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8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148





. 청결한 의복 관리

3차시 4차시



세탁 시 세제와 함께 표백제를 적당히 넣으면 살균 효과가 있고 빨래가 더욱 깨끗 ⇢ 의복의 건조 방법
2 가족의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청결한 의복 관리
↳ 세탁 방법 해진다. 그리고 세탁의 마지막 헹굼 단계에서 유연제를 첨가하면 빨랫감을 부드럽게 색이나 무늬가 햇빛을 받으면 색
↳ 다림질 하고 정전기를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다. 있는 옷, 이 변하므로 그늘
길잡이 의복을 잘 관리하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까? 나일론, 모, 견 에서 말린다.
↳ 의복의 보관
세탁을 마친 후 건조된 의복은 구겨져 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다림질을 하면 옷 편평한 곳에 뉘어
스웨터 등
⇢ 얼룩 제거 방법 의복을 깨끗하게 손질하여 입으면 보는 사람에게 단정한 인상을 줄 뿐만 아니라 의 구김을 없애거나 의복의 형태를 살릴 수 있다. 다림질은 의복에 가해지는 열, 습 편성물 말려 형태가 변하
•묻은 즉시 제거한다. 지 않도록 한다.
• 수용성, 지용성, 불용성 등 오염 종 옷을 입을 수 있는 기간도 늘어난다. 옷의 수명이 길어지면 의복 관리에 들어가는 기, 압력에 의해 효과가 달라진다. 또한 섬유에 따라 열에 대한 반응이 달라 다림질
류에 따라 방법을 선택한다.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의복 관리에 필요한 자원도 아낄 수 있다. 또한 방법도 달라지므로 반드시 취급 표시를 확인하고 다림질을 해야 한다.
옷걸이
옷걸이
옷걸이
•비비지 않고 두드려 제거한다. 95℃ 95℃ 95℃ 옷걸이 95℃ 95℃ 95℃ 옷걸이 옷걸이 옷걸이 > 물과 알칼리, 열에 강한 면이나
옷걸이
• 사용된 세제나 약품이 남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가족이 건강한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으며, 환경 95℃ 95℃ 옷걸이 옷걸이 95℃ 95℃ 95℃ 옷걸이 옷걸이 옷걸이
옷걸이 95℃ 95℃ 옷걸이 95℃ 마는 드라이클리닝을 한다. [○ / ×]
주의한다. 오염도 줄일 수 있다. 95℃ 옷걸이 물세탁 방법 건조 방법
95℃
옷걸이
30℃ 30℃ 옷걸이 옷걸이 옷걸이 95℃ 30℃ 30℃ 옷걸이 옷걸이
중성 중성 95℃ 물 온도 95℃를 표준으로 세탁기로 세
중성
중성
드라이클리닝 의복을 관리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세탁이다. 세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세 30℃ 95℃ 중성 30℃ 옷걸이 옷걸이 옷걸이 30℃ 30℃ 95℃ 중성 옷걸이 옷걸이 옷걸이에 걸어서 건조시킴.
옷걸이
중성 30℃ 탁함. 옷걸이 중성 30℃ 30℃ 옷걸이
옷걸이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기름때를 녹여 탁 전 먼지를 털고 얼룩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30℃ 중성 30℃ 30℃ 중성 옷걸이 중성 중성 손세탁 손세탁 옷걸이 옷걸이 중성 중성 30℃ 중성 손세탁 옷걸이 옷걸이
내는 방법. 30℃ 중성 손세탁 30℃ 30℃ 물 온도 30℃를 표준으로 중성 세제로 뉘어서 옷걸이
손세탁
옷걸이
95℃
뉘어서
뉘어서
30℃
손세탁
세탁 방법에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는 물세탁과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드라이클 손세탁 30℃ 30℃ 손세탁 세탁함. 뉘어서 옷걸이 옷걸이 중성 손세탁 손세탁 30℃ 손세탁 뉘어서 햇빛에 뉘어서 건조시킴.
30℃
30℃
뉘어서
중성
손세탁 30℃ 손세탁 손세탁 30℃ 중성 30℃ 뉘어서 뉘어서 30℃ 30℃ 손세탁 중성 30℃ 30℃ 뉘어서 옷걸이 뉘어서
뉘어서
과학 리닝이 있다. 물세탁에는 기계 세탁과 손세탁이 있는데, 오염이 심하거나 물에 약한 30℃ 뉘어서 30℃ 손세탁 30℃ 뉘어서 뉘어서 30℃ 손세탁 뉘어서
30℃
30℃ 손세탁 물 온도 뉘어서30℃를 표준으로 손세탁함. 옷걸이 옷걸이에 걸고 그늘에서 건조시킴.
