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P. 12












Ⅰ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이해











1 진로 교육 개관







가. 진로 교육의 추진 배경

우리나라의 진로 교육은 중학교 단계에서 자유학기제가 적용됨으로써 충분한 진로 탐색 기회를 제

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로 교육의 성과를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각급 학교별로 체계
적인 진로 교육의 틀을 구축하는 등 진로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였다.
진로 교육의 체계 확립은 국가의 인적 자원 개발 효율화를 위해서도 요구되었다. 과도한 대학 진학
및 전공 쏠림 현상에 따른 인력 수급 불균형(향후 10년간 공학 계열 대졸 인력 21만 5000명 초과 수

요, 인문·사회·사범 계열 43만 8000명 초과 공급[고용부, 2015.])을 해소하기 위하여 조기 진로 교육
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이에 따라 2012년 2월 제1차 진로 교육 종합 계획(2010~2013년)이 수
립·추진되었고, 뒤이은 「진로 교육법」 제정(2015.6.22.)에 따라 국민 개개인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 개
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 진로 교육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나. 진로 교육 추진의 성과와 한계


우리나라는 학생 발달 단계에 따른 체계적 진로 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12년 4월 초·중·일
반고·특성화고별로 ‘학교 진로 교육 목표와 성취 기준’을 마련하여 진로 교육 과정 기반을 조성하였다.
2015년 6월에는 「진로 교육법」을 제정하는 등 법적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여 진로 교육의 방향과 지

원 체제를 구축하였다. 또한 2013년에 시범 운영하고 2016년부터 전면 시행한 자유학기제를 활용, 공
공 기관 및 민간 기업의 협력 하에 다양한 진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진로 체험처 확충을 위해
정부와 민간이 연계한 자유학기제 진로 체험 협의회를 구성·운영하고, 지역에서는 자유학기·진로 체
험 지원단 및 센터를 설치하여 진로 체험처를 발굴하고 학교와의 연계를 지원하는 등 중앙 및 지방 단

위의 협력 체제를 구축한 것도 성과라 할 수 있다.
추진 과정에서 일정한 한계도 나타났다. 진로 심리 검사, 진로 체험 등이 학급 단위로 이루어짐에 따
라 학생에 대한 개별 맞춤형 진로 교육은 미흡했고, 일회적·형식적인 진로 상담 실시로 지속적인 진로
설계·준비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였다. 초·중등 교육 기관 중심의 진로 교육으로 대학생 진로 교육의

필요성도 간과되었다. 특수 교육 대상 학생, 북한 이탈 주민 학생, 다문화 학생 등 사회적 배려 대상자
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 교육 지원도 부족한 실정이다.
자유학기제 도입 이후 진로 체험 프로그램의 양적 확대에 치중함에 따라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관리
는 미흡한 편인데, 내실 있는 진로 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체험처 멘토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진로


10 총론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10 2017-07-25 오후 1:09:59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