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지도서
P. 12
건축 표현으로 본 우리나라의 미술 우리나라의 건축미
다른 나라와 구별되는 우리나라 건축의 특징은 무엇일까?
석굴암 배치도 - 석굴암의 본존불과 내부 형태의 과학적이
고 수학적인 비례미를 잘 보여 주는 배치도이다. 주실 내부 우리나라 건축은 소박하면서도 주변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것
에 조각된 본존불을 중심으로 보살상, 제자상, 역사상, 천
왕상 등의 불상이 조각되어 있으며 천장은 돔 형식의 구조 이 특징이다. 중국은 국토가 넓어 거대한 건축물이 많지만, 우리나라는 국토의
로 되어 있다. 네모형의 전실은 현실 세계를, 원형의 주실은
이상 세계를 나타낸다. 70%가 산악 지형이어서 주변의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작은 규모의 건
축물이 주로 지어졌다. 또한 건축 자재의 자연적 특성을 잘 살려 건축에 활용하
였다. 우리나라 건축에 많이 사용하는 소나무는 건조하는 과정에서 변형이 심하
기 때문에 가공이 어려워 자연적 특성을 그대로 살려 건축에 반영하였다. 이러
한 우리나라 건축의 특징은 중국의 거대한 건축물이나 일본의 섬세하고 장식적
본존불
석련대좌 수원 화성 팔달문(1796년/조선 시대) - 계획도시인 수원에 지어진 성으로,
조선 후기 토목건축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 강력한 왕도 정치를 실현하기 인 건축물과 차이가 있다.
석굴 위한 정조의 의지가 드러난 건축물이며 당시의 다양한 과학 기술이 집약되
었다.
사천왕 사천왕
문부
인왕 팔부신중 인왕 팔부신중
전실 해인사 장경판전(15세기/조선 시대/경상남도 합천군)
- 고려의 팔만대장경을 1000년 가까이 원형 그대로 보
석굴암 주실(화강석/높이 약 326㎝/통일 신라 시대) - 석굴 사원의 백미로 과학적인 정교함과 섬세한 표현 기법 관하고 있는 건축물로 내부의 습기를 조절하는 기능과
이 돋보인다. 외부의 벌레를 막는 친환경적이고 과학적인 구조로 되
어 있다.
1. 석굴암이 다른 석굴들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
2. 석굴암의 조형적 특징은 무엇일까?
석굴암은 화강암을 동굴처럼 쌓아 올려 인위적으로 만든 석굴 사원이다. 석굴암은 종교
뿐만 아니라 건축 기술, 수리, 기하학이 어우러져 불교 예술의 극치를 이루고 있어 세계적 창덕궁 후원의 애련정(1692년 건립/조선 시대) - 숙종 대에 창덕궁 후원의 종묘 영녕전(1421년 건립/조선 시대) - 조선 시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종묘의 일부 종묘 열주 -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
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자연석을 다듬어 돔을 쌓은 후에 흙으로 덮어 자연 석굴처럼 연못 애련지에 지은 정자각으로, 꾸밈이 없는 소박한 건물이 자연의 풍경과 이다. 1667년에 중건되어 17세기 중기 건축 양식을 잘 보여 주는 이 건물은 목적에 맞게 된 종묘 정전의 회랑에 기둥이 줄
잘 어우러진다.
지어 늘어선 모습이다.
구조와 장식, 색이 간결하고 장중한 느낌을 준다.
보이게 한 석굴암에서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미의식을 엿볼 수 있다. 이처럼 자연과의
해인사 장경판전 내부
조화를 추구하는 우리나라 건축물의 조형적 특징을 시대별로 살펴보자. 탐구 활동 탑의 변천 과정 조사하기 개별 활동 비교 하기
삼국 시대에 중국 건축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목탑과 전탑에서 우리나
라의 고유한 석탑으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오른쪽에 제시한 탑들을 조사하
여 시대순으로 나열해 보자.
⑥ → → → → →
① 원각사지 10층 석탑 ② 미륵사지 석탑 ③ 석가탑
1. 탑의 형태는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을까?
2. 재료의 변화가 만들어 내는 형태의 변화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3. 탑의 층수는 무엇으로 결정하였을까?
