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P. 16
2 2015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개정 방향
가. 2015 교육 과정의 공통 개정 배경
2015 개정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학습 흥미도를 제고하고, 핵심 역량 함양이 가능한 교과 교육 과정
이 되도록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향 설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도한 학습량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내용 적정화가 이루어졌다. 즉, 교과
별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량의 적정화가 이루어졌다.
둘째, 고등학교에서 기초 소양 함양이 가능한 공통 과목 이수 후 진로에 따른 선택 과목 이수가 가능
하도록 과목 간 유기적 연계가 가능한 교과 교육 과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셋째, 교육 과정 총론의 취지가 반영된 교과 교육 과정 개발 및 교과 간 내용 중복 해소 등을 개선하
고자 하였고, 적합성 높은 교육 과정 개발을 위해 현장 교원 40% 이상이 개발에 참여하였다.
넷째, 2015 개정 교육 과정 원칙을 준수하여 교과 편제, 학년군제, 교과(군), 과목명 등을 유지하되,
전문 교과 중심으로 과목명 변경이 이루어졌다. 또한 학교 자유학기제를 고려하여 특정 학기 내용을
과다하게 감축함에 따라 다른 학기 또는 학년에 수업 내용 과중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였다.
나. 2015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으로는 첫째, 2009 개정 교육 과정의 개선, 둘째,
「진로 교육법」 제정을 들 수 있다.
먼저 2009 개정 교육 과정 개선을 위해 진로 교육 현황을 분석한 결과 첫째, 『진로와 직업』 교과의
‘교육 과정’과 ‘2012 진로 기준’(2012년 교육부의 ‘학교 진로 교육의 목표와 성취 기준’)에 대한 기준 일
원화가 필요하며, 둘째, 중·고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 간 연계성이 확보되어야 하고, 셋째, 창의적 체
험 활동의 진로 활동 등 다양한 학교의 진로 교육 활동과 연계를 이루고 진로 교육의 중심으로서 기능
을 구현해야 한다는 것이며, 넷째, 『진로와 직업』 교과의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한 과목 명칭의 검토가
필요하였다. 「진로 교육법」은 2015년 6월 22일에 제정되어 12월 23일부터 시행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진로 교육의 목표와 성취 기준이 정해져 있으며 이것을 교육 과정에 반영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다.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주요 특징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주요 특징은 첫째, ‘학교 진로 교육의 목표 및 성취 기준’의 반
영, 둘째, 『진로와 직업』 교과의 핵심 역량 설정, 셋째, 성취 기준의 활용 방안 제시와 상세화, 넷째 일
반고와 특성화고를 분리한 고등학교 성취 기준의 이원화에 있다.
먼저 ‘2012 진로 기준’인 ‘학교 진로 교육의 목표 및 성취 기준’의 반영으로, 2015 교육 과정에 핵심
적인 성취 기준만 제시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었다.
둘째, 『진로와 직업』 교과의 핵심 역량을 설정하였다. 2015 개정 교육 과정의 총론에서 6개 핵심 역
량이 제시되었고, 모든 교과가 이를 반영하였으며, 『진로와 직업』에서는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일
과 직업 세계 이해 역량, 진로 탐색 역량, 진로 디자인과 준비 역량 등 4개 영역의 명칭과 일대일로 대
응되는 역량을 제시하였다.
14 총론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14 2017-07-25 오후 1:0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