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P. 22
어떻게 상호 관련되어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직업 생활에서 성공적이고 만족
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다.
(3) 진로 탐색 역량은 중학교 졸업 후 고등학교 진학 및 그 이후의 진로, 직업 선택까지 고려하여 중·
장기적으로 자신의 진로에 대해 탐색할 수 있는 역량이다. 이 역량을 갖추기 위하여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직업 세계를 탐색하는 다양한 방법을 찾아야 하며,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직업 정보
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정확성, 신뢰성, 시의성, 포괄성, 구체성 등의 판단 기준도 갖추
어야 한다.
(4) 진로 디자인과 준비 역량은 자신과 진로·직업 및 교육 세계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중학교 졸업
이후의 진로를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설계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이다. 진로를 계획하고 준
비하기 위해서는 진로 의사 결정 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합리적인 진로 결정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전략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진로 계획과 준비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진로 장벽을 찾아보고 현재 단계에서 극복할 수 있는 방안, 즉 문제 해결 역량을 함양하여야 한다.
나. 목표
목표: 『진로와 직업』 교과 교육 과정이 학교 진로 교육의 목표는 학생이 자신의 진로를 창의적으로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성숙한
지향해야 할 방향과 학생이 달성해야
할 학습의 도달점이다. 민주 시민으로서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중학교 『진로와 직업』
『진로와 직업』 교과의 총괄 목표, 세부 교육 과정은 초등학교에서 함양된 학생의 진로 개발 역량의 기초를 발전시켜 다양한 직업 세계와 교육
목표, 각급 학교 및 학년별 목표 등을
기회를 탐색하고, 중학교 이후의 진로를 디자인하고 준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진술한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기존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목표를
존중하되, 목표에 『진로와 직업』 교과의
핵심 역량 요소가 반영되어 있음을 효
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도록 진술 내용 (1) 긍정적 자아 개념과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에 기초하여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을 기른다.
을 정교화하였다.
(2) 직업에 대한 건강한 가치관과 진취적 의식을 갖도록 일과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 역량을 기른다.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목
표는 성취 기준과 마찬가지로 ‘학교 진 (3) 중학교 이후의 교육 및 직업 정보를 파악하고, 관심 분야의 진로 경로를 탐색하는 역량을 기른다.
로 교육의 목표와 성취 기준’과의 연계 (4)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 목표에 따라, 중학교 이후의 진로를 창의적으로 설계하고 준비하기 위한 역
를 강화하여 이를 토대로 수정하는 방
식을 취하였다. 량을 기른다.
20 총론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20 2017-07-25 오후 1: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