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P. 25
• 정의적 영역인 ‘인간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인식시킨다. 인성 교육과 접목하여 책임감, 배려, 정직,
타인 존중 등에 관한 덕목을 일상생활과 직업인이 겪는 상황에 맞게 제시한다. 학생들이 스스로 판
단하고 자신의 선택에 대한 정당성을 주장할 수 있도록 한다. 교사는 이에 대하여 올바른 결론이 도
출될 수 있도록 구성주의적 관점에 입각하여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평가 방법
• 직업 흥미 검사 및 직업 적성 검사는 성적을 산출하기 위한 과정이 아니므로 학생이 편안하게 검사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 흥미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검
사를 실시할 수 있는 장소 및 여건을 확보하는 것이다. 검사 실시 전 컴퓨터실 혹은 전산실 등 인프
라 확보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 직업 흥미 검사 및 직업 적성 검사는 학생의 진로 발달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이므로 점수 및
유형이 계량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한 사람의 진로 발달 수준은 계량적으로만 평가할 수 없
으므로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발표 등을 통해 스스로 자기 평가를 하는 과정과 동료들과 함께
직업 흥미 및 직업 적성을 토론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결과를 도출해 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 대인 관계 및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가상 ‘역할극 모형’은 교사가 학생들의 ㉠ 자발적 참여 의
지, ㉡ 주도성, ㉢ 협동 정신, ㉣ 희생정신을 관찰 형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 상호 간에
동료 평가와 토론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 정의적 영역인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예비 직업인으로서의 덕목 습득은 학생들의 사례 조사에 따른
발표(프레젠테이션) 및 포트폴리오를 통하여 평가할 수 있다. 발표 및 포트폴리오는 학생 개인이 가
진 가치관을 개별 평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유의 사항
• 직업 흥미 검사 결과는 절대적이지 않다. 따라서 직업 흥미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부모님,
선생님, 상담가, 친구 등)과 의견을 나누고, 진로 상담 과정을 거쳐 학생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밝
히고 조언을 구할 수 있어야 한다.
• 직업 적성 검사는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많은 방법 중의 하나일 뿐이다. 따라서 적성 검사 점수만 믿
고 자신의 소중한 진로를 결정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평소 자신에 대해 스스로 생각한 것, 잘하는
과목, 좋아하는 활동이 무엇인지 살피는 것도 의미 있다. 또한 흥미, 적성 이외의 가치관 검사, 성격
검사 결과 등을 참고하는 것도 필요하다.
• 대인 관계 및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가상 ‘역할극 모형’ 참여에서 비참가자 혹은 무임승차자
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학생들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교사의 관찰 평가 서
술식 기록과 함께 학생 스스로 자신을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고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를 위
한 발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 정의적 영역의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덕목 습득을 평가하는 과정이 자칫 철학적인 접근 방법이 되
지 않도록 유의한다. 예비 직업인으로서의 바람직한 덕목 습득은 어디까지나 실생활에서의 유용한
직업의식으로 발현될 수 있어야 한다. 직업인에 관한 소명 의식이 특정 사상이나 종교, 정치적 견해
에 치우치지 않도록 유의한다.
Ⅰ.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이해 23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23 2017-07-25 오후 1: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