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P. 24
2 성취 기준
(1)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2015 성취 기준 제시 방식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에서는 중학교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객관적 이해(적성, 흥미, 성격, 가치관, 신체적 조
구분
건, 학업 성취도, 가정 환경 및 사회 환경)를 통해 진로 설계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대인 관계의 중요성에 대
성취 기준
학습 요소 해서 인지하고, 자신의 주변 사람을 존중하며 적절한 관계를 맺고 유지하기 위한 의사소통 능력 및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성취 기준 해설 사회적 역량을 기르도록 한다. 사회적 역량은 또한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중요하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성취 기준: 학생들이 『진로와 직업』 교 [9진01-01] 자신의 능력이나 특성, 강·약점 등을 존중할 수 있다.
과를 통해 배워야 할 내용과 이를 통해 [9진01-02]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직업 흥미와 적성을 탐색할 수 있다.
수업 후 할 수 있거나 할 수 있기를 기
[9진01-03] 대인 관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가족, 친구, 선생님, 이웃 등 주변 사람들과 적절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대하는 능력을 결합하여 나타낸 수업
[9진01-04] 경청, 질문, 설득 등을 상황에 맞게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활동의 기준이다.
성취 기준별로 코드 번호 부여, 즉 [9진
01-01]은 ‘학년·과목명 약어·영역 순 (가) 학습 요소
서 - 성취 기준 순서’를 나타내는 고유
번호이다. • 직업 흥미, 직업 적성, 직업 흥미를 찾아갈 수 있는 검사 도구(기법) 활용, 직업 적성을 발견할 수 있
학습 요소: 성취 기준에서 학생들이 배 는 검사 도구(기법) 활용
워야 할 학습 내용을 핵심어로 제시한
것이다. • 다양한 대인 관계 형성, 원만한 인간관계 만들기, 가족·친구·선생님·이웃 등과 의사소통하기(관계
성취 기준 해설: 제시한 성취 기준 중 맺기)
자세한 해설이 필요한 성취 기준에 대
한 부연 설명으로, 특별히 강조되어야
할 성취 기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나) 성취 기준 해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해당 • [9진01-02] 진로 탐색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학생이 가지고 있는 직업 흥미와 적성을 사전
영역의 교수·학습을 위해 제안한 방법
과 유의 사항.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 에 정확히 발견하고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직업 흥미를 찾는 과정을 통해 미래 자신이 즐거움과 책
및 유의미한 학습 경험 제공 등을 유도
하는 내용을 제시한다. 임감을 가지고 직업 생활에 열정을 기울일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직업 적성을 명확히
파악하여 직업 선택에 있어 시행착오의 과정을 줄이고 직업인으로서 능률적인 자세를 가질 수 있는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해당 영역의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제안한 방법과 유
소양을 기를 수 있다.
의 사항. 해당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다양한 평가, 특히 과정 중심 평가 • [9진01-03]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을 위하여 대인 관계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은 중학생 시
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제
절의 진로 탐색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진로 인식 과정이다. 학생 자신의 능력이나 적성, 흥
시하였다.
미 등을 발견한 이후, 사회 속에서 건전한 직업인으로 성장하기 위하여 주변 인물들과의 원활한 의
성취 기준과 교과서 구성 사소통 과정 및 관계를 맺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족, 친구, 선생님, 이웃 등 주변 사람들과의
성취 기준 중단원 소단원
[9진01-01] 1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여 장차 직업인으로서 원활한 대인 관계를 맺고 협력하는 소양을 기를 수
1 2
[9진01-02] 있다.
3
[9진01-03] 1
2
[9진01-04] 2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직업 흥미 검사, 직업 적성 검사를 위해 워크넷(www.work.go.kr), 커리어넷(www.career.go.kr) 등
을 활용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진로 심리 검사(직업 심리 검사)를 실시한다. 검사 대상은 중·고등
학생 공용 또는 중학생용·고등학생용이 구분되며, 검사 시간은 20~40분으로 도구에 따라 다르다.
• 진로 심리 검사를 실시함에 있어 사전에 충분히 학생들에게 검사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실 등을 확보한다. 검사 문항을 읽고 평소의 생각이나 행동을 바탕으로 솔직하고 성실
하게 응답하도록 유도한다.
• 대인 관계 형성 및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는 방법을 습득하기 위하여 ‘역할극 모형(Role-Play)’ 수업
을 제시한다. 실제 진로 탐색 및 직업 체험 활동 등의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역할을 교사가 상황
별로 제시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22 총론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22 2017-07-25 오후 1: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