중성
계면 활성제 옷감은 손세탁을 한다. 물과 알칼리, 열에 강한 면이나 마는 물세탁을 하고, 모나 손세탁 30℃ 뉘어서 30℃ 손세탁 뉘어서
뉘어서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물질끼리 섞 견, 형태가 변형되기 쉬운 의복은 드라이클리닝을 한다. 30℃ 물세탁은 되지 않음. 30℃ 손세탁 뉘어서 세탁 후 기계 건조가 가능함.
일 때 경계면의 표면 장력을 낮추어 안전한 다리미 사용법
드라이 드라이 30℃ 드라이 드라이 뉘어서
섞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물질이다. 드라이클리닝 방법 표백 방법 1. 품질 표시 라벨에 표시된 다리미
드라이 염소계 염소계 드라이 염소계 염소계
드라이 드라이 의 온도를 확인한 후 알맞은 온
주로 친수기와 친유기로 이루어져 비누 합성 세제 드라이 드라이 염소계 드라이 드라이 염소계 염소계
염소계
드라이 드라이 염소계 드라이 염소계 도로 다림질한다.
있어, 물과 기름을 섞어 주는 역할을 드라이 염소계 드라이클리닝을 함. 염소계 염소계 염소계 표백제를 사용할 수 있음. 2. 다림질할 때 뜨거운 열이나 수
염소계
염소계
• 특징: 찬물이나 센물에 잘 녹지 않음. 약알칼리성임. • 특징: 찬물이나 센물에 잘 녹음. 거품이 잘 생기며 세
한다. 드라이 드라이 드라이 염소계 드라이 드라이 드라이 증기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
산소계
산소계
생분해성이 좋음. 탁력이 좋음. 계면 활성제가 주성분임. 석유계 석유계 드라이 •드라이클리닝을 함. 석유계 석유계 드라이 염소계 산소계 산소계
드라이 염소계 드라이 드라이 의한다.
드라이
석유계 드라이 산소계 석유계 드라이 산소계 산소계 표백제를 사용할 수 있음.
•사용 가능 섬유: 면, 마, 레이온, 합성 섬유 등 • 사용 가능 섬유: 일반적인 섬유 석유계 드라이 산소계 염소계 석유계 드라이 드라이 산소계 염소계
산소계
드라이 드라이 석유계 •용제의 종류는 석유계에 한함. 석유계 석유계 산소계 산소계 3. 다림질하는 동안 다른 일은 하
산소계
석유계 석유계 석유계 산소계 산소계 석유계 산소계
드라이 드라이 지 않고, 다리미는 사용 후 즉시
산소계
그림 4-12 세제의 종류와 특징 드라이 석유계 드라이 드라이 드라이클리닝을 할 수 없음. 드라이 드라이 드라이 석유계 염소계 산소계 표백할 수 없음. 코드를 뽑아 남아 있는 열을 식
드라이 드라이
석유계 산소계
드라이
드라이 드라이 드라이 혀 보관한다.
석유계 드라이 산소계 석유계 드라이 드라이 산소계
짜는 방법
드라이 드라이 드라이 드라이
드라이 드라이
섬유의 종류 드라이 석유계 드라이 약하게 산소계
옷의 형태 손으로 짜는 경우는 약하게 짜고, 탈수기
약하게
약하게
약하게
드라이 드라이 약하게 짜면 안 됨.
약하게
약하게
색상 약하게 약하게 기를 사용할 때는 단시간에 짜도록 함.
약하게
약하게
약하게 약하게
약하게 약하게
드라이
약하게 다림질 방법
약하게
140~160℃
80~120℃ 140~160℃ 80~120℃ 140~160℃
80~120℃
약하게 80~120℃ 140~160℃
80~120℃ 140~160℃ 80~120℃ 140~160℃
약하게
약하게
140~160℃
80~120℃
80~120℃ 다리미 온도 80~120℃로 다림질함. 140~160℃ 다리미 온도 140~160℃로 다림질함.
80~120℃
140~160℃
140~160℃
80~120℃
섬유의 종류, 옷의 형태, 색상에 따라 세탁물을 부분적으로 오염이 심한 부분은 애벌빨래를 80~120℃ 140~160℃ 80~120℃ 140~160℃
140~160℃
80~120℃
80~120℃
140~160℃
80~120℃ 140~160℃
약하게
분류한다. 세탁물을 분류할 때 섬유 손상을 방 한다. 80~120℃ 다리미 온도 180~210℃로 다림질함. 천을 덮고 다림질함.
