덮어 둔다. ② 서양: 인물화의 배경으로 풍경화가 그려지다가 17세기 네덜란
③ 파스텔화: 손가락이나 헝겊 등으로 문질러 질감 표현을 하며, 드 화가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그려졌다. 18세기 말경 영국의
완성 후에는 정착액을 뿌려 보관한다. 터너, 컨스터블 등은 특이한 자연 현상을 그렸고, 19세기에 이
④ 수채화: 물체의 밝은 부분부터 전체적인 색조를 파악하여 그린 르러 자연주의, 인상주의 화가들이 풍경화를 많이 그렸다.
다. 물의 양을 조절하여 겹침, 번짐, 흘림 등의 기법으로 질감 표 ③ 우리나라: 조선 시대 후기에 산수를 직접 보고 그린 진경산수화
현을 한다. 가 정선에 의해 독자적인 양식으로 나타났다.

◀최해나(학생 작품) 발 냄새(아크릴/55.5×45.5cm)












▲김하은(학생 작품) 피망(수채, 태우기/39.4×
54.1cm)


유화 물감의 탄생
유화가 널리 보급되기 이전의 미술가들은 벽에 회칠을 해서 그리는 브뤼헐(부)(Bruegel, Pieter(the Elder)/네덜란드/1525∼1569) 눈 속의 사냥꾼(나무판에 유
프레스코화와 달걀노른자를 안료에 섞어 그리는 템페라로 그림을 그렸 채/118×81cm/1565년 작) - 추운 겨울 언덕 아래로 눈 덮인 마을의 정경이 펼쳐지고, 사냥꾼
들이 눈 속에 사냥을 떠나는 모습이 보인다. 이 일상적 풍경 속에서 우리는 계절, 시간, 날씨
다. 이 재료들은 수정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미술가들에게는 숙련된 솜
의 변화를 읽어 볼 수 있다.
씨가 요구되었다. 15세기 초반에 판에이크가 템페라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든 것이 유화 물감이다. 그는 기름과 식물 추출액을 색소에 섞어, 매
(3) 원근감의 표현 방법
끄러운 액체 상태의 윤기 있는 반죽으로 만든 것이 유화 물감이 시초이
① 색채 원근법: 가까운 곳은 대상의 윤곽선이나 색채를 진하고 선
다. 유화 물감의 등장은 사실적인 표현과 정밀한 세부 묘사를 추구했던
명하게, 먼 곳은 희미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르네상스 화가들에게는 획기적인 기술 혁명이었다. 유화 물감은 마르지
② 투시 원근법: 거리에 따라 일정한 비례로 크기를 다르게 그려
않은 상태에서 다른 물감을 덧칠할 수 있고, 서서히 건조되었기 때문
서 원근감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소실점(사물의 연장선이 한
에 여유를 가지고 정성들여 자세히 그릴 수 있었다. 유화 물감의 발명
은 풍부한 색조와 세밀한 명암 표현을 점에서 만나는 곳)의 수에 따라 1점 투시, 2점 투시 등으로 나
가능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보존력이 뛰 뉜다.
어나 미술사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다 주
었다.





판에이크(동생)(Van Eyck, Jan/1395~1441/네덜
란드) 아르놀피니의 결혼(유채/82×60cm/1434
년 작) - 유화로 그린 이 작품은 지금도 변색이나 1점 투시
퇴색되지 않고 당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3. 풍경화
(1) 풍경화의 특징
① 풍경화는 지역의 특성뿐 아니라 날씨와 계절, 시간에 따라 달라
2점 투시
지는 다양한 색채와 분위기, 그리고 넓은 공간의 원근감을 표
현하기에 좋다.
(4) 풍경화의 표현
② 풍경화는 그 소재가 자연 공간에 넓게 펼쳐져 있으므로 그리고
① 주제의 선택과 화면 구성: 마음에 드는 곳을 여러 각도에서 관
자 하는 대상을 화면에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서 원근감과
찰 하고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를 생각한다.
공간감이 다르게 나타난다.
② 밑그림 그리기: 거리에 따른 원근감의 표현에 유의하여 스케치
(2) 풍경화의 역사 를 한다.
① 동양: 자연과 일치하려는 동양의 자연관에 의해 표현되었으며, ③ 채색하기: 화면의 분위기와 계절감, 원근감을 재료의 특성을 살
중국의 남북조 시대부터 산수화가 그려지기 시작하였다. 려서 표현한다.


92 | 각론





고등 미술지도서-3단원.indd 92 2017-12-20 오후 4:26:2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