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지도서
P. 7





자연 표현으로 본 우리나라의 미술 자연 표현의 변화와 발전 알고 싶어 요
풍경과 동물의 표현은 어떻게 변화하였을까? 조선 시대 회화의 시대별 특징과 작가
조선 초기(약 1392~1550): 도화서 화원과
정선(조선/1676~1759) 인왕제색도(종이에 수묵/79.2×138.2㎝/1751년 작) 조선 시대 이전까지 자연은 주로 인물을 표현하기 위한 배경으로 존재했었다. 조선 초 강희 문인 사대부 중심
화원 안견, 사대부 강희안
- 비가 온 뒤 안개가 피어오르는 인왕산의 모습을 그렸다. 우리 산천에 어울
리는 필법으로 실제 풍경에서 받은 감흥과 정취를 담은 진경산수화이다. 안의 「고사관수도」에서 자연은 선비가 바라보는 관조의 대상이었고, 조선 중·후기에 이르러 조선 중기(약 1550~1700): 임진왜란, 병
독자적인 작품 주제가 되어 다양한 산수화나 동물화로 표현되었다. 조선 시대는 우리나라 미 자호란 등의 전쟁과 정치·사회의 불안
김명국, 조속, 이정, 신사임당
술 역사상 회화가 가장 발달하였으며, 중국의 영향을 받아들이면서도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조선 후기(약 1700~1850): 새롭고 한국적
인 화법의 발현
화풍이 확립된 시기이다. 시인이나 학자가 그렸던 문인화, 전문 화가들의 우수한 작품, 서민의 진경산수화의 정선, 심사정, 강세황, 풍속화
삶을 소탈하게 표현한 풍속화와 민화가 발달하였다. 의 김홍도, 신윤복, 초상화의 윤두서, 영모
화의 변상벽, 무명 작가들이 그린 민화
조선 말기(약 1850~1910): 문인화의 유행
추사체 김정희와 활달한 기질의 장승업
실제 인왕산의 모습
용어 알기
1. 위 작품 속 인왕산과 오른쪽 실제 인왕산 사진의 모습은 어떻게 다른가?
진경산수화 2. 위 작품이 지닌 조형적 특징은 무엇일까? 강세황(조선/1713~1791) 영통동구도(종이에 수묵 담채/32.8×53.4
우리 주위에 존재하는 실제 경치를 직 ㎝/18세기) - 강세황이 지금의 개성인 송도 지방을 여행하면서 그린
접 관찰해서 그린 산수화로, 정선에 의해 「송도기행첩」 중의 한 점으로, 유람하며 관찰한 것을 사실대로 그린
독자적인 양식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자연 표현은 청동기 시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시작으로 고구려 무 진경산수화이다.
관념 산수화 용총의 「수렵도」, 백제의 「산수무늬 벽돌」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자연 자체를 표 강희안(조선/1419~1464) 고사관수도 조속(조선/1595~1668) 고매서
이상적인 자연의 모습을 그린 산수화 (종이에 수묵/23.4×15.7㎝/15세기) 작(종이에 수묵/100×55.5㎝/17
로 실제 자연 풍경과 거리가 있다. 현한 작품보다는 인물의 배경이나 동물의 모습에서 자연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 시대에 등장 세기)
한 산수 인물화가 조선 초기의 관념 산수화로 발전하였고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라는 사실적 특히 조선 후기에 정선은 중국의 남종화법을 우리 산천에 어울리는 필법으로 소화하여 지
화풍으로 변화하였다. 자연 표현이 가장 발달한 조선 시대를 중심으로 그 흐름을 살펴보자.
역적 특성과 우리 민족의 독특한 감수성이 잘 드러나는 진경산수화로 발전시켰다. 또한, 조선
말기로 가면서 서예와 문인화는 중국에까지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대표적인 작가인 김정희
는 외적인 묘사를 넘어 높은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수준에 이르렀으며, 장승업은 폭넓은 소재
를 다루며 짜임새 있는 구도와 힘찬 필법으로 생동감 넘치는 작품 세계를 보여 주었다.
장승업(조선/1843~1897) 호취도(종이에 수
묵 담채/135.4×55.8㎝/19세기 후반)
김정희(조선/1786~1856) 세한도(종이에 수묵/23×108.3㎝/부분/1844년 작) - 김정희가 제주도에 유배되었을 때 제자 이상적에게 그려 준 그림이다.
산수무늬 벽돌(27.9×27×4.2㎝/7세기/삼국 시대 백제) 무용총 수렵도(무용총 현실 서벽/5세기 후반/삼국 시대 고구려) - 고구려인 김정희는 발문에 ‘겨울이 되어서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라는 논어의 구절을 인용하여 어려운 상황에 놓인 자신과의 의리를
- 위쪽에는 봉황과 구름무늬를, 아래쪽에는 산수무늬 들의 사냥 장면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여기저기 뛰어다니는 동물과 지켜 준 제자에게 고마움을 표현하였다.
