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P. 17










셋째, 성취 기준의 활용 방안 제시와 상세화이다. 이번 개정에서는 2009 개정 교육 과정에 비해 성
취 기준의 수도 조금 늘었으나, 이보다는 영역별 성취 기준의 해설, 그리고 총괄적으로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 편성 운영을 위한 차시 구성 등 성취 기준의 활용 방안을 제시한 점이 더 눈여겨볼 특징
이다.

넷째, 일반고와 특성화고를 분리한 고등학교 성취 기준의 이원화이다. 이번 2015 개정 교육 과정에
서는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을 일반고와 특성화고로 나누어 성취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내용 체계는 공통으로 하되, 성취 기준은 공통적인 부분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일반고와 특성화고

에 최적화하여 각각 다르게 설정하고 제시하였다.
출처: 교육부, 2015.


라. 2009,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비교


2009 개정 교육 과정과 2015 개정 교육 과정의 주요 내용을 비교하면 <표 2>와 같다.

<표 2> 2009,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 비교


2009 개정 교육 과정 2015 개정 교육 과정
•창의적 인재 양성 •창의·융합 인재 양성
•전인적 성장을 위한 창의적 체험 활동 강화 •인문·사회·과학 기술에 관한 기초 소양 함양
• 국민 공통 교육 과정 조정 및 학교 교육 과정 편 • 학습량 적정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개선을
총론
성·운영의 자율성 강화 통한 핵심 역량 함양 교육
• 교육 과정 개편을 통한 대학 수능 시험 제도 개혁 • 교육 과정과 수능·대입 제도 연계, 교원 연수 등
유도 교육 전반 개선

• 내용 체계: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내용 체계: 영역, 내용 요소 제시
요소 제시
중학교
• 자유학기제 확대 운영을 통한 진로 체험 활동 강화



• 내용 체계: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내용 체계: 영역, 내용 요소 제시
요소 제시
고등학교

•일반고와 특성화고 성취 기준 이원화






























Ⅰ.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이해 15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15 2017-07-25 오후 1:09:59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