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지도서
P. 15









등에서 섬세한 미의식을 엿볼 수 있다. 일본의 고대 문화에도 많 3. 통일 신라 시대
은 영향을 주었다. 통일 신라 시대(676~935)에는 삼국 시대의 미술을 융합하여
① 회화: 연화문 이상적인 미와 조화를 중시한 불교 미술의 발달을 가져왔다.
② 조소: 서산 마애 삼존 불상 당과 연합하여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고유의 전통문화와 고구
③ 건축: 미륵사지 석탑, 정림사지 5층 석탑 려, 백제, 당나라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융합·발전시키
④ 공예: 백제 금동 대향로, 무령왕릉 금관 장식, 산수무늬 벽돌 면서 우리나라 불교 미술 문화의 황금기를 이룩하였다. 불상을

(3) 신라 미술 위주로 한 조각은 초기부터 중기까지는 사실적으로 표현하였으
중국의 남조 미술과 불교의 영향을 늦게 받아들인 신라(기원 며 석굴암 본존상을 통해 이상화된 사실적 아름다움으로 정의할
전 57~676년)는 섬세하고 세련된 불교 문화를 발전시켰다. 신라 수 있는 통일 신라 조각 양식의 절정을 이루었다.
의 회화는 고구려와 백제의 영향을 받아 신라 고유의 회화 양식 (1) 조소: 석굴암 본존상, 십일면 관음보살상
을 구축하였다. 가야를 통합하면서 소박하고 향토미 넘치는 토
(2) 사찰: 불국사, 석굴암, 불탑(석가탑, 다보탑)
우와 토기를 비롯하여 화려하고 정교한 금관, 장신구 등의 금속
공예가 발달하였으며, 불상 조각, 첨성대 등 독창적인 유물이 삼 (3) 범종: 상원사 종, 성덕 대왕 신종, 벽돌(도깨비, 보상 당초무늬
국 중 가장 많이 남아 있다. 벽돌)
① 회화: 천마도, 기마 인물도
◀ 경주 석굴암 십일면 관음보살상(석조/높
② 조소: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이 220㎝/7세기 초/통일 신라 시대)
③ 건축: 첨성대, 천마총, 분황사 탑
④ 공예: 금 장신구, 허리띠, 금동 식기, 토우 장식 항아리

•천마총
5세기 초~6세기 말경에 축조한 신라의 대표적인 고분으
로 1973년에 발굴되었는데 장신구류 8,766점, 무기류 1,234
점, 마구류 504점, 그릇류 226점, 기타 796점으로 모두 1만
15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중 특히 관심을 끄는 것
은 금관(金冠)과 천마도장니(天馬圖障泥)이다. 금관은 지금
까지 발견된 신라 시대 금관 가운데 금판(金板)이 가장 두
꺼우며 금의 성분도 우수하다. 장니란, 말 양쪽 배에 가리
불국사(528년 건립/경상북도 경주시)
는 가리개로, 흙이나 먼지를 막는 외에 장식물로도 사용되었
다. 자작나무 껍데기를 여러 겹으로 겹쳐서 누빈 위에 하늘
4. 고려 시대
을 나는 천마를 능숙한 솜씨로 그렸는데, 지금까지 회화 자
료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던 고신라의 유일한 미술품이라는 고려 시대(918~1392년)에는 통일 신라의 불교 미술을 계승하
데 큰 의미가 있다. 이 고분의 명칭을 ‘천마총’이라고 한 것 여 불교 미술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고가의 채색과 함께 사대부
도 여기에 연유한 것이며, 지금은 이러한 것들을 볼 수 있도 의 원당을 장식했던 화려하고 정교한 불교 회화, 도자기 등에서
록 무덤 내부를 복원하여 공개하고 있다. 귀족적인 미술의 특성을 볼 수 있다. 고려 초기에는 팔만대장경
을 제작하는 등 호국 불교의 성격이 지배적이었으나 후기에는 선
종과 개인의 영혼을 비는 기복 신앙의 영향으로 화려한 불화와
◀ 신라금관(높이32㎝/신라/국보제188호/
천마총 출토/국립경주박물관 소장) 나전칠기, 상감청자, 목조 하회탈 등의 공예품들이 한국 미술의
정교하고 우아하고 완숙한 측면을 크게 부각시켰다. 고려의 회화
는 높은 수준으로 발달하였다. 궁중에는 화가 양성과 그림을 관
장하는 도화원이 설치되었다.

(1) 회화: 양류관음도(혜허), 수월관음도(서구방), 천산대렵도(공
민왕)

(2) 조소: 부석사 조소 여래 좌상, 철조 좌상

(3) 건축: 사찰(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불탑(월정사 8
각 9층 석탑, 경천사지 10층 석탑)
▲ 천마도(자작나무껍질/53×75×0.6㎝/부
분/5~6세기경/삼국 시대 신라/국보 제207 (4) 공예: 순청자, 상감 청자, 철화 청자,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무
호, 천마총 출토)
늬 정병

2. 미술의 흐름 103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