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지도서
P. 14





참고 자료



우리나라 미술 2. 삼국 시대의 미술
삼국 시대에 전래된 불교는 우리 미술 문화뿐만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끼쳤다. 고구려, 백제, 신라가 고대 국가
1. 선사 시대의 미술 로 성장하면서 조형 활동도 활발해졌을 것으로 추측되나 현재
우리 민족은 북방으로부터 남하하여 한반도에 정착한 것으로 남아 있는 유적은 고분 미술과 불교 미술로 한정되어 있다. 고분
추측되는데, 이 때문에 선사 시대 미술에는 북방의 대범하고 활 미술은 죽은 후에도 삶이 계속된다는 ‘계세적 세계관’을 바탕으
달한 대륙적인 기질과 한반도라는 지정학적 특성이 조화롭게 어 로 사후 세계를 위해 조성된 것으로, 정교하고 독특하게 고안된
우러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선사 시대 미술은 열악한 금관과 귀걸이 등 장신구류와 상형 토기 등이 조형품의 주류를
생존 조건과 삶의 결핍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주술적 목적에 토 이룬다.
대를 두고 전개되었으며, 자연에 대한 두려움과 숭배로 인해 자
(1) 고구려 미술
연물의 묘사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리고 대상물의 중요한 부분을
압록강 유역에서 일어난 고구려(기원전 37~668년)는 북방 유
강조하고 필요 없는 부분을 생략하여 요점적으로 나타내는 표현
목 민족의 기질과 고조선의 전통, 낙랑문화 등이 융합되었고, 중
기법과 기호화된 기하학적인 양식이 공존했다.
국 북조 문화의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 고대 미술의 발전에 선도
(1) 구석기 시대(75만 년~1만 년): 주먹 도끼, 자르개 등 돌을 깨뜨 적 역할을 하였다. 특히 고분 미술과 불교 미술을 중심으로 백제
려서 특별한 가공이 없이 쓰임새에 맞게 사용하였으며 동굴, 바 와 신라는 물론 일본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특히 고분 벽화에서
위 그늘 등에 거주하며 사냥을 위해 이동 생활을 하였다. 는 그 시대의 생활상과 진취적인 기상을 보여 준다.
① 회화: 기마 수렵도, 무용도, 사신도
(2) 신석기 시대(기원전 8000년~기원전 1,000년): 빗살무늬 토기, 민
② 조소: 연가 칠년명 금동 여래 입상
무늬 토기, 골각기 등 풍성한 수확과 종족의 번성을 기원하는 제
③ 건축: 장군총, 무용총
사 의식이나 실생활을 위한 미술이 발달하였다.
④ 공예: 용봉 투각 금동관
(3) 청동기 시대(기원전 10세기~기원전 4세기): 주로 무기와 장식품,
제사 의식에 사용된 제기 등이 전해지고 있다. 중국 동북지방을 •고구려 고분벽화
비롯한 북방 문화의 영향을 받아 청동검을 비롯한 청동 거울, 농 만주와 한반도 일대에서 활발히 활동하였던 고구려의 기
경 무늬 청동기 등을 만들었으며, 수렵과 사냥에서 성공과 풍요 상과 역사를 보여 준다. 세계적으로 뛰어난 우리 민족의 문
로움을 기원하는 바람을 담은 ‘반구대 암각화’로 당시의 생활을 화유산이다. 초기 고분 벽화의 대표적인 예로 357년경에 제
엿볼 수 있다. 작된 안악 3호분이 있으며 5세기 중엽에 제작된 무용총(舞

(4) 철기 시대: 철을 가지고 칼이나 도끼와 같은 무기류를 만들었 踊塚)과 각저총(角抵塚) 등 중기의 고분은 초기의 인물풍속
으며, 괭이와 낫과 같은 농기구가 제작된 것으로 보아 벼농사가 화와 함께 사신도(四神圖)가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초기에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비해 중기에는 불교적인 색채가 짙어지고 인물풍속화의 내
용이 다양해졌으며 표현법에서도 고구려적인 힘찬 움직임과
•울주 언양읍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국보 제285호 기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강서대묘(江西大墓)와 통구사
울주 안양읍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그림은 약 신총(通溝四神塚) 등 후기 고분에는 묘주의 초상과 인물풍
290여점으로 사람의 얼굴, 벌거벗은 채 서 있는 남자, 배를 속화가 없어지고 사신도 중심이 되면서 더욱 역동적이고 사
타고 고래잡이 하는 장면들을 비롯하여 당시의 주된 사냥감 실적인 경향을 보여 준다.
이었던 고래, 바다거북, 바다사자 등의 바다 동물과 호랑이,
표범, 곰, 염소, 개, 사슴, 멧돼지 등의 육지 동물이 있다. 이
들 가운데에는 덫과 그물에 걸렸거나 작살에 찔린 것, 어미
배에 바짝 붙어 다니는 새끼 고래도 표현되어 있다. 이것은
수렵 예술의 하나로 우리나라 선사 시대의 대표적인 암각화
라고 할 수 있다.
고구려 무용총의 무용도


(2) 백제 미술
백제(기원전 18~660년)는 한반도 서남쪽의 서해 연안에 자리
하면서 농경 민족 특유의 미술 문화를 꽃피웠다. 고구려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았으나, 이들 나라와는 다른 차분한 화풍을 이
루어 백제 특유의 완만하고 유연하며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독
반구대 암각화(높이 약 4m, 너비 약 8m/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특한 양식을 발전시켰다. 특히 불교 문화를 보여 주는 기와, 석탑


102 각론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