안동 병산서원 만대루(16세기/조선 시대) - 조선 시대 대표적인 유교 건축물 중의 부석사 무량수전(13세기/고려 시대/경상북도 영주시) - 고려 시대 대표적인 목조
하나로 정갈하고 뛰어난 조형미가 돋보이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건축물로 목조 건축의 형태미와 비례미를 잘 보여 주고 있다. 부석사 무량수전의 배흘림기둥 활동 점검하기 우리나라 탑의 시대별 특징을 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는가? ④ 감은사지 동서 3층 석탑 ⑤ 법주사 팔상전 ⑥ 분황사 모전 석탑
선사 시대 삼국 시대(기원전 1세기경~675년) 통일 신라 시대(676~935년) 고려 시대(918~1392년) 조선 시대(1392~1910년) 근현대(1910년 이후)
풍요와 다산의 기원 과학적 건축 불교 미술의 황금기 화려하고 섬세한 건축 자연과 조화로운 건축 새로운 건축의 탄생
고인돌 장군총 경주 첨성대 경주 불국사 안압지 월정사 팔각 구층 석탑 경복궁 근정전 창덕궁 부용정 남원 광한루원 프랑스 대사관 공간 사옥
40쪽 40 41쪽
41
고등미술_감상과비평.indb 40 2017-11-30 오후 9:54:01 고등미술_감상과비평.indb 41 2017-11-30 오후 9:54:06
좀 더 자세히 기명절지화 건축 표현으로 본 우리나라의 미술
40쪽
지도 방법 서양의 정물화와 동양의 기명절지화의 차이점과 공통점 지도 방법
이 무엇인지 발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① 시대별로 정리된 교과서 하단의 작품들을 활용하여 시대별 미술
작품들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도록 지도한다.
내용 이해 서양에서 정물화는 네덜란드, 프랑스 등지에서 독립된
②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미술 작품을 시대별로 관찰하고 조형적 특
장르로 확립되었다. 이 정물화 중 바니타스 정물화는 세상의 허무
징과 의미를 유추하도록 유도한다.
함을 뜻하는 라틴어 ‘바니타스(vanitas)’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상징
으로 세상의 허무함을 나타내기 위해 그려졌다. 다산과 풍요를 상 수업 이끌기 질문
징하는 과일, 욕망과 죽음을 상징하는 고기, 판단력과 정의를 상징 1. 석굴암이 다른 석굴들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
하는 칼, 절제를 상징하는 주전자, 여성의 부도덕을 상징하는 고양 석굴암은 인도·중국 등의 경우와 같이 천연 암벽을 뚫고
이, 인간의 죽음을 상징하는 해골 등이 주요 소재이다. 이에 비해 만들어 낸 천연 석굴이 아니라 화강암의 자연석을 다듬어
동양의 정물화인 기명절지화에 그려진 사물들은 진귀한 그릇과 함 인공적으로 축조한 한국의 대표적인 석굴 사찰로 신라인들
께 좋은 의미를 가진 과일이나 나뭇가지 등을 관념적으로 그린 그 의 뛰어난 건축미와 성숙한 조각 기법을 보여 준다.
림이다. 기명절지란 말 그대로 여러가지 그릇과 꽃, 과일 등을 섞어 2. 석굴암의 조형적 특징은 무엇일까?
그린 그림을 뜻하는 것으로 사물을 그린 것은 비슷한 점이지만 동
흥미 유발
양화의 정물이 기원하는 의미로 그려져 관념적이고 대상의 그림자
다른 종류의 석굴 사원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가 표현되지 않은 반면, 서양의 정물은 관찰을 통해 표현되기에 안
정적인 삼각형 구도를 이루는 것이 많고 입체적으로 표현된다.
이도영(한국/1884~1934)·고희동(한국/1886~1965) 기명절지
(비단에 수묵 담채/14.8×47.5㎝/1915년 작)
중국 윈강 석굴 한국 군위 삼존 석굴 인도 아잔타 석굴
전통 화법을 계승한 이도영과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인
고희동이 함께 그린 그림으로 채소와 생선, 주전자, 복숭아,
옥수수 등을 부채 형태의 화면에 그렸다. 그 위에 ‘술을 마시
작품 해설
며 시를 읊고 음식의 맛을 음미한다.’라고 이 둘의 스승인 안
중식이 글을 썼다. 왼쪽은 고희동이 사실적인 서양화의 음영 석굴암 주실(화강석/높이 약 326㎝/통일 신라 시대)
석굴암의 구조는 직사각형의 전실(前室)을 입구로 원형의 주실
법과 감각적인 색채를 살려 그렸으며, 오른쪽은 유려한 필력
으로 당대의 호평을 받은 이도영이 아름다운 담채로 표현하 (主室)이 복도 역할을 하는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360여 개의 화
강석으로 원형 주실의 천장을 과학적으로 쌓아 올린 건축법은 세
여 한 화면 안에 두 개의 화풍이 대조와 조화를 이룬다.
계에서도 유례가 없는 우수한 기술이다. 석굴암은 국보 제24호로
100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