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고등학교 미술 창작 지도서
P. 13
창작
미술과 문학의 만남 미술과 문학은 어떤 관계일까? 큐브를 이용하여 창의적인 작품 설계하기
작업실 모둠 활동 탐 색 하기 융합하기
미술은 이미지로, 문학은 문자로 작가의 생각이나 뜻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준비물
미술과 문학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동양의 선비들은 문인화에서 매체를 융합하여 표현한 작품을 탐색해 보았는가? 정보 검색용 기기, 큐브, 연필, 색연필, 종이 등
생각 다듬기
글과 시를 함께 표현함으로써 글은 뜻을 전하는 문자임과 동시에 뜻을 새기는 미술의 경계를 넘어 폭넓게 매체를 활용하여 실험할 수 있는가? 창작 도움말
•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이 있는 사물을 조사한다.
그림이라 생각하였다. 최근에는 문학 작품이 회화나 조각 이미지로 새롭게 표 생각 확장하기 • 작품을 구상할 때 브레인스토밍이나 강제 결
합법을 활용하면 좋다.
현되기도 한다. 또한, 문자는 패션의 소재로 사용되기도 하고 손 글씨 형식으로 모둠별로 큐브의 원리를 활용하여 실생활에 유용한 창의적인 작품을 계획하고 설계해 • 과학 원리를 이용하여 적용 가능한 매체(빛,
조형성이 깃든 아름다움을 표출하기도 한다. 현대에는 문자가 정보 전달 기능 한글 히읗의 웃음소리 전등(한지, 전등/2012년 작) - 웃음소리에 공
통적으로 들어가는 한글 자음 ‘ㅎ’의 조형성과 한국의 전통적인 민속 보자. 영상, 음향)를 생각해 본다.
외에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창의적 작품들로 제작되고 있다. 화를 융합하여 무드등을 디자인하였다.
작품 계획
큐브의 구조 분석하기 분석한 구조를 토대로 실용적인 작품 구상하기 구상한 작품에 적용할 매체 ※ 스타일 스케치
정확하고 세밀한 스케치로, 구조와 외관 상태를 세
선택하기 스타일 스케치로 작품 설계하기 밀히 연구해 투시 또는 투영적으로 표현하는 스케치
작품 설계 2모둠
1모둠 형태 변형: 기하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인 탁자와 의자 세트
다양한 기능: 다면체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한 다국적 멀티 큐브 콘센트
원리의 활용
예시
김정희(조선/1786~1856) 불이선란도 이동기(한국/1972~ ) 광복 69주년 포스터 쉬빙(徐冰/중국/1955~ ) 유리 같은 호수의 표면(알루미늄, 와이어/가변 설치/2004~2005년 작) - 소 이선우 외 5명(학생 공동 작품) 트랜스포머 가구(연필/39×27cm)
(수묵/55×30.6cm/19세기 중엽) - 난 (종이에 먹/2014년 작) - 손 글씨(컬리그래 로(Thoreau, Henry David/미국/1817~1862)의 산문집 일부 내용을 알루미늄과 와이어를 연결하여 김주연 외 5명(학생 공동 작품) 멀티 큐브 콘센트(색연필/39×27cm)
초 그림의 여백에 쓰인 제발에서 김정 피)를 이용한 포스터로 문자를 그림에 활용 유리 표면 같은 호수로 표현하였다. 바닥에 누워 작품을 감상하게 함으로써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의 4모둠
희의 문학적 깊이를 알 수 있다. 하였다. 변화를 꾀하였다. 3모둠 빛: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등
구조적 원리: 움직임과 역학을 이용한 큐브 연필깎이
원리의 활용
좀더
자세히
작품의 다양한 해석과 적용
예시
안평 대군의 꿈을 바탕으로 그린 안견의 「몽유도원도」는 조선 전기 작품으로 무릉도원을 아름답게 표현한
관념 산수화이다. 이 작품은 국어, 역사, 한문, 윤리와 사상, 철학 등의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여 감상할 수 있
다. 그림 이외에 안평 대군이 쓴 시와 신숙주, 정인지, 성삼문, 박팽년 등의 선비들이 쓴 그림을 찬양하는 찬문 황인수 외 5명(학생 공동 작품) 조명등(연필/39×27cm)
은 문학과 서예사에서 큰 가치를 지닌다. 그림의 제작 배경과 그림이 사라진 일화는 영화의 모티프로 활용되기 방주민 외 5명(학생 공동 작품) 큐브 연필깎이(색연필/39×27cm)
도 하였다.
성찰과 정리
◀ 안견(조선/1418~1452) 몽유도원도(비 ▲ 디지털 몽유도원도(P사/2016년 작) - 「몽유도원도」를 디지 아이디어를 내는 작업이 생각보다 힘들었어.
단에 수묵 담채/38.6×106.2cm/1447년 털로 복원한 이 영상은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보여 주면서 학생 A 모둠원들 생각이 다양해서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던 것 같아.
작) - 한자 문화권의 미에 대한 관념이 그 안에 담긴 이야기를 전달한다. 음악과 함께 계곡을 따라 학생 B 창의적인 작업을 하려면 협업이 필요하고, 발표를 통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사고를 확장할 수 있단다.
