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1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221








다. 단원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
차시 단원 내용 전개 교수·학습 활동 기능·역량 자료
방법
도입 • 의 그림과 질문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고, 불편한 점을 찾고 해결하는 노력이 왜
[생각 열기]
필요한지 이야기하도록 지도한다.
[학습 계획 질의·응답
• 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지금 나는’에 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 자신의 현재 상태를
세우기]
점검하여 이 단원의 학습 계획을 세워 보도록 지도한다.
전개 • 의 질문을 통해, 생활 속 문제를 어떻게 찾고 해결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고 발
표하도록 한다.

• 생활 속 문제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찾는 방법을 설명한다.
• ppT
1~5 • 생활 속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인식에서 발명이 출발됨을 설명한다. • 인터넷
차시 • 확산적 사고 기법의 종류를 알고 모둠별로 제시된 문제를 해결한다. 자료
[소주제 ❶] • 수렴적 사고 기법의 종류를 설명한다.
강의
창의적 • 확산적 사고 기법에서 생성된 아이디어를 수렴적 사고 기법을 통해 최선의 아이디어를
모둠 학습
아이디어의 생성 선택해 본다.
•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아이디어 발상 기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활동 중심으로 수업을
적용하기
진행한다.
활용하기
탐색하기
• 을 통해, 마인드맵을 이용하여 제시된 주제에 대한 확산적 사고를 해 본다.
• 을 통해, 전선의 길이가 늘어나는 콘센트 아이디어를 pMI 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평가해 본다. 기술적 문제
해결 능력

• 의 질문을 통해, 아이디어를 잘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고 발표하도록
한다. 기술 활용
능력

• 스케치의 의미에 대해 설명한다.
[소주제 ❷] 강의
6차시 • 사시도, 투상도, 단면도에 대해 설명한다. 창의적 사고 • ppT
아이디어의 표현 실습 역량
• 를 통해, 아이디어를 평가할 때는 편리성, 안전성, 실현성, 독창성, 실용성, 경
제성 등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하며, 이를 통해 미흡한 부분을 개선하
고 보완해야 함을 설명한다.


• 창의적 아이디어의 실현 과정에 따라 주어진 문제를 해결한다.

• 자신이 생각한 아이디어를 실제로 제작해 본다.
• ppT
• 실제로 제작하면서 새로운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점을 찾아 보완할 수 있도록 지도
문제 해결 • 평가 자료
7 [체험 실천] 한다.
학습
차시 옷걸이 재활용하기 • 아이디어를 평가할 때는 편리성, 안전성, 실현성, 독창성, 실용성, 경제성 등을 평가하고
개별 학습
개선해 나간다.
• 를 활용하여 단원 학습 내용을 평가하고, 단원 학습 후 달라진 스스로의 모습을 • 평가
정리 써 보도록 지도한다. 양식지






















6. 기술과 발명, 특허와 표준 03. 창의적 아이디어의 실현
218 219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219 2017-07-28 오후 1:01:26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