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 고등학교 미술 창작 지도서
P. 8
창작 작업실 88~89쪽 생각 확장하기
미술의 흐름을 관통하는 두 개의 큰 물줄기
사진을 이용한 입체 조각 작품 만들기
그리스·로마의 인간 중심 사상인 헬레니즘(Hellenism)과
지도 방법 평면 이미지를 입체 덩어리의 표면에 이어 붙이는 작업을
그리스도교 신 중심 사상인 헤브라이즘(Hebraism)은 서양
통해 직접 입체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사상을 형성해 온 대표적인 문화적 흐름이다.
내용 플러스
헬레니즘 시대의 미술은 사실적이고 육감적이며, 인체의 움
작가 고명근의 작품은 입체인 대상을 사진으로 찍어 평면으 직임을 인상적으로 표현하는 특징이 있고, 헤브라이즘은 육
로 만들고, 평면을 플라스틱 구조물에 붙여 다시 입체로 만드 신보다는 영혼과 정신에 가치를 두는 추상적인 표현 경향을
는 작업을 통해 완성된다.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은 OHP 필 가진다. 이 두 흐름을 추상과 구상으로 연결해 보면 흥미로운
름 위에 전사된 사진과 조형물이 어우러진 모습에서 현실과 비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아래 그림은 반추상적이고 주관적인 구
현실이 공존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석기 시대의 인물 표현에서 시작하여 신에게 귀속되어 인간의
육체가 가진 역동성을 표현하지 않았던 이집트 시대, 인간 육
체의 아름다움을 한껏 뽐내는 그리스 시대의 인체 표현 경향
을 순차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고명근(한국/1964~) 물의 집-1(플라스틱, 물-1(플라스틱, 필름/29×29×41cm/2010
UV프린트/218×190×109cm/2010년 작) 년 작)
연계 활동 작품에서 다양한 매체 발견하기
다양한 매체를 결합하여 제작한 작품을 검색한 뒤 어떤 매 1. 구석기 2. 이집트 3. 그리스 고전기 4.그리스 중기
체가 사용되었는지 분석해 보자. 1. 빌렌도르프의 비너스(석회석/높이 11cm/구석기 시대/오스트리아)
2. 멘카우레 왕과 왕비(회색 현무 토/B.C. 2490~2472년경/보스턴 미술관)
3. 아나비소스의 쿠로스(대리석/높이 195cm/B.C. 540~515년경)
4. 밀로의 비너스(대리석/높이 203cm/B.C. 130~100년경)
인간 신체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방식은 로마 시대에
사실적인 초상 조각의 표현으로 나타났으나, 중세 시대
다시 신 중심의 시대로 접어들게 되면서 인체 형태는 비
례나 형태미 없이 단순하게 변화하였다.
르네상스 시대에 인문주의가 부활하면서 미술 작품에
인체의 아름다움이 주목받았으나, 근현대에 세계 대전을
겪은 인간의 정신적인 충격이 예술 작품에 그대로 반영
되어 자코메티의 조소와 같이 추상적인 인체 형태로 변
가상 현실 체험 장면
화되게 된다. 결국, 세상을 바라보는 인간의 시각은 엎치
‘영상 매체와 조각’ 락뒤치락하며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시 답안
조각을 전공하고 영상 매체를 이용하는 미디어 아티스트로 활
동하고 있는 정연두 작가의 작품에서 영상 매체와 조각의 결
합을 발견할 수 있다. 2014년 플라토 미술관에서 전시한 이 작
품은 VR기기를 착용하고 로댕의 지옥문을 바라보면 실제 인
물 모델로 된 지옥문을 볼 수 있다.
자료 플러스
도서 『형상 + 사유 시리즈1: 기초 조형 Thinking』 (문찬, 김미자 외 공저) 5. 로마 시대 6. 중세 시대 7. 르네상스 8. 근현대
5. 프리마 포르타의 아우구스투스상(대리석/높이 203cm/1세기경/바티칸 미술관)
스스로 평가하기
6. 베즐레, 교회와 언덕(로마네스크 양식/부분/프랑스 베즐레)
1)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미술 작품에 7. 미켈란젤로(Michelangelo Buonarroti/이탈리아/1475~1564) 다비드(대리석/높이
어떠한 매체가 활용되었으며, 활용된 매체의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517cm/1501~1504년 작/아카데미아 미술관)
8. 자코메티(Giacometti, Alberto/스위스/1901-1966) 거대한 여인Ⅲ(청동/235x
발표할 수 있는지 파악한다.
29.5x54cm/1960년 작/리움 미술관)
2) 매체를 연계하여 새롭게 주제를 표현하였는지 평가하기 위해, 매체를
창의적으로 융합하여 신선하고 흥미로운 작품을 제작하였는지 파악 미술의 역사를 살펴보고 현대 미술의 경향을 추상과 구상의 큰 흐름
한다. 속에서 조망해 보자
142 | 각론
(2015)미술창작지도서(책).indb 142 2018-01-04 오전 10:2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