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고등학교 미술 지도서
P. 11
작자 미상(조선) 책거리(종이에 채색/52.2×31cm/19
세기/조선 시대) - 학문에 대한 염원을 담아 표현한 그
림이다. 연꽃과 수박은 다산, 복숭아는 장수, 새가 연밥
을 쪼는 것은 합격을 상징한다.
세잔(Cézanne, Paul/프랑스/1839~1906) 사과가 있
는 정물(유채/68.6×92.7cm/1895~1898년 작) - 세잔
은 과일을 단순한 구 형태로 파악하였으며, 여러 시점
김건우(학생 작품) 머릿속(연필/31.5×43.5cm) - 연필을 자유롭게 사용하여 자신의 복잡한
에서 본 사물을 동시에 적용하여 화면을 구성하였다.
머릿속의 느낌을 나타내었다.
2. 정물화 자 호우브라켄이 이름지은 것이 처음이며, 프랑스의 샤르댕이
고유한 성격을 지닌 예술로 격상시켰다. 19세기 모네, 르누아르
(1) 정물화의 특징
와 같은 인상주의 화가들의 작품은 질감에서 오는 감각적인 매
① 과일, 꽃, 생활용품 등과 같이 움직이지 않는 물체들을 배열해
력에 의존했으며 회화 구성상의 주제로써 조형 이론을 실천한
놓고 그린 그림이다.
세잔의 작품으로 회화의 근대성이 전개되었다. 정물화는 새로운
② 정물화는 다양한 계층의 생활상을 담은 기록이며, 심상을 정물
형태와 더불어 20세기 예술 사조에서 특징적인 장르가 되었다.
에 담아 표현할 수 있다.
③ 소재의 선택이 자유롭고 화면 구성이 용이하며, 날씨나 계절에 (3) 정물화의 구도
영향을 받지 않고 그릴 수 있다. ① 구도를 잡을 때에는 변화, 통일, 균형의 요소가 서로 조화를 이
④ 같은 정물이라도 보는 각도와 눈높이에 따라 형태가 다르게 룰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인다. ② 소재를 선정하여 주가 되는 것과 부수적인 것, 질감이 다른 것
등을 변화와 통일, 균형 등을 생각하여 배치한다.
(2) 정물화의 역사
③ 배치한 정물을 보고 그중에서 어떤 부분을 화면에 배치하여 그
① 동양: 동양에서는 오래전부터 꽃가지와 그릇 등을 소재로 한
릴 것인지 결정한다.
기명절지화가 그려졌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민화와 병풍
④ 화면의 중앙에 주제가 오거나 두 개의 정물이 대칭이 되는 구도
그림 등에 많이 쓰였다.
가 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② 서양: 고대의 폼페이 벽화와 로마의 모자이크에서 정물화를 찾
아볼 수 있다. 처음에 정물은 인물화의 배경이나 소품 등으로 그 (4) 채색 재료로 표현한 정물화
려졌으나, 17세기 네덜란드 화가들은 독립된 주제로 정물을 그 ① 유화: 짙은 색으로 밑그림을 그리고, 어두운색부터 채색하여 나
리기 시작하였으며, 루벤스, 브뤼헐, 렘브란트 등이 대표적이다. 간다. 물감을 두껍게 바르거나 긁어내는 등 다양하고 독특한
독립된 정물화의 명칭을 가지게 된 것은 18세기 네덜란드의 학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② 아크릴화: 수채화와 유화의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아크릴 물감
은 빨리 마르기 때문에 붓을 물에 자주 담그고, 그림을 그리다가
카라바조(Caravaggio, Michelangelo Merisi da/
이탈리아/1571?~1610) 과일 바구니(유채/46×
클라에즈(Claesz, Pieter/네덜란드/1590~1661) 바니타스 정물(패널에 유채/39×61cm/
64.5cm/1596년 작)
1645년 작) - 해골은 죽음과 헛됨을 상징하고 뒤집힌 유리잔은 쏜살같이 지나가는 인생을
상징하며, 시계는 우리에게 시간이 계속 흘러가고 있다는 사실을 주지시킨다. ‘바니타스 정 르동(Redon, Odilon/프랑스/1840
물화’에서는 예술을 즐기면서도 근면하고 도덕적인 삶을 살려고 했던 당시 사람들의 교훈이 ~1916) 하얀 꽃병과 꽃(파스텔/73×
담겨 있다. 54.2cm/1916년 작)
3. 평면의 특징을 살려 | 91
고등 미술지도서-3단원.indd 91 2017-12-20 오후 4:2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