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0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220








. 창의적 아이디어의 실현





가. 단원 개요



대단원 6. 기술과 발명, 특허와 표준 차시 계획(시간) 7차시
기능
소단원 03. 창의적 아이디어의 실현 교과서 관련 쪽수 168~175쪽

•생활 속 문제를 찾아 이를 해결할 아이디어를 구상할 수 있다.
학습 목표
•확산적·수렴적 사고 기법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성취 기준 [9기가05-06] 생활 속 문제를 찾아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확산적·수렴적 사고 기법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해결한다.
생활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찾아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구체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에서 학생들
성취 기준 해설
의 창의력을 계발하고 발명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갖도록 한다.

적용하기, 활용하기 •기술적 문제 해결 능력 총론 수준
기능 교과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탐색하기 •기술 활용 능력 핵심 역량

•특성 요인도 | 와이 - 와이 기법 | 확산적 사고 기법 | 수렴적 사고 기법
학습 요소
•스케치 | 도면
교과 연계 및 •중학교 음악 ‘표현’ 영역의 ‘음악의 표현 방법’ 관련 성취 기준과 연계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
재구성 •중학교 미술 ‘발상’ 영역의 ‘주제와 의도’ 관련 성취 기준과 연계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



나. 평가 방향 이 단원은 생활 속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 상황에서 다양한 창의
적 해결 방안을 찾고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기술적 문제 해결 능력 및 기술 활용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술적 문제 해결 능력’은 아이디어의 실현과 관련된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탐색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 ‘기술 활용 능력’은 창의적 아이디어의 실현을 통해 발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다.



[9기가05-06-01] 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확산적·수렴적 사고 기법을 활용하
평가 준거 성취 기준
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평가 기준 평가 방법 평가 시기
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확산적·수렴적 사고 기법 실습 평가

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자기 평가
중간고사
관찰 평가
중 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구상하여 해결할 수 있다. 기말고사
작품 평가
하 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구상할 수 있다. 태도 평가




•실습 및 평가: 옷걸이를 재활용하는 과제에 대해 학생이 직접 실습을 하고, 그 과정의 전반에 대하여 평가에 반영한다.
•관찰 평가: 문제 확인, 아이디어 탐색 및 표현, 발표의 전 과정에 대한 관찰을 토대로 평가에 반영한다.
•작품 평가: 실습의 결과로 만들어진 작품을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평가 방법 및 •태도 평가: 수업과 실습에 대한 학생의 태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평가에 반영한다.
유의 사항
창의적 아이디어의 생성에 모둠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며 협력적인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지 관찰한다.
옷걸이를 재활용하는 실습에서 사전에 평가 항목을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수업의 참여도 향상과 평가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6. 기술과 발명, 특허와 표준 03. 창의적 아이디어의 실현
218 219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218 2017-07-28 오후 1:01:26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