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P. 13










교육 인프라 활용에 있어서도 진로 교육 콘텐츠 및 진로 정보가 개발·보급되었으나, 사용자 편의성 및
홍보 부족 등으로 학교 현장의 체감 효과는 높지 않은 상황이다. 진로 교육 지원 협업 체계 또한 일부
구축되었으나, 협업 기관별 역할과 기능이 불명확하여 효과적인 지원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그 동안의 성과와 한계를 기반으로 정부는 2016년 4월에 제2차 진로 교육 5개년 기본 계

획을 수립하였다.
출처: 교육부, 2016.



다. 제2차 진로 교육 5개년 기본 계획

교육부는 자유학기제와 연계하여 학생들에게 꿈과 끼를 찾는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하고, 각급 학교
별로 체계적인 진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중장기 발전 방안으로 제2차 진로 교육 5개년 기본 계획

(’16~’20)을 발표하였다. 이번 5개년 계획은 「진로교육법」 제정·시행(2015.12.23.)에 따라 국가 차원
의 진로 교육 체계를 구축하려는 것으로, 관계 기관 및 학교 현장 대상 의견 수렴과 전문가 회의, 토론
등을 거쳐 마련되었다.


<그림 1> 각급 학교별 진로 교육 체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진로 인식) (진로 탐색) (진로 설계) (진로 선택)


교과 연계형 진로 교육 ‘진로 탐색’ 중심 창·체 ੌ߈Ҋ 진로·진학 교육 진로 교육을 대학 정규
- 실과, 일반 교과목과 운영 대학·학과 관련 진로 교육 과정으로 권장
연계한 진로 교육 일반 교과 연계 진로 체험 실시 학생 중심 원스톱
교육 서비스
자유학기제 예비 자유학기제 자유학기제 발전 취·창업과 연계

현장 견학형, 강연·대 양질의 진로 체험 프로 ౠࢿചҊ 진로·직업 교육 인턴십(현장 실습)
화형 등 진로 체험 그램 인턴십(현장 실습 운영) 강화
도·농 간 진로 체험 선취업·후진학 지원 지도 교수제 운영 권장
격차 해소




기존 제1차 계획이 초·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소질과 적성 중심의 진로 선택을 위한 체험 위주
진로 교육 지원에 초점을 두었다면, 이번 제2차 계획은 「진로교육법」 시행과 더불어 초등학교에서 대

학교까지 체계적으로 꿈과 끼를 살리는 행복한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개개인의 특성을 감안한 맞춤
형 진로 개발 역량 신장과 국가 진로 교육 센터 지정 등 범사회적 진로 교육 체계 구축을 통해 미래형
창의적 융합 인재를 양성하는 데 주안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제2차 진로 교육 5개년 기본 계획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이해 11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11 2017-07-25 오후 1:09:59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