140~160℃
180~210℃ 180~210℃ 140~160℃
80~120℃
180~210℃
180~210℃
지하기 위해 세탁망을 사용한다. 80~120℃ 140~160℃ 180~210℃
180~210℃
180~210℃ 180~210℃ 140~160℃
80~120℃
80~120℃
140~160℃
180~210℃
180~210℃ 180~210℃
180~210℃
180~210℃ 180~210℃ 다림질할 수 없음. 180~210℃
180~210℃ 80~120℃ 140~160℃
울 180~210℃
세제 180~210℃ 그림 4-14 섬유 제품 취급 표시
일반 180~210℃
세제 180~210℃
면·마섬유 수분을 주어 높은 온도로 다린다.
견·모섬유 견은 뒤집어 중간 온도로, 모는 헝겊을 덮어 다리는 것이 안전하다.
180~210℃
의복의 소재에 따라 다르게 건조한다.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를 선택하여 본빨래 합성 섬유 물기 없이 낮은 온도에서 다린다.
를 한다. 혼방 섬유 열에 약한 섬유에 온도를 맞추어 다린다.
그림 4-13 세탁의 순서와 방법 그림 4-15 섬유의 종류와 다림질 방법
4. 청소년의 자기 관리
105
104 02. 청결한 의복 관리
104
105
부영양화 | 호수 등 폐쇄된 수역에 질소와 인 등 영양분이 들어
소주제 ❷와 길잡이
가 플랑크톤과 수초가 무성해져서 수중의 산소가 과다하게 소
지도상의 유의점 | 옷을 잘 관리하면 어떤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해 여러 측
면에서 생각해 보도록 하고, 의복 관리가 가족의 건강과 환경에도 영향을 미침을 비된다. 이에 따라 수중의 생물이 산소 부족으로 죽게 되고, 호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수가 썩어 늪으로 변하는 것을 부영양화라 한다. 과거의 합성
다양한 얼룩 제거 방법 세제에는 인산염이 포함되어 이런 문제가 발생한 사례가 있었다.
녹물 | 5~10% 정도의 수산 용액에 담근 후 세탁한다,
립스틱 | 알코올을 따뜻하게 하여 비빈 후 세탁한다. 지도상의 유의점 | 의복 재료의 특성을 알고 그에 따른 세탁 방법을 교과서
잉크 | 사염화탄소를 묻혀 두드린다. 에서 확인하도록 한다.
볼펜 | 물파스로 문질러 제거한다. 예시 물과 알칼리, 열에 강한 면이나 마는 드라이클리닝을 한다. [×]
답안
커피, 홍차 | 당분이 없는 탄산수를 묻혀 닦아 낸다.
혈액 | 미지근한 물에 담가 혈액을 제거하고, 남은 얼룩에 무즙 세탁의 원리와 조건
을 발라 두드린 후 찬물로 세탁한다. 세탁의 원리 | 물은 표면 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옷감과 때의
변색된 흰색 의류 | 레몬 조각이나 계란 껍데기를 넣어 같이 삶는다. 표면을 잘 적시지 못한다. 그러나 세제 용액은 표면 장력이 물의
반 이하로 작기 때문에 섬유와 때 사이로 침투해 섬유와 때의 결
과학
합력을 약하게 한다. 이때 때가 섬유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 계면 활성제의 원리를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파악하도록 는데, 기계적 힘을 가하면 때가 보다 쉽게 섬유로부터 분리된다.
지도한다.
세탁에 적당한 조건 | 세탁에 알맞은 세제 농도는 세제의 종류에
세탁과 환경 오염 따라 다른데, 보통 0.1% 내외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세제가
생분해성 | 대부분의 유기 화합물은 사용 후 폐기 단계에서 미 다양하기 때문에 사용 설명서에 따른다. 세탁 온도는 30~40도가
생물에 의해 분해되는데, 초기의 합성 세제는 생분해가 잘되지 적합하다. 오염이 심한 면직물은 필요에 따라 더 높은 온도에서
않는 경성 세제라서 하천이 거품으로 뒤덮이는 등 환경 오염이 삶는 것이 가능하다. 세탁 시간은 세탁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심했다. 생분해성이 좋은 여러 가지 계면 활성제가 개발되어 가 너무 오래 세탁하면 옷감이 상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세탁망
정용 합성 세제는 대부분 연성 세제에 속한다. 을 사용하면 옷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4. 청소년의 자기 관리 02. 청결한 의복 관리
146 147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146 2017-07-28 오후 1:00:31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