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지도서
P. 5
인물 표현의 변천 과정 알고 싶어 요
2. 미술의 흐름
학습 목표 •우리나라 미술의 조형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시대별 인물 표현의 특징
우리나라의 미술 • 우리나라 미술의 변천 과정을 알고 시대별 특징을 구별할 수 있다. 우리나라 인물 표현의 시대적 특징은 무엇일까? 종교적 영향에 따른 특징: 삼국 시대와 통일
핵심 질문 우리나라 미술의 특징은 무엇이며 어떻게 변화해 왔나? 우리나라의 인물 표현은 선사 시대 암각화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이후, 불교가 전파되 신라 시대에는 불상이, 고려 시대에는 화려하
고 정교한 불화가 더욱 발달하였다. 조선 시대
면서 삼국 시대에서 통일 신라 시대에 걸쳐 많은 불상이 제작되었으며, 고려 시대에 와서는 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문인화와 초상화가 발
달하였으며, 백성들의 삶을 표현한 풍속화도
불화가 발달하였다. 반면에 ‘숭유억불’ 정책을 펼친 조선 시대에는 유교 사상을 중심으로 선 제작되었다.
비의 정신세계가 그대로 드러나는 초상화가 발전하였고, 다른 한편에서는 일상을 해학적으 재료에 따른 특징: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한
돌과 금속으로 제작된 조각 작품이 많이 남아
인물 표현으로 본 우리나라의 미술 로 표현한 풍속화가 제작되었다. 있다. 고려 시대에는 비단에 채색하는 경향이
있었고, 조선 시대에는 한지에 수묵화를 많이
그렸다.
시대적 환경과 문화에 따른 특징: 현대에 가
까워질수록 개인에 대한 관심이 작품에 반영
되었으며, 근대에 와서 일제 강점기, 6·25
전쟁 등 시대 분위기를 반영한 인물화가 제작
되었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금동/높이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석조/높이 김우문 외 7인(고려/13세기 말~?) 수월관음도(비
93.5㎝/7세기 초/삼국 시대) 약 18m/968년 작/고려 시대) 단에 채색/419.5×254.2㎝/1310년 작)
채용신(조선/1850~1941) 황현 초상(비단에 채
색/120.7×72.8㎝/1911년 작)
탐구 활동 개별 활동 정보 수집하기
장승의 표현 특징 탐구하기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화강암/높이 280㎝/7세기/삼국 시대 백제) - 불상의 온화하고 너그러운 표정 덕 윤두서(조선/1668~1715) 자화상(종이에 담채/38.5×20.5㎝
분에 ‘백제의 미소’로 알려져 있으며 빛이 비치는 방향에 따라서 다양한 표정이 나타난다. /17세기 후반) - 인물의 표정에서 성격과 연령, 감정 상태가 느 시대와 지역, 재료에 따른 장승의 조형적 특징과 상징적 용어 알기
껴지는 작품으로, 전신 사조의 효과가 잘 드러나 관람자에게 묘 장승
한 긴장감을 전달한다. 의미를 조사해 보자.
고대에 악귀를 쫓아내기 위해 마
1. 장승을 만든 의도는 무엇일까? 을 어귀에 세우는 조형물을 일컫는
용어 알기
1. 두 작품의 인물 표정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은 무엇일까? 다. 장승은 지역의 경계를 표시하
전신 사조(傳神寫照) 2. 재료에 따라 나타나는 형태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거나, 이정표 혹은 수호신 역할을
2. 두 작품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 초상화를 그릴 때 단순히 인물의 형상 하며 민간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인물의 인격과 있는 친근한 조형물이다. 남녀 한
작품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에 다양한 작품의 재료, 주제, 표현 기법 등을 분석 내면세계까지 드러내야 한다는 초상화론 쌍으로, 천하 대장군이나 상원 대
하면 각각의 시대별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우리나라 미술 작품 속 인물 표현의 변천 과정 이다. 동양에서 초상화를 그릴 때 가장 장군이라는 글이 새겨진 남상과 지
중요하게 생각하던 가치이며, 대표적으 불회사 석장승(전라남도 나주시) 벽송사 목장승(경상남도 함양군) 하 대장군이나 지하 여장군이 새겨
을 이해하고, 시기별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을 살펴보자. 로 조선 시대의 초상화에 잘 드러나 있다. 진 여상이 함께 마을의 수호신 역
활동 점검하기 시대와 지역, 재료에 따라 장승의 표현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가? 할을 하였다.