반영된 작품으로 서양의 미적 사상과도 물이 흐르고, 복숭아꽃이 바람에 흩날리는 등 영상 매체의 선생님
비교하여 감상할 수 있다. 특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였다.
나의 의견
다양한 영역과 여러 매체를 효과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구상하였는가?
이것! 알고 있어요 이 작품에 사용된 매체와 제작 원리를 알고 있나요? 활동 점검하기
작품명인 「아니마리스 우메루스(Animaris Umerus)」는 라틴어로 ‘바다의 동물’이라는 뜻이다. 얀선은 만족 보통 노력 요함
실제로 움직이는 ‘기계 생물체’라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바이오 플라스틱과 비닐 등을 재료로 전기나 평가하기 1 다양한 장르와 영역에서 융합된 사례를 찾고 이야기할 수 있는가? 만족 보통 노력 요함
화석 연료가 아닌 자연 바람을 이용하여 스스로 움직이는 ‘키네틱 아트(kinetic art)’ 작품을 제작하였다. 스스로 2 타 교과 및 다양한 영역의 원리와 매체를 활용하여 작품을 계획하고 제작할 수 있는가?
2. 융합하여 표현하기 95 95
94 94 94 Ⅴ . 연계와 융합
2017-11-29 오후 1:22:31
(책)2015 미술창작-3차 제출용.indb 95
(책)2015 미술창작-3차 제출용.indb 94 2017-11-29 오후 1:22:30
알람브라 궁전(13세기 후반/에스파냐 그라나다) 불어오는 방향에 따라 금속 튜브에서 다양한 소리가 나며, 튜브를
알람브라 궁전 안뜰을 장식하고 있는 테셀레이션 문양을 자세 통해 내부로 들어온 빛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히 살펴보면 여러 가지 도형이 맞물려 이동하는 것을 발견할 수
미술과 문학의 만남 94쪽
있는데 대표적인 도형의 이동 방법은 밀기, 돌리기, 뒤집기이며 알
람브라 궁전에는 밀기가 주로 사용되었다. 미술과 문학은 어떤 관계일까?
브네(Venet, Bernar/프랑스/1941~ ) 두 개의 금색 타원과 ‘명제 오래전부터 작가들은 미술과 문학의 이해 및 감상을 위해 상호 보완적인
X’(아크릴 물감/234×428cm/2014년 작) 표현, 차용 등의 방식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가는 숫자가 구상도 추상도 아닌 중성적인 의미를 가지기 때 지도 방법 교과서에 제시된 작품을 감상하고 문학과 문자의 다양한
문에 수학 공식의 형태를 화폭에 담았다고 전한다. 숫자와 수학 표현 형식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기호가 채워져 있는 캔버스에서 작가가 미술의 목적을 ‘아름다움
한글 히읗의 웃음소리 전등(한지, 전등/2012년 작)
이 아닌 지식에 대한 것’으로 정의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조선 시대 민속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즐거운 모습에 영감을
세퀸(Sequin, Carlo H/스위스→미국/1941~ ) 복잡하게 얽힌 4개의
받은 작품으로 한글의 모양이 과학적이면서도 훌륭한 조형성을
나비 넥타이(ABS 플라스틱, FDM 기계에 인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리기 위한 목적에서 제작되었다.
버클리의 전기 공학 및 컴퓨터 과학부 총책임자였던 작가는 컴퓨
김정희(조선/1786~1856) 불이선란도(수묵/55×30.6cm/19세기 중엽)
터 그래픽과 기하학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작가는
김정희의 불이선란도는 시·서·화 삼절로 구성되어 있다. 난초의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수학적 원리를 조각 작품에 적용하였다.
이미지와 제발의 조형적인 아름다움, 글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이
미술과 음악의 만남 93쪽
해할 때 제대로 된 감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음악과 시각 예술이 더하면 어떤 효과를 만들 수 있을까? 이동기(한국/1972~ ) 광복 69주년 포스터(종이에 먹/2014년 작)
교과서에 제시된 작품을 시각과 청각 등의 복합적 표현 요소로 분석하고 이동기 캘리그라퍼는 광복 69주년을 기념하여 많은 독립운동가
공감각적 표현의 효과와 특징을 이해한다. 들의 이름으로 대한민국 지도를 표현함으로써 문자가 주는 아름
지도 방법 작품을 감상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표현상의 다움뿐만 아니라 이들의 숭고한 정신까지 표현하고 있다.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쉬빙(徐冰/중국/1955~ ) 유리 같은 호수의 표면(알루미늄, 와이어/
제럼(Jerram, Luke/영국/1974~ ) 아이올로스-어쿠스틱 바람관(스 가변 설치/2004~2005년 작)
테인리스강/1080×235×763cm/2011년 작) 소로의 산문집 일부 내용을 알루미늄과 와이어를 연결하여 유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바람의 신의 이름을 딴 작품으로, 기 리의 표면 같은 호수로 표현하였다. 관람객이 바닥에 누워 작품을
다란 튜브가 아치 조형물에 꽂혀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바람이 감상하게 함으로써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꾀하였다.
Ⅴ. 연계와 융합 | 147
(2015)미술창작지도서(책).indb 147 2018-01-04 오전 10:2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