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4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144








. 청결한 의복 관리





가. 단원 개요


대단원 4. 청소년의 자기 관리 차시 계획(시간) 5차시
단원명
소단원 02. 청결한 의복 관리 교과서 관련 쪽수 100~107쪽
•의복 재료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가족의 건강과 환경을 고려하여 의복을 세탁하고 보관하여 청결하게 의복을 관리할 수 있다.
성취 기준 [9기가03-02] 의복 재료의 특성, 환경, 가족의 건강 등을 고려한 의복의 세탁과 보관을 통해 청결하게 의복을 관리한다.

의복 재료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여 의복을 청결하게 세탁하고 손질하며, 온도, 습도 조절 및 유지, 통풍, 청결한 환경 등을 갖추어 의복을 보관
성취 기준 해설
함으로써 의복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관리 방법을 실천한다.
적용하기, 탐색하기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
기능 교과 역량 총론 수준 핵심 역량 의사소통 역량
실천하기 •생활 자립 능력
•의복 재료의 특성 | 옷감의 제조 | 옷감의 특성 | 천연 섬유와 인조 섬유
학습 요소
•의복의 세탁과 보관 | 세탁 방법 | 다림질 | 의복의 보관 방법
교과 연계 및
• 중학교 사회 ‘지속 가능한 세계’ 영역의 ‘지속 가능한 환경’ 관련 성취 기준과 연계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
재구성







나. 평가 방향 이 단원은 의복 재료의 종류와 특성을 통해 가족의 건강과 환경을 고려하여 청결하게 의복을 관리
할 수 있는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과 생활 자립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은 의복 관리 방법이 의복의 수명, 가족의 건강,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비판적 사고 과정을 통해 적합한 관리 방법을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이다.
↳ ‘생활 자립 능력’은 의복 재료의 종류와 특성에 적합한 관리 방법을 스스로 적용하여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다.




평가 준거 성취 기준 [9기가03-02-00] 의복 재료의 특성, 환경, 가족의 건강 등을 고려한 의복의 세탁과 보관을 통해 청결하게 의복을 관리한다.

평가 기준 평가 방법 평가 시기
의복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 가족의 건강 등을 고려한 의복의 세탁과 보관을 통해 청결하게
상 지필형 평가
의복을 관리할 수 있다.
서술형 평가 중간고사
중 의복 재료의 특성, 환경, 가족의 건강 등을 고려한 의복의 세탁과 보관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자기 평가 기말고사
동료 평가
하 의복 재료의 특성을 고려한 세탁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지필형 평가:의복 재료의 종류와 특성을 지필로 평가한다.
•서술형 평가: 의복 관리 방법의 중요성과 실천 방법을 서술하여 평가한다.
•자기 및 동료 평가: 참여도 향상을 위한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 활동지 작성을 통해 평가에 반영한다.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수행 평가에서는 사전에 관련 평가 항목을 공시하고 이를 준거로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안내된 평가 방법 이외에도 교사의 적절한 평가 기준을 통하여 평가할 수 있다.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내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며 협력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며 협력적인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지 관찰한다.


4. 청소년의 자기 관리 02. 청결한 의복 관리
142 143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142 2017-07-28 오후 1:00:05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