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1
P. 131
참고 자료
이반 크릴로프
이반 안드레예비치 크릴로프(Krylov, 우화에는 보통 의인화되어 인간처럼 행동하는 동물이 전형적인
Ivan Andreevich, 1769년~1844년)는 주인공으로 나타나며, 그들의 특성도 전형화되었다.
우화시를 주로 쓴 제정 러시아의 시인 우화와 일반 민담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은, 전자의 경우 행위의
이다. 원칙 즉 도덕이 이야기 속에 짜여진다는 데 있다. 또한 우화는 교
1789년부터 풍자 잡지의 편집에 종사 훈적인 특성을 지녔다는 점에서는 비유담과 비슷하다. 비유담이
하는 한편 몇 편의 희극 및 희가극을 있을 법한 상황에 빠진 인간을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며 보다 높은
썼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이후 농노제 도덕적 차원에 있는 것임에 비하여, 우화는 주인공이 의인화되어
에 관한 풍자를 이유로 잡지는 정간 처 있고 대체로 기상천외한 상황을 그리며 보다 세속적인 지혜를 준
분을 당했다. 그 뒤 수년 동안 침묵을 지키다가 1805년 우화시 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떡갈나무와 갈대」를 발표하여 유명해졌다. 출처: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국어 국문학 자료 사전』.
처음에는 이솝이나 라퐁텐의 우화를 모방하였으나 차츰 독창적인
러시아의 우화를 창작하였다. 1809년에 최초의 『우화』 시집을 발 마시멜로 챌린지
간하여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마시멜로 챌린지는 디자이너 피터 킬맨(Peters killman)이 고안
작자의 생전에 약 7만 5000부가 팔렸으며, 당시로서는 획기적이었 한 것으로, 4명이 한 팀을 이루어 스파게티 면과 종이 테이프를
다. 취재 범위가 넓어 동물과 식물 등 온갖 주인공을 통해 인간의 이용하여 탑을 만들고 꼭대기에 마시멜로를 올리는 게임이다.
우매함, 아첨, 허영, 사회 관습, 전제 정치 체제 등을 풍자했다. 여러 집단을 대상으로 마시멜로 게임을 진행한 결과 경영학도들
출처: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B0%98_%ED 의 실패율이 가장 높았고, 유치원을 막 졸업한 아이들이 3등을 했
%81%AC%EB%A6%B4%EB%A1%9C%ED%94%84)
다. 그 까닭은 무엇일까? 그것은 아이들은 게임의 주도권을 두고
우화 다툼을 하지 않았다는 데에 있다. 한 사람이 완벽하게 계획을 세
동물이나 인간, 신(神) 또는 사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전개하는 짧 우고 게임을 진행할 때보다 여러 사람이 실패와 도전을 반복하면
은 이야기 형식의 하나이다. 우화는 장르적으로 보면 서사적인 것 서 게임을 진행할 때 훨씬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는 것이다. 마시
과 교훈적인 것이 절충된 단순 형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담고 있 멜로 게임은 도전과 협업을 배우는 사례로써 자주 인용되고 있다.
는 교훈은 비교적 저차원적인 사리분별을 위한 것이나 실용주의 출처: TED(https://www.ted.com/talks/tom_wujec_build_a_tower)
적인 것이다.
읽기 자료
갈등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
1. 개방적으로 행동하라(Openness) • 서로 간에 이익이 되는 해결책을 찾기 원한다는 것을 상대방이 알
•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개방적으로, 직접적으로, 정직하게 표현하라. 게 하라.
•부정적인 말로써 탓하지 말라. •기꺼이 자신의 의견을 바꾸도록 유동적인 입장을 견지하라.
•‘나 전달법’ (I-메시지)을 이용하여 자신의 느낌, 원하는 것을 말하라. •기꺼이 상대방의 입장을 지지하라.
•현재의 구체적인 것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를 확인하라. 4. 적극적으로 대처하라(Positiveness)
2. 공감하라(Empathy) •동의하고 강조할 영역을 확인하려고 노력하라.
•공감적으로 경청하라. •갈등을 새롭고 보다 좋은 해결책을 찾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라.
•상대방이 느끼고 있는 것을 이해하며 느끼려고 노력하라. •상대방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하고, 적극적인 대인 관계를 유지하라.
•상대방의 시각으로 상황을 보려고 노력하라. •일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자기 책임이라는 것을 표명하라.
• 자기가 이해하고 있는 바를 이야기하고, 상대방의 감정을 확인하라. 5. 동등하게 대하라(Equality)
•상대방의 견해를 진심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하라. •상대방과 그의 생각, 의견을 동등하게 대하라.
3. 지지하라(Supportiveness) • 상대방이 자신의 생각을 완전히 설명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제
•자신도 같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행동으로 설명하라. 공하라.
•상대방을 지지하고 있으며 늘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표출하라. •모든 아이디어와 의견을 논리적으로 평가하라.
출처: 한국 직업 능력 개발원, 『성공적인 직장 생활』.
Ⅰ .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129
중등직업_지도서_1단원(82~133)_3.indd 129 2017-07-25 오후 1:1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