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P. 28
(3) 진로 탐색
‘진로 탐색’은 중학교 졸업 후 진학하고자 하는 다양한 고교 유형과 진학 유형에 따른 교육 과정 프로그램 탐색이라는 단
기적인 측면과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진로와 직업 선택까지 고려할 수 있는 중·장기적인 측면, 즉 학생 개인의 생애 발달
측면까지 포함한다. 진로 준비에서 배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고등학교 및 학과의 유형을 탐색하기 위한
배움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생들이 주체적이며 자기 주도적으로 직업 세계를 탐색할 수 있도록 의미를 부여하고 다양한 진로 체험 활동을 제
공하며 관심 직업 분야의 다양한 진로 경로를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진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다
양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성취 기준과 교과서 구성
[9진03-01] 진로에서 학습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성취 기준 중단원 소단원
[9진03-01] 1 [9진03-02] 다양한 방법으로 고등학교 및 학과의 유형과 특성을 탐색할 수 있다.
1
[9진03-02] 2 [9진03-03]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직업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9진03-03] 1 [9진03-04] 관심 직업 분야의 다양한 진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2
[9진03-04] 2
(가) 학습 요소
•고등학교의 유형 정리, 학과별 특성 탐색, 고등학교 진학을 위한 준비 과정
•진로 직업 체험 활동, 자유학기제 진로 체험 프로그램
(나) 성취 기준 해설
• [9진03-02] 중학생들에게 고등학교 진학은 현실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고등학교 유형이
일반 고등학교,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 특수 목적 고등학교, 특성화 고등학교 등 세분화되어 있어 중
학교 1학년 단계부터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진학 준비 과정이 필요하다.
• [9진03-03] 체험을 통한 직업 정보 탐색은 진로 심리 검사(가치관, 흥미, 적성, 성격)를 바탕으로 학생
들에게 실질적인 직업 선택이 가능하게 해 주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중학교에서는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프로그램과 함께 연 1회 이상 실시하는 직업 체험 활동과
본 단원이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학생들에게 진로 콘서트, 진로 캠프, 직업 체험 등 다양한 진
로 탐색 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학생이 자신의 적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막연한 환상을 가지고 고등학교 진학 목표를 세우지 않도록
한다.
•고등학교 유형 및 학과의 특징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제시한다.
•고등학교 진학을 위한 학교생활의 전반적인 준비 과정을 제시한다.
• 학생 진로 직업 체험 활동을 위한 사전 정보 탐색을 실시하는 과정이므로 실질적인 직업 체험 활동
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 진로 체험 활동의 다양한 유형(진로 콘서트, 진로 캠프, 직업 체험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사전 준비
를 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한다.
•진로 체험 후 체험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지역별(시·도별) 고등학교 안내 자료집(시·도 교육청 발간)을 적절하게 활용하도록 한다.
• 학교 내에서 공식적으로 체험하는 진로 활동 외에 주말, 방학 등을 이용하여 가족과 함께 체험할 수
있는 진로 체험 장소 정보를 제공한다.
•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구성하고 참여하는 진로 탐색 과정(동아리 등)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
록 한다.
26 총론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26 2017-07-25 오후 1: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