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P. 14










1 초·중등학교 진로 교육 역량 강화

진로 교육 과정 운영 정착을 위해 진로 교육 집중 학년·학기제를 자유학기제와 연계하여 일반고 37개
교에서 우선 시범 실시한 뒤, 다음과 같이 초·중·고로 점차 확산시킬 예정이다.



2016 연구 학교 37개교(초·중·고), 시범 학교 37개교(일반고1), 협력 학교 300개교(초·중·고)




2017 시범 학교 200개교(초6·중3·일반고1), 협력 학교 700개교(초6·중3·일반고1)




2020 시범 학교 1000개교(초6·중3·일반고1), 협력 학교 2000개교(초6·중3·일반고1)



운영 모델(안)

시기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1·2·3학년, 고등학교 1학년

내용 창체 활용형, 교과 연계형
창체 활용형: 창의적 체험 활동 중 진로 활동 확대 편성
교과 연계형: 진로 교과(실과, 『진로와 직업』) 및 일반 교과 연계 진로 수업 집중 편성
- 창의적 체험 활동 주당 최소 수업 시수: 초 3시간(1~2학년 4시간), 중 3시간, 고 4시간




<표 1> 집중 학기형 수업 시간 편성·운영 예시(고 1학년)


진로 교육 집중 학기
교시
월 화 수 목 금

1~4 기본 교과
기본 교과 기본 교과 기본 교과 기본 교과
5 진로 활동
연계 창체
6 (진로 동아리)
교과 연계 교과 연계 진로 활동
『진로와 직업』
(사회: 창업) (과학: 만유인력) (진로 체험)
7
방과후 진로 활동 중심으로 학교에서 자율적 편성





1
학생 발달 단계와 진로 개발 수준에 따라 진로 심리 검사 → 진로 진학 상담 → 진로 활동을 맞춤형
으로 제공한다.

또한 교원 및 진로 교육 지원 전문 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중·고등학교에 2020년까지 진로 전담
교사를 100% 배치하고, 초등학교에는 2016년부터 우선 보직 교사로 임명 배치하며, 전문 직업인, 학부
모, 자원봉사자, 퇴직 시니어 등 지원 전문 인력을 2020년까지 3000명 이상(2015년 654명) 확보한다. 또
한 교원 양성 과정에서부터 상담 및 동아리 활동 지도 등 진로 교육 관련 교과를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1 진로 정보(인공지능 개발·서비스, 빅데 교·사대 교과목에 진로 관련 과목 신설을 검토하며, 학교 관리자의 인식 개선, 담임교사의 진로 상담,
이터 분석 등 미래 신직업 포함) 및 진
로 준비 지원 포함 신규 교원의 진로 교육 이해 및 지원 전문 인력의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를 실시할 예정이다.


12 총론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12 2017-07-25 오후 1:09:59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