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5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155
2차시 3차시 4차시
2 창의적이고 친환경적인 의복 재활용품 만들기 실습 새로운 디자인으로 고쳐 입기
↳ 기초 바느질
↳ 도구의 안전한 사용법
길잡이 헌 옷이나 버리기 아까운 옷으로 어떤 재활용품을 만들 수 있을까?
재료
↳ 다양한 재활용품 제작 방법 입지 않는 헌 옷, 재단 가위, 실, 자, 쪽가위, 시침 핀, 초크, 핀 꽂이, 바늘
의복을 고쳐 입거나 재활용품을 만들려면 다양한 기초 바느질을 익히는 것이 필
요하다. 치마나 바짓단을 수선하면 길이를 조절해 입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옷감이나 레이스 등을 달아 새로운 디자인으로 꾸밀 수 있다.
•줄이고 싶은 단의 길이만큼 바지나 치마를 잘라 낸다.(단을 늘리고 싶다면 단의 시접으로 늘여 낸다.)
홈질 박음질 시침질 공그르기 [단 처리 바느질 방법]
두 번 접어 박기, 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바이어스 테이프 싸기
단
손바느질의 기본으로, 튼튼하게 옷감을 꿰매 천을 임시로 이어 붙일 옷감의 단을 처리할 때 처리하기
옷감을 이어 붙일 때 사 고 싶을 때 사용한다. 때 사용한다. 사용한다. •단 처리 바느질 방법을 이용해서 마무리하거나 단에 레이스나 다른 종류의 천을 둘러 덧대고 바느질한다.
용한다.
안전한 재봉틀 사용법
1. 선생님의 지시에 따라 재봉틀을
작동한다.
2. 재봉틀은 바늘이 빠르게 움직이 단추 달기
므로 바느질을 하다 다치지 않게
주의한다.
3. 재봉틀 부품을 함부로 만지거나
무리하게 힘을 주지 않는다.
그림 4-18 의복 재활용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바느질 방법
4. 천을 무리하게 밀어 넣어 바느질 •옷감에 덧댈 부분을 확인한다.
하지 않는다.
5. 재봉틀이 고장 나거나 재봉틀을
다루다 사고가 나면 즉시 선생 의복 재활용품을 만들 때는 도구를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익혀 다치지 않도록
님께 알린다.
조심해야 한다. 준비부터 정리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도구의 안전한 사용 방법을 익
히고 체크 리스트를 활용하여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재활용품을 제작하도록 한다.
•옷감의 망가진 부분에 덧댈 옷감을 오려 바느질한다.
바늘을 사용할 때는 골무를 사 사용하는 용구가 녹이 슬거나 잘
용하여 찔리지 않도록 유의하였 들지 않을 때는 손질하거나 교체하
는가? 여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였는가? [도움말]
덧대기
바느질을 하다가 바늘을 떨어뜨려
잃어버렸을 경우 자석을 이용하면
사용한 바늘이나 시침 핀은 개수 용구를 사용할 때는 주변 친구 쉽게 찾을 수 있다.
를 세어, 바늘 전용 보관함에 잘 넣 가 다치지 않도록 행동을 조심하
•마무리하여 완성한다.
어 두었는가? 였는가?
날카로운 가윗날에 다치지 않도 염료나 페인트를 사용할 때는
록 유의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 가 제품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보호 장
위집에 보관하였는가? 비를 착용하였는가?
그림 4-19 의복 제작 시 도구의 안전한 사용법 체크 리스트
4. 청소년의 자기 관리
111
110 03. 창의적·친환경적인 의복 재활용
110
111
바느질하기 | 바느질은 손바느질과 재봉틀을 사용할 수 있다.
소주제 ❷와 길잡이
손바느질로는 시침질, 홈질, 박음질이 많이 사용된다.
지도상의 유의점 | 옷을 재활용하여 어떤 물품으로 만들지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떠
올려 보도록 지도한다, 마무리와 평가하기 | 시침실, 실밥 등을 떼어 내고, 다림질을 한
다. 디자인이 미적 가치가 있는지, 사용이 편리한지 등을 점검한다.
바느질로 의복 및 재활용품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용구
제도 용구 | 직각자, 곡자, 커브자, 방안자, 햄라인 커브자, 자유 재봉틀
곡선자, 줄자, 룰렛, 너처, 암홀자, 축도자, 가위 등 최초의 실용적인 재봉틀은 1829년에 등장했지만, 당시의 재봉
재단 용구 | 페이퍼, 수성펜, 누룸쇠, 초크, 송곳, 재단 가위 등 사들은 재봉틀의 확산에 저항하는 모습을 보였다. 오늘날과 같
봉제 도구 | 실, 쪽가위, 뜯개칼, 골무, 바늘, 시침 핀, 핀쿠션 등 이 두 가닥의 실로 바느질을 하는 재봉틀은 1846년에 하우에 의
끝솔질 용구 | 다리미, 다리미대, 분무기, 바이어스 테이프, 지 해 발명되었는데, 그것은 앞쪽 바늘구멍에 실을 꿰는 구조를 가
퍼, 훅과 아이, 스냅 등 지고 있었다. 싱어는 하우의 재봉틀을 개량한 후 마케팅 기법과
생산 체계를 선진화하여 미국의 재봉틀 산업을 일구었다. 우리나
라의 경우에는 1877년에 재봉틀이 처음 도입되었으며, 1960년대
의복 재활용품 제작 순서
중반부터 대중화되었다.
재활용품의 디자인 정하기 | 가지고 있는 의복을 잘 살펴보고
윗실 끼우기 | 실걸이 - 프리텐셔너 - 장력 기구 - 점검용 용수
재활용할 수 있는 의복을 선택한다. 선택한 의복 재료의 특성
철 - 봉사 길잡이 - 실채기 - 봉사 길잡이 - 바늘의 순서대로 실을
및 색, 무늬를 고려해 만들고자 하는 재활용품을 디자인한다.
끼운 후 실을 길게 뒤로 빼 준다.
용구 준비하기 | 손바느질을 할 경우에는 직각자, 가위, 시침 핀,
※ 네이버지식백과
바늘, 실 등의 바느질 용구를 준비한다. 재봉틀을 사용할 경우
재봉틀 사용법을 익히고 필요한 부속품을 마련하도록 한다.
재단 및 마름질하기 | 복잡한 디자인일 경우 따로 본을 제도하
고, 간단한 디자인일 때에는 원단에 직접 모양을 그려 넣어 재단
한다. 마름질을 할 때 원단의 무늬가 어긋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청소년의 자기 관리 03. 창의적·친환경적인 의복 재활용
152 153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153 2017-07-28 오후 1:0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