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지도서
P. 17




핵심 질문 정리하기
9. 검소하고 실용적인 조선
•전기(1392~1550년)
우리나라 미술의 특징은 무엇이며 어떻게 변화해 왔 도화서의 전문 화가와 문인화가 공존했던 시기였다. 대표
나? 적인 전문 화가로 안견이 있으며 문인 화가로는 강희안이
(☞42~43쪽 스스로 정리하기)
있다. 안견의 「몽유도원도」, 강희안의 「고사관수도」, 신사임
1. 신석기 시대(기원전 8000년경~ ) 당의 「수박과 들쥐」, 경복궁 근정전, 이상좌의 「송하보월도」,
원시 농경이 시작되고 목축에 의해 정착 생활을 하게 되 이암의 「모견도」 등이 있다.
면서 토기가 사용되었다. 유물로는 간석기, 빗살무늬토기, •중기(1550~1700년)
울주 언양읍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등이 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전쟁, 당쟁으로 불안한 사회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한국적 화풍이 유행했으며 윤두서의
2. 청동기 시대(기원전 1500년경~ )
「자화상」, 조속의 「노수서작도」, 김명국의 「달마도」, 「도산서
제사를 지내기 위한 제사 용구와 전쟁을 위한 청동 무기
원」 등의 작품과 유적이 있다.
가 대표적인 유물로 민무늬 토기, 붉은 간 토기, 농경 무늬
•후기(1700~1850년)
청동기, 비파형 동검, 청동 거울, 팔령구, 고인돌과 같은 유
우리나라의 자연을 사실대로 보고 그린 진경산수화와 귀
물들이 있다.
족과 서민들의 생활상을 그린 풍속화가 발전하였다. 정선의
3. 철기 시대(기원전 400년경~ ) 「인왕제색도」, 강세황의 「영통동구도」, 김홍도의 「고누놀이」,
고대 국가 형성기로 고조선을 거쳐 고구려, 백제, 신라의 신윤복의 「단오풍정」, 「미인도」, 변상벽의 「묘작도」, 조영석
삼국 시대로 접어들게 된다. 철로 만든 농기구와 칼, 도끼 의 「말징박기」, 김득신의 「파적도」 등의 작품이 있다.
등이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며 칠기굽다리 접시, 오리 모양 토 •말기(1850~1897년)
기, 와질토기 등의 유물이 있다. 진경산수화와 풍속화가 위축되고 추사 김정희의 남종화
가 유행했다. 김정희의 「세한도」, 장승업의 「호취도」, 이인
4. 씩씩하고 웅장한 고구려(기원전 37~668년)
문의 「강산무진도」, 「십장생도」, 남계우의 「꽃과 나비」 등
북방 유목 민족의 영향으로 씩씩하고 용맹한 기질이 드러
의 작품과 백자 철화 포도무늬 항아리, 수원 화성, 3층 책장
난 작품이 많으며 고분 벽화, 불상, 토기 등이 남아 있다. 수
등이 제작되었다.
렵도, 묘주도, 강서대묘의 사신도, 장군총, 금동 연가 칠년명
여래 입상 등의 유물이 있다. 10. 근·현대(1897~ )
서양 문물이 유입되면서 다양한 미술 양식이 전개되었다.
5. 온화하고 부드러운 백제(기원전 18~660년)
안중식의 「백악춘효」, 채용신의 「황현 초상」, 변관식의 「금
한반도 남서쪽에 자리하며 농경 민족이 가지는 부드럽고
강산 단발령」, 윤효중의 「물동이를 인 여인」, 권진규의 「지
온화한 양식의 문화를 발전시켰다. 백제 금동 대향로, 서산
원의 얼굴」, 고희동의 「정자관을 쓴 자화상」, 이중섭의 「흰
마애 여래 삼존상, 익산 미륵사지 석탑, 금제 관식, 산수무늬
소」, 허백련의 「청산유수」, 변관식의 「내금강 보덕굴」, 「정
벽돌 등의 유물이 있다.
동교회」, 김환기의 「운월」, 김종영의 「전설」, 김종영의 「자각
6. 세련되고 정교한 신라(기원전 57~676년) 상」, 박수근의 「모자」, 유영국의 「산」, 박생광의 「십장생」, 전
귀족적이고 화려한 불교 문화가 발전하였다. 동양의 가장 혁림의 「바다와 나비」 등 다양한 작품들이 있다.
오래된 별자리 관측소인 첨성대, 기마 인물모양 토기, 황남
대총 금관, 천마도 등의 유물이 있다.

7. 불교 미술의 황금기 통일 신라(676~935년) <학교생활 기록부> 기재 예시
고구려, 백제, 당의 문화를 융합하고 발전시켜 불교 미술
과목별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 <우리나라의 미술>
의 황금기를 이루어낸 통일 신라 시대에는 성덕대왕 신종,
불국사, 석가탑, 다보탑, 금동 약사여래 입상, 석굴암 등의 성명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유물이 있다. <우리나라의 미술> 수업에서 시대별 대표 작품을 적
이OO 극적으로 조사하여 우리나라 미술의 변천 과정과 시
8. 우아하고 귀족적인 고려(918~1392년) 대별 특징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작품의 통해 설명함.
고려는 호국 불교의 성격이 강했으며 부석사 무량수전과
<우리나라의 미술> 수업에서 조선 시대 회화의 시대
조사당, 수덕사 대웅전 등의 사찰 건축물과 월정사 8각 9
서OO 별 특징과 주요 작가들의 대표 작품을 조사하여 보고
층 석탑 등의 화려하고 섬세한 불탑이 세워졌다. 수월관음 서를 작성하고 변천 과정을 조리 있게 발표함.
도, 팔만대장경,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무늬 정병, 논산 관촉
<미술의 흐름> 수업에서 우리나라 문화재의 소중함과
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청자 어룡형 주전자, 이재현의 「기 그 보존을 위 문화재 지킴이 활동에 무엇이 있는지 조
마도강도」, 「주악천녀도」, 공민왕의 「천산대렵도」 등의 유물 오OO 사함. 우리 지역 문화재를 조사하고 문화재 보존 활동
이 있다. 에 적극 참여함.


2. 미술의 흐름 105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