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P. 19










3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핵심 역량






가. 2015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 과정 총론의 핵심 역량


2015 개정 교육 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해 교과 교육을 포함한 학교 교육 전 과정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핵심 역량은 다음과 같다.


(1) 자아 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 <그림 2> 2015 개정 교육 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

한 기초 능력과 자질을 갖추어 자기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자기 관리 역량 공동체
자주적인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
(2)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지식 역량

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식 정보 처리 역량
(3)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지식, 자기 관리 의사소통
역량 역량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 사고 역량
(4)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삶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
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향유하는 심미적 감성 역량
(5)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 지식 정보 심미적
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의사소통 처리 역량 감성 역량

역량
(6) 지역·국가·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창의적인 사람 창의적 교양 있는 사람
사고 역량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공동
체 역량

출처: 교육부, 2015.




나.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핵심 역량


총론에서 제시된 6가지 역량, 즉 자기 관리 역량, 지식 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
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구현하기 위하여 『진로와 직업』은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일
과 직업 세계 이해 역량, 진로 탐색 역량, 진로 디자인과 준비 역량의 4가지 핵심 역량을 설정하고 지

향한다.


1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 및 환경과의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역량이다. 이 역량을 갖추

게 되면 학생은 자아 존중감을 바탕으로 스스로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신의 장
단점과 능력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토대로 자신의 꿈과 비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른 효과
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어 대인 관계 능력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Ⅰ.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이해 17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17 2017-07-25 오후 1:10:00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