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
P. 34










(다) 활동 중심의 구성
셋째, 『진로와 직업』 수업을 활동 중심으로 구성하고, 활동과 관련된 성취 기준을 설정하도록 한다.
즉, 특정 영역으로 제한하지 않고 활동 중심으로 이와 관련되는 두 개 이상의 성취 기준을 구성하여 다

룬다. 예컨대, 『진로와 직업』 교과와 타 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 활동 및 진로 활동과 연계하여 블록 타
임으로 A라는 진로 체험 활동을 학기 중 기획하고, 이와 관련되는 성취 기준을 구성하는 것이다. 자유
학기 중 융합 연계적인 『진로와 직업』 과목 시간을 확장하여 설계할 때 활용할 수 있다.


<그림 4> 활동과 관련된 성취 기준의 예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직업 흥미와 적성을 탐색할 수 있다.





대인 관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가족, 친구, 선생님, 이웃 등 주변
역할극 활동
사람들과 적절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직업이 자신에게 주는 긍정적 가치(자아실현, 보람 등)를 이해할 수
있다.






(4) 유의 사항

(가) ‘진로’, ‘직업’의 의미를 현실적이고 실천 가능한 것으로 수립하도록 지도한다.
『진로와 직업』 수업에서 다루는 진로나 직업의 의미가 학교 밖 사회에서 보편적이고 학생 각각의

현실적 여건에 비추어 실천 가능한 것이 되도록 유의한다.
(나) 교사의 일방적인 지식 전달이 주가 되는 수업이 되지 않도록 한다.
중학교 과정에서 진로와 관련한 다양한 학습 경험을 학생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 작
성 방법과 연계한 지도 계획을 수립한다.

(다) 학습 활동에 소외되는 학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특히 협동 학습과 같이 학생들이 조별로 활동하는 수업에서 모든 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
되도록 모니터링한다.
(라) 지역 사회에서 접근 가능한 인적 자원 및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지역 사회 내 성공한 직업인을 활용하여 강의를 진행하거나, 공공·민간 기관에 학생들
이 방문하여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는 직업 체험 활동을 실시할 수 있다. 단, 대규모 강의 방법을 지
양하고, 소규모 집단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마) 중학교 『진로와 직업』은 중·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중학생 수준에 적합한 내용

을 다루도록 한다.















32 총론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32 2017-07-25 오후 1:10:01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