를 새겨 자연과 더불어 살고자 하는 소망을 담았다. 역동적인 산의 묘사가 인상적이다. 나전 칠기 큰상(조선 시대) - 학, 봉황, 복숭
아 무늬가 새겨져 있다.
선사 시대 삼국 시대(기원전 1세기경~675년) 통일 신라 시대(676~935년) 고려 시대(918~1392년) 조선 시대(1392~1910년) 근현대(1910년 이후)
풍요와 다산의 기원 삼국의 개성적인 미술 불교 미술의 황금기 귀족적인 취향 유교 사상과 실용적인 서민 문화 새로운 미술의 탄생
신라백지묵서대방 청동 은입사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천마도 광불화엄경 변상도 청자 어룡형 주전자 포류수금무늬 정병 이제현 「기마도강도」 이상좌 「송하보월도」 변상벽 「묘작도」 이인문 「강산무진도」 안중식 「백악춘효」 변관식 「금강산 단발령」 유영국 「산」 김환기 「운월」
34쪽 34 35쪽
35
고등미술_감상과비평.indb 34 2017-11-30 오후 9:53:38 고등미술_감상과비평.indb 35 2017-11-30 오후 9:53:42
작품 해설
자연 표현으로 본 우리나라의 미술 34쪽
산수무늬 벽돌(27.9×27×4.2㎝/7세기/삼국 시대 백제)
지도 방법
부여 규암면 외리의 사비 시대 절터에서 출토된 벽돌이다. 산수
① 핵심 질문과 보조 질문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교과서에 소개
무늬 벽돌에 새겨진 모습은 신선이 사는 이상적인 세계의 모습이
된 작품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호기심을 유발한다.
다. 앞으로는 개울이 흐르고 세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들은
② 시대별로 정리된 교과서 하단의 작품들을 활용하여 시대별 미술
중첩되어 있으며 하늘에는 구름이 흘러가는 풍경을 보여 주고 있
작품들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도록 지도한다.
다. 우리나라의 고대 산수화의 탄생을 알린 것으로 평가받는 이
③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미술 작품을 시대별로 관찰하고 조형적 특
징과 의미를 유추하도록 유도한다. 산수무늬 벽돌에서 춤추듯 일렁이는 봉우리의 모습은 백제 금동
대향로 뚜껑 위의 신선계의 모습과 유사하게 표현되어 있다.
수업 이끌기 질문
1. 위 작품 속 인왕산과 오른쪽 실제 인왕산 사진의 모습은 어떻게 무용총 수렵도(무용총 현실 서벽/5세기 후반/삼국 시대 고구려)
다른가? 고구려인들의 용맹하고 힘찬 기상을 보여 주는 수렵도는 무용총
2. 위 작품이 지닌 조형적 특징은 무엇일까? 의 서쪽 벽에 채색되어 지금까지 전한다. 전체 화면의 오른쪽에는
18세기에 정선이 그린 인왕산의 모습과 현재 인왕산의 모 소가 끄는 마차가 있고 왼쪽에 사냥 장면이 있다. 깃털 달린 모자
습은 사뭇 닮아 있다. 암벽의 사이사이에 우거진 숲의 모습 를 쓴 5명의 말 탄 사람이 사슴과 호랑이를 쫓으며 활시위를 당기
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을 알 수 있다. 먹과 붓으로 그린 고 있는 모습에서 생동감과 긴박함이 느껴진다. 배경은 사람과 동
한국화의 특징을 가지면서도 관찰을 통해 사실적으로 표현 물에 비해 도안처럼 단순화되어 있어 고구려인들이 산수화에는 무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 온 뒤 안개가 피어나는 인왕산
관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배경을 단순하게 표현
의 모습을 짙은 먹색과 여백을 활용해 육중하고 서정적인
함으로써 인물과 동물의 모습을 더욱 생동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감성으로 표현했다.
효과가 있다.
흥미 유발
원래 흰색의 암벽을 검게 그린 이유에 대해서는 비 온 뒤
자연 표현의 변화와 발전 35쪽
물에 젖어 검게 보였다는 설과 정선이 친하게 지냈던 이병
연이 병에 들어 생사를 오가던 시기에 함께 거닐던 인왕산
풍경과 동물의 표현은 어떻게 변화하였을까?
의 풍경을 그려 친구에게 힘을 주기 위해 흰 암벽이 아니라
지도 방법 서양보다 유독 자연 표현에 관심이 많았던 동양에서는
강인한 검은색의 바위산을 그렸다는 해석이 있다. 둘은 시
도교의 영향으로 인간을 자연 속 일부라는 개념으로 파악하려고 했
를 지어 보내면 그림을 덧붙여 그리는 정도의 친한 사이였
기에 자연에 관한 관심이 더 많았다. 이러한 자연이 작품의 배경에서
고 친구의 병환을 걱정하는 정선의 마음이 작품의 감동을 주제로 발전하여 인간의 마음을 표현하게 되는 변화 과정과 시기별
더하고 있다. 특징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미술의 흐름 95
   2   3   4   5   6   7   8   9   1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