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7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157










천연 염료로 염색하기
치자 염색하기 | 치자는 천연 염색 재료로 색을 천에 고착시
예쁘게 입는다고 ‘패피’는 아니다
키는 매염 과정이 없이도 색감이 비교적 잘 나오는 재료에 속
2016년 10월 20일 밤 8시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서울
한다.
패션위크 행사장에는 홍대나 가로수길에서 볼 수 있을 법
준비물 | 백색 면직물, 치자, 고무장갑, 대야
한 ‘패피(패션 피플)’들이 다 모였다. ……
실습
대학에서 영상디자인을 전공하며 패션 디자인 소모임을
1) 손질된 치자를 끓는 물에 넣고 색을 우려낸다.
하고 있다는 대학교 2학년 이하빈(20) 씨도 그들 중 한 명
2) 치자액에서 치자를 걸러 낸다.
이었다. …… 이 씨는 이곳에서 곧 열리는 ‘지속 가능 패션
3) 준비된 면직물을 10분 이상 염료액에 담가 둔다.
디자인 런웨이’(SFDN: Sustainable Fashion & Design
4) 면직물을 가볍게 짜서 말린다.
Network)를 보러 왔다. 그는 특히 서울형 사회적 기업인
5) 염색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면 색이 더욱 진해진다.
‘공공공간’의 제품에 관심이 있다고 했다. ‘공공공간’은 종로
※ 주의 사항: 치자를 끓는 물에 넣고 우려내는 등 뜨거운 물을
구 창신동 봉제 공장 노동자들의 노동권을 고민하며 협력
사용할 때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한다.
하는 의류 디자인 회사이다. 이 씨는 “업사이클링(버려지는
제품을 재활용해 새로운 제품으로 만드는 것)에 관심 많아
요. 사회 전체가 함께 만드는 패션이라는 주제에 관심 있는
지속 가능한 패션
데 공공공간 제품도 그런 것 같아요. 패션이란 게 혼자 예
패션에 있어서 지속 가능성은 ‘생산’, ‘사용’, ‘폐기’의 3단계로
쁜 옷 입는 게 전부는 아니지 않나요?”라고 말했다.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생산 단계에서의 섬유 산업은 정련·표
‘옷을 잘 입고 관심이 많은’, 동시에 ‘패션의 사회적 의미
백·염색 후 처리 가공 등 습식 공정이 많아 물 소비량이 많으며
를 고민하는’ 패피 300여 명이 자리를 채우자 런웨이 패션
폐수를 발생시킨다. 마·면과 같은 식물성 섬유의 재배 과정에서
쇼가 시작됐다. 이날 쇼에는 패스트 패션 브랜드에 대응해
는 비료·농약·살충제를 사용하고, 양모·캐시미어와 같은 동물
지속 가능한 패션을 고민하는 패션 업계 사회적 기업이 참
성 섬유의 사육 과정에서는 분뇨가 발생해 환경을 오염시킨다.
가하였다.
또한 방추성 가공에서는 발암성 물질이나 섬유 면지 등의 유해
일상생활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웨딩 의류를 선보이는
한 환경이 존재한다. 사용 단계에서는 세제에 의한 폐쇄 수역
‘대지를 위한 바느질’은 남녀 웨딩 예복을 선보였다. ‘공공
의 부영양화, 세탁·건조·다림질 과정에서의 에너지 소비가 문제
공간’은 자투리 천을 버리지 않고 소매나 카라에 덧대 활용
시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할 때 ‘환경 친화성 소재’란 에너지 보
한 작품을 선보였고, 몽골 원주민들의 자립과 산림 보호를
존, 환경 오염 감소, 인체 유해 물질 감소의 측면이 충족되어야
고민하는 캐시미어 제품을 만드는 ‘케이오에이’와 남아메리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첫째, 유기 농법 면으로, 3년 이상 화학
카의 원주민 여성들이 만드는 수공예 제품을 판매하는 ‘크
비료,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토양에서 생산한다. 둘째, 그린 코
래프트링크’ 제품도 소개됐다. …… ‘옷의 탄생부터 폐기까
튼으로, 표백하지 않고 천연 염료를 사용하며 가공할 때도 합
지의 단계’를 생각하고, ‘쓰레기를 만들지 않겠다’고 다짐하
성 화학 약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셋째, 리오셀으로, 독성이 적
자는 쇼답게 ‘우리는 삶의 조화를 입는다.’라는 글귀가 사라
은 산화아민을 용매로 사용하고 용매를 회수해 재사용함으로
지면서 패션쇼가 시작됐다. 약 20분 동안 100여 벌 이상의
써 수질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넷째, 유기농 양모로, 화학 살충
친환경 의류와 10여 점의 가방을 선보였다. ……
제를 사용하지 않은 축사에서 화학 호르몬의 사용이나 유전자
허베이 과학기술대학교에 재학 중이며 디자이너가 꿈이라
변이 과정 없이 3세대에 걸쳐 방목해 기른 양에서 얻는다. 폐기
는 중국인 윤탁일(22) 씨는 “옥수수 전분, 천연 한지 같은
단계에서는 합성 섬유의 생분해성이 매우 낮다는 점을 고려해야
친환경 재료로 만들었는데도 웨딩드레스의 커팅이 매우 아
한다. 나일론의 경우는 분해 기간이 30~40년이다. 따라서 섬유
름다웠다.”라고 쇼를 본 소감을 전했다. ……
제품에서도 ‘3R 운동’이 고려될 수 있다. 절약(Reduce) 측면에
화학 섬유로 인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친환경 웨
서는 합리적인 소비를 통해 폐기하는 섬유 제품 자체를 줄이고,
딩 의류를 만드는 ‘대지를 위한 바느질’의 남성복 디자이너
수선이나 개조를 통해 재사용(Reuse)해야 하며, 폐기물을 회수
유현철(31) 씨는 “두 달 준비해 6벌의 남성 예복을 선보였
해 섬유로 재생시키거나 재활용(Recycle)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점점 환경을 고려한 예복을 찾는

신혼부부가 늘고 있다. 이런 쇼를 통해 친환경 예복이 더
많이 알려지길 기대한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 <한겨레신문>, 2016.10.23.


4. 청소년의 자기 관리 03. 창의적·친환경적인 의복 재활용
154 155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155 2017-07-28 오후 1:00:37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