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P. 32










(다) 『진로와 직업』 수업은 수업의 주제나 영역별로 차별화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에서는, 진로·직업 관련 사이트나 각종 표준화된 검사, 직업
카드 등을 활용하되, 검사 결과를 토대로 확산적인 탐색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일과 직업 세
계 이해’ 및 ‘진로 탐색’ 영역에서는 진로·직업 관련 사이트나 신문·방송 매체, 현장 체험 학습, 외

부 인사를 적극 활용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학습 경험을 하도록 지도한다. 다양한 진로 경로 탐색
을 통해서 학생 개개인이 역할 모델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고등학교를 비롯한 중학교 졸
업 이후의 교육 경로도 다양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진로 디자인과 준비’ 영역에서는 학
생 개개인이 진로를 계획하여 수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 자료 등을 제공한다.



(3) 성취 기준의 활용

중학교 『진로와 직업』은 선택 과목으로, 학교에 따라 1학년부터 3학년까지 1~3학년 또는 학기 단위

로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다.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기준 차시는 한 개 학년, 34차시로 설정하되
학교의 여건과 학생의 요구에 따라 학교가 다양하게 편성하며, 다음과 같이 선택적으로 세 가지 방식
중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방식으로 성취 기준을 구성할 수 있다.



(가) 기준 차시로 편성할 경우의 성취 기준별 차시 구성
첫째, 한 개 학년으로 『진로와 직업』을 편성·운영할 경우에는 성취 기준별 1, 2시간의 차시로 구성
한다. 한 개 학년의 『진로와 직업』 시간에 4개 영역을 모두 다루는 것이다. 이때 성취 기준별 배당 시간
은 교수·학습 상의 요구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표 7> 기준 차시를 운영할 경우 차시 구성의 예


영역 성취 기준 배당 시간

[9진01-01] 자신의 능력이나 특성, 강·약점 등을 존중할 수 있다. 2


[9진01-02]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직업 흥미와 적성을 탐색할 수 있다. 2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9진01-03] 대인 관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가족, 친구, 선생님, 이웃 등 주변 사람들과 적
1
절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

[9진01-04] 경청, 질문, 설득 등을 상황에 맞게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2

[9진02-01] 다양한 직업을 분야별로 분류하고 각 직업이 하는 일을 설명할 수 있다. 1


[9진02-02] 사회적 변화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직업과 사라진 직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


[9진02-03] 새로운 종류의 직업이나 사업을 상상하고 만드는 모의 활동을 할 수 있다. 1
일과 직업 세계
이해
[9진02-04] 직업이 자신에게 주는 긍정적 가치(자아실현, 보람 등)를 이해할 수 있다. 1

[9진02-05] 직업인이 공통적으로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를 이해할 수 있다. 1


[9진02-06] 직업에 대한 사회의 여러 가지 편견과 고정관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
1
을 설명할 수 있다.


30 총론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30 2017-07-25 오후 1:10:01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