선사 시대 삼국 시대(기원전 1세기경~675년) 통일 신라 시대(676~935년) 고려 시대(918~1392년) 조선 시대(1392~1910년) 근현대(1910년 이후)
풍요와 다산의 기원 삼국의 개성적인 미술 불교 미술의 황금기 우아하고 귀족적인 취향 유교 사상과 실용적인 서민 문화 새로운 인물 표현의 탄생
토우 얼굴 금동 연가 칠년명 여래 입상 부여 군수리 금동 보살 입상 경주 황룡사지 금동 보살두 경주 석굴암 십일 면 관음보살상 서구방 「수월관음도」 김명국 「달마도」 작자 미상 「송시열 초상」 신윤복 「미인도」 이인성 「빨간 옷을 입은 소녀 」 박수근 「모자」 권진규 「지원의 얼굴」 김종영 「자각상」
32쪽 32 33쪽
33
고등미술_감상과비평.indb 32 2017-11-30 오후 9:53:27 고등미술_감상과비평.indb 33 2017-11-30 오후 9:53:32
교과서 지도 내용 및 작품 해설 작품 해설
서산 용현리 마애 삼존상(화강암/높이 280㎝/7세기/삼국 시대 백제)
우리나라의 미술 32쪽 온화하고 천진난만한 표정으로 모든 것을 포용할 것 같은 부처
의 모습이다. ‘백제의 미소’라 불리며 아기자기하고 섬세한 표현이
핵심 질문 우리나라의 미술의 특징은 무엇이며 어떻게 변화
돋보이는 조각상이다. 큰 바위의 한쪽 면에 부처상과 양옆에 보살
해 왔나?
상을 조각하여 삼존상이라 불린다. 좌측이 과거를 상징하는 보살
인물 표현으로 본 우리나라의 미술 이고 가운데는 현세불인 석가여래입상, 우측은 미래를 상징하는
미륵반가사유상이며 국보 제84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지도 방법
① 시대별로 정리된 교과서 하단의 작품들을 활용하여 시대별 미술 윤두서(조선/1668~1715) 자화상(종이에 담채/38.5×20.5㎝ /17세기
작품들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도록 지도한다. 후반)
②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미술 작품을 시대별로 관찰하고 조형적 특 윤두서는 정약용의 외할아버지로 조선 후기 문인이며 화가이다.
징과 의미를 유추하도록 유도한다. 이 그림은 우리나라 국보 제240호로 날카로운 관찰력과 뛰어난 묘
수업 이끌기 질문 사력을 보여준다. 이 자화상은 처음 발견했을 당시, 머리만 그려져
1. 두 작품의 인물 표정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은 무엇일까? 있는 파격적인 형식과 얼굴에 양감이 드러나는 서양화 기법을 연
왼쪽 작품은 온화하고 귀여우며 편안한 표정이고, 오른쪽 상시킨다는 점에서 논란의 중심이 되었다. 이후, 이 그림의 과학적
작품의 인물은 깐깐하면서도 강단이 있는 중년 남성의 엄 분석 결과 상반신이 그려져 있었으나 도포 부분이 퇴색되어 사라
격함이 느껴진다. 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 그림에서 윤두서의 눈은 자신을 대면하듯
2. 두 작품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 예리한 눈빛으로 정면을 응시하고 있으며, 수염은 바람에 날리듯
인물 표현이라는 공통점 외에 차이점이 많다. 왼쪽은 바위 한 올 한 올 가는 선으로 섬세하게 처리되었다. 이 그림은 화가의
에 직접 부조로 조각해서 표현한 작품이지만 오른쪽 작품 강한 정신세계와 기품을 느끼게 하며, 동양인의 자화상으로는 최
은 종이에 먹으로 그린 회화 작품이며 자화상으로 내면과 고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성격이 그대로 드러나는 사실적인 표현이 보인다.
흥미 유발
인물 표현의 변천 과정 33쪽
윤두서의 자화상에는 왜 얼굴만 덩그러니 그려졌을까?
2006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과학적 분석을 시도한 결과 우리나라 인물 표현의 시대적 특징은 무엇일까?
오랜 세월에 색이 바래 눈으로 잘 볼 수 없게 되었다는 것 지도 방법 시대를 대표하는 가치관인 종교와 정치의 변화에 따라
을 발견했다. 실제로 옷깃과 주름이 그려졌고 채색까지 되 인물 표현 방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 표현 재료에 따라서
어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도 표현 방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미술의 흐름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