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지도서
P. 13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1995년에 불국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 의 모습에서 절제된 아름다움과 장엄한 분위기가 느껴지고 주변
문화유산으로 공동 등재되었다. 경관과 어우러져 신성한 분위기를 만든다.
해인사 장경판전(15세기/조선 시대/경상남도 합천군)
통일 신라 시대 802년에 경남 합천에 건립된 해인사 건물 중 가
탐구 활동 탑의 변천 과정 조사하기
장 오래된 건물로 고려 시대에 만들어지고 조선 세조 3년(1457), 성
종 19년(1488), 광해군 14년(1622), 인조 2년(1624)에 보수되었다. 대 지도 방법 시대별로 제작된 탑의 조형적 특징들을 조사해 보고 시
장경판을 보관하는 건물의 기능이 강조되어 장식이 적고 습도 조 대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절과 방충에 초점을 맞추어 건립되었다. 15세기 건물로 현재까지 8 ① 원각사지 10층 석탑: 조선 시대(1467년), 국보 2호
만 여장의 대장경판을 안전하게 보관할 정도로 합리적이고 과학적 ② 미륵사지 석탑: 백제 시대 국보 제11호, 목탑에서 석탑으로 이행
과정
으로 설계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③ 석가탑: 통일 신라 시대 경덕왕(751년), 국보 21호
안동 병산서원 만대루(16세기/조선 시대)
④ 감은사지 동서 3층 석탑: 통일 신라 시대 신문왕(682년), 국보 112호
사찰의 구조와는 다르게 조선 시대 서원의 구조는 밖에서 보면 폐 ⑤ 법주사 팔상전: 통일 신라 시대 최초 건축, 현재 건물은 1605년
쇄적으로 보이지만 내부에서 보면 밖의 자연과 일체되어 있다는 것을 재건, 국보 55호
느낄 수 있다. 만대란 이름은 두보의 시 중 ‘…푸른 절벽은 오후에 늦 ⑥ 분황사 모전 석탑: 신라 시대(634년), 국보 30호, 벽돌을 쌓아서
게 대할만하니…‘란 구절에서 만대(晩對)라고 명명되었다고 한다. 24 만든 최초의 석탑 양식
개의 기둥 모두 인공적으로 가공하기보다는 나무 본연의 형태를 최 정답 : ⑥-②-④-③-①-⑤
대한 유지하여 건축되었고, 다듬지 않은 주춧돌을 이용하는 등 조선 ② 미륵사지 석탑의 연도는 정확하지 않으나 목탑에서 석탑으로 이행
시대 자연과 조화를 이루려는 선비 정신이 잘 표현된 건물이다.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석탑보다 빠른 시기에 제작되었을 것
으로 판단되며 통일 신라 이전으로 판단된다.
부석사 무량수전(13세기/고려 시대/경상북도 영주시)
⑤ 법주사 팔상전은 통일 신라 시대에 건축되었지만, 주춧돌만 남아
국보 제18호이며 봉황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다. 신라 문무왕
있었고, 1605년에 재건되어 목조탑으로 남아 있다. 탑의 유래를
(661~68 1) 때 지어졌고 고려 우왕 2년(1376)에 재건되었으며 광해
보면 목탑에서 벽돌을 쌓은 모전 석탑, 석탑으로 이행되었다는 큰
군 때 새로 단청했다.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국보 제
전제에 의해 제작 시기를 추정했다. 하지만 실제로 전탑과 목탑,
15호인 봉정사 극락전과 더불어 고대 사찰 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석탑은 제작 시기가 정확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고 같은 시대에 다
건물인 무량수전은 배흘림기둥의 아름다움으로 잘 알려져 있다.
양한 장소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내용 플러스
우리나라의 건축미 41쪽
탑은 상륜부, 탑신부, 기단부로 나누어진다. 아래쪽의 가장 넓은 받침
부분을 기단부라고 하고 그 위쪽, 몸체라고 할 수 있는 탑신부의 층
다른 나라와 구별되는 우리나라 건축의 특징은 무엇일까?
수를 세어보면 몇 층의 탑인지 알 수 있다. 탑신부의 옥개석의 모양
지도 방법 엄청난 크기로 자연을 압도하거나 섬세하고 인공적인 느
낌을 주는 건축과 달리 자연과 어우러지는 우리나라 건축의 특징에 은 목조 건물의 지붕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지붕이 몇
대해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층으로 되어 있는지 세어보면 몇 층의 탑인지 알 수 있다. 우리나라
탑은 3 ·5 · 7 ·9의 홀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불교의 교리에서 나
온 사상이라기보다는 불교가 전파될 당시의 우주관과 음양오행 사상
작품 해설
에 근거한 숫자로 생각되는데, 완전한 숫자로 생각되는 3, 오행 사상
수원 화성 팔달문(1796년/조선 시대) 에서 나온 5, 북두칠성과 대우주를 상징하는 7, 끝을 의미하는 완성
정조 18년에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수원으로 옮기는 의 수인 9를 이용한 탑을 많이 제작하였다.
과정에서 짓기 시작한 성곽으로 과학적인 설계법이 돋보이는 대표
활동 점검하기
적인 유적이다. 팔달문은 모든 곳으로 통한다는 사통팔달의 의미
에서 지어졌으며 축성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보물 우리나라 탑의 시대별 특징을 알고 어떤 변천 과정을 거쳤는지 발표
제402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창덕궁 후원의 애련정(1692년 건립/조선 시대)
감상 심화 활동
1405년에 궁궐로 창건되어 조선의 역사와 함께하며 다양한 역사
의 무대가 되었다. 600년간의 기간 동안 만들어진 기암괴석과 연못, 지역별 유명한 탑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건물, 정자 등이 다양한 정원을 이루고 있고 수령이 100년 이상 된 경기도: 경천사지 10층 석탑, 남계원지 7층 석탑
나무들도 즐비하다. 서울의 도심에 여유로운 문화 공간으로 남아 강원도: 월정사 팔각 9층 석탑, 신복사지 3층 석탑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정원으로 우리나라 정원의 특징인 자연 충청도: 정림사지 5층 석탑, 법주사 팔상전, 사자빈신사지 석탑
과의 조화로움을 잘 나타내고 있다. 전라도: 미륵사지 석탑, 왕궁리 5층 석탑, 쌍봉사 대웅전, 화엄사 사
사자 3층 석탑
종묘 영년전(1421년 건립/조선 시대)
경상도: 감은사지 동·서 3층 석탑, 불국사 다보탑, 분황사 모전 석
조선 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고 있는 사당으로 유교
탑, 원원사지 3층 석탑, 나원리 5층 석탑, 창림사지 3층 석탑
를 근간으로 하는 조선의 대표적인 제례 공간이다. 낮고 넓은 지붕
2. 미술의 흐름 101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