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지도서
P. 6
작품 해설
벽송사 목장승(목조/높이 4m/조선 시대)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금동/높이 93.5㎝/7세기 초/삼국 시대) 경상남도 함양의 벽송사에 있는 목장승으로 밤나무를 조
삼국 시대 제작된 반가사유상 중 가장 아름답고 자연스러운 조 각하여 만들었다. 경상남도 민속자료 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형미를 보여 주는 작품으로 1962년에 국보 제83호로 지정되어 국 왕방울만 한 눈과 합죽이 입술, 수염의 모습에서 일반 장승이
립중앙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머리에 3면이 둥근 산 모양의 관 가지고 있는 무서운 인상보다는 익살스러우면서 순박한 표정
을 쓰고 있어 ‘삼산반가사유상’으로도 불린다. 얼굴은 둥근 편이고 을 볼 수 있다.
눈은 가늘게 뜨고 있으며, 손가락으로 턱을 살며시 괴고 있다. 얼 • 장승을 만든 이유는 무엇일까? 장승의 종류에는 돌로 만든 석장승
굴에 나타나는 자비로운 미소가 신비로우면서도 숭고한 느낌을 준 과 나무로 만든 목장승이 있으며, 장승의 기원에는 고대의 성기 숭
다. 상반신은 두 줄로 된 목걸이 외에 장식을 하지 않아 단순함을 배설, 토지나 마을의 경계설, 선돌이나 솟대 유래설 등 다양한 기원
강조하였으며, 하반신의 다리는 양감을 드러내고 옷 주름은 입체 설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지역에 따라 벅수, 벅시, 법수 등으로 불
적으로 처리하여 섬세함과 정교함을 보여준다. 일제 때 밀반출되어 리기도 했으며 나쁜 기운을 누르고 좋은 기운을 불러일으키는 용
출토지가 불분명하나 국보 제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함 도와 보호, 수호의 용도로 많이 세워졌다.
께 삼국 시대 불상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 재료에 따라 나타나는 형태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끌로 조각할 수
있는 나무에 비해 단단한 화강석은 자세하고 섬세한 형태를 만들기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석조/높이 약 18m/968년 작/고려 시대)
힘든 반면 나무보다 비와 바람, 세월에 강한 특징을 가진다. 불회사
고려 시대의 거대 석조불상으로 순진무구하고 꾸밈없는 조형 의
석장승은 뚜렷한 인상과 강한 표정이 거칠게 표현되었고, 벽송사 목
식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 삼국 시대 불상이 가지는 조형적 완결성
장승은 큰 눈과 입, 수염 등이 익살스럽게 표현되어 친근함이 느껴
이 퇴화하여 나온 조각이라는 의견이 있지만, 오히려 현대적인 측면
진다.
에서 바라보면 인간적인 면이 강조된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김우문 외 7인(고려/13세기 말~?) 수월관음도(비단에 채색/419.5× 내용 플러스
254.2㎝/1310년 작)
교과서 예시 작품 외의 다양한 장승을 찾아보고 다양성과 차이점을
삼국 시대가 불상 조각의 황금기였다면 고려 시대는 불화의 황 비교해 보도록 지도한다. 장승의 표정은 순박하고 친근한 표정에서
금기이다. 특히 수월관음도는 섬세하고 귀족적인 고려 시대의 특징 무섭고 엄한 표정까지 다양한 특징이 있다. 장승은 전문예술가들이
이 반영되어 고려 불화의 백미로 여겨진다. 전 세계에서 확인된 수 만든 것이 아니고 마을 주민들이 만든 것이기 때문에 그 지역의 전통
월관음도는 대략 50여 점이지만 우리나라에 있는 것은 대여섯 작 과 문화가 고스란히 드러나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품밖에 없다는 것에서 문화재 보존의 중요성을 느끼게 한다.
채용신(조선/1850~1941) 황현 초상(비단에 채색/120.7×72.8㎝/1911
년 작)
조선 말기 화가인 채용신의 「황현 초상」을 보면 극사실적 표현
과 섬세함을 느낄 수 있다. 조선 시대의 전통초상화 기법을 계승하
면서도 서양화의 명암법과 사진술의 영향을 받아 자신만의 독특한
표현법을 개발하였다. 황현은 1910년에 일본에 나라를 빼앗기자 그
슬픔에 스스로 독약을 먹고 목숨을 끊은 조선 말기 우국지사이다.
통영 문화동 벅수(통영) 관룡사 석장승(창영) 법동 석장승(대전)
황현의 모습에 감동을 한 채용신이 그의 사진을 보고 얼굴을 그리
고 옷과 나머지 물건들을 보충해서 그려 유학자의 풍모와 의연한 활동 점검하기
기개를 나타내었다.
시대와 지역, 재료에 따라 장승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장승의 기원과
제작 목적, 조형적 특징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탐구 활동 장승의 표현 특징 탐구하기 감상 심화 활동
지도 방법 검색 매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지역의 장승을 검색하고
장승의 기원과 목적에 대해 알아보고 다른 지역에서 비슷한 용도로
시대와 지역, 재료에 따라 달라지는 장승의 표현 특징과 그 의미를
제작된 예들을 찾아보자.
스스로 탐구하도록 지도한다.
나주 불회사 석장승(석조/높이 315㎝/17~18세기/조선 시대)
불회사로 올라가는 길 입구에 세워진 2개의 남녀 돌장승
중 하나로 남자상이다. 하원당장군, 상원주장군이라는 글자
가 새겨져 있다. 상원은 선녀를 이르는 말이고 하원은 신선,
남자의 존칭이고 주장군, 당장군은 중국의 무장들로 도교에
서 숭배하던 인물들이다. 송곳니가 삐죽 나와 있고 인상을 써
콧등의 주름져 있는 모습에서 불회사의 수호신이라는 느낌을
느낄 수 있다. 1968년 중요민속자료 11호로 지정되었다.
옥천 석탄리 선돌 홍천 북방면 화동리 솟대 러시아 바이칼 세르게
94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