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6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146





. 청결한 의복 관리

1차시 2차시



청결한 의복 관리 1 의복 재료의 종류와 특성 ↳ 옷감의 제조
↳ 옷감의 특성
길잡이 내가 입고 있는 옷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
↳ 천연 섬유와 인조 섬유
✚ 의복 재료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 가족의 건강과 환경을 고려하여 의복을 세탁하고 보관하여 청결하게 의복을 관리할 수 있다. 의복을 오랫동안 잘 입기 위해서는 의복을 만드는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재료 Link&Think
에 적합한 관리 방법과 보관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
http://www.kofoti.or.kr
의복을 만드는 옷감은 섬유로부터 시작된다. 섬유는 실의 재료가 되는 것으로 실
을 거쳐 옷감으로 만들거나 섬유 자체를 처리하여 옷감으로 만든다. 축융성
내가 좋아하는 옷을 관리한 경험을 떠올려 보고, 옷을 관리할 때 어떤 방법이 필요할지 털섬유가 열, 압력, 습기에 의하여 엉
섬유에서 실을 거쳐 만들어지는 옷감은 만드는 방법에 따라 직물, 편성물 등으로
이야기해 보자. 키고 줄어드는 성질.
나누어진다. 섬유에서 실을 거치지 않고 직접 만들어지는 옷감으로는 펠트와 부직
포가 있다.
아끼던 옷인데
얼룩이 져 있네.
섬유에서 직접 만들어지는 옷감
어떻게 없애야 깨끗하게
입을 수 있을까?
펠트 부직포
모의 축융성을 이용하여 열과 습기, 압력을 가해 인조 섬유를 얇게 펴 놓고 열이나 접착제로 고
만든 옷감으로, 마찰에 약하고 신축성이 없다. 정시켜 만든 옷감으로, 보온성과 통기성이 좋
으나 마찰에 약하고 신축성이 없다.
그림 4-8 섬유에서 옷감이 되는 과정
실로 짠 옷감
직물은 실을 직각으로 교차시켜 짠 것이다. 옷감의 세로 방향의 날실과 가로 방향의 씨실을 직각으로 교차시키는 방법에 따라
평직, 능직, 수자직 등의 조직이 만들어진다. 편성물은 바늘이나 손을 이용해 실로 코를 만드는 것을 되풀이하여 만든다.
평직 능직 수자직 편성물
날실과 씨실이 1올씩 교차된 조직 날실과 씨실이 2올 이상 건너서 교 날실과 씨실이 4올 이상 교차된 조 부드러우며, 신축성과 보온성이
지금 나는 그래서 나는
학습 계획 이 단원에서 으로, 튼튼하고 실용적이다. 차된 조직으로, 사선 무늬가 나타 직으로, 광택과 촉감이 좋으나 마 크다.
세우기 ➊ 옷의 종류와 용도에 맞게 정리·보관할 수 있다. 예 아니요  식탁보, 셔츠류 등 난다.  데님, 진 등 찰에 약하다.  넥타이, 스카프 등  속옷, 스웨터 등
➋ 의복의 세탁과 보관 방법을 알고 있다. 예 아니요 하고 싶다. 그림 4-9 실로 짠 옷감의 종류별 특성
4. 청소년의 자기 관리
100 02. 청결한 의복 관리
101
100
101

펠트 제작 원리
[그림] 자신이 좋아하는 옷을 세탁할 때 어떻게 해야 할지 상황을 나타낸다.
이때 의복의 품질 표시를 보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의복 제품에 대한 양모 섬유를 얇게 펴서 만든 층을 뜨거운 비누 용액 또는 묽
정보를 소비자가 바르게 이해하고 의복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품 은 알칼리 용액을 첨가하여 비벼 주면, 양모의 스케일로 인한
질 표시를 하고 있다. 품질 표시에 따라 의복에 적합한 세탁 방법, 세제 종류,
축융성 때문에 압력과 마찰에 의하여 섬유가 얽혀져서 펠트가
다림질 방법 등을 선택하여 의복을 세탁할 수 있다.
만들어진다. 펠트는 보온성과 탄력성이 좋고 가장자리가 풀리지
지도상의 유의점 | 학생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옷을 어떻게 관리했는 않는 장점이 있지만, 마찰에 약하여 내구성이 약하다. 모자, 겨
지 떠올려 보고, 좋아하는 옷을 오래 입기 위해 필요한 의복 관리 방법 울철 의류, 담요, 매트 등으로 이용된다.
은 무엇일지 발표해 보도록 지도한다.
예시 옷을 깨끗하게 세탁한다. 구김을 없애기 위해 다림질을 한다. 옷감에
답안
맞는 적절한 방법으로 세탁한다. 묻어 있는 얼룩을 제거하고 세탁한다. 직물의 역사

인류가 일정한 장소에 정착하여 농경 생활을 하면서 부족 국
가를 이룬 신석기 시대부터 간단한 옷을 만들어 입기 시작하였
다. 처음의 옷감으로는 조물·편물이었으며 직물은 이보다 늦게
◆ 의복 재료의 종류와 그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가족의 건강과
학습 계획 발생되었으리라 짐작된다. 직물의 기원이 언제부터인지는 확실하
세우기 환경을 고려하여 청결하게 의복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지 않고, 다만 고고학적인 자료에 의하여 짐작할 따름이다. 현재
◆‘지금 나는’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옷을 그 종류와 용도에
맞게 정리 세탁·보관할 수 있는지 점검해 보고, 이 단원의 학습 계획을 세워 보도 까지 밝혀진 가장 오래된 유적으로는 고대 이집트의 나일강 유
록 지도한다.
역에서 발견된 아마포(BC 약 3000년), 고대 인도의 인더스강 유
역에서 발견된 면포(BC 약 3000년), 그리고 이보다 늦은 것으로
소주제 ❶과 길잡이 서 고대 중국의 황허강 유역에서 발굴된 견직물 등이 있다. 이
지도상의 유의점 | 평소 입고 있는 의복이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지 그 특성을 생 밖에 스위스의 듀엘러 호반에서 마직물(BC 약 5000년), 잉카·
각해 보도록 한다.
마야·인디언의 고대 문화 유적에서 마직물과 모직물을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선사 시대 문명의 발상지에서 고유한 토산 섬유의
한국섬유산업연합회 http://www.kofoti.or.kr 종류에 따라 제각기 다른 직물이 발생했다.

다양한 섬유와 최신 신소재 섬유, 염색 가공 기술 등에 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4. 청소년의 자기 관리 02. 청결한 의복 관리
144 145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144 2017-07-28 오후 1:00:06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