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9
P. 129
ࣁࠗ بউ 전개·정리
3-4 문제 탐색 개별 및 모둠 활동 바꾸어 말하기
활동 활동
3 ‘나 전달법’으로 의사소통하기 개별 국어 4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하기 개별 도덕 ഝز ݾ
• 상황에 맞게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실행할 수 있다.
활동 목표 ‘나 전달법’을 이해한 후 주어진 상황에 적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키워 보자. 다음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해 보자. 활동 목표
‘나 전달법’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상황에 맞게 효과적인 의사소통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단계 내용 사례 어머니께서 음악만 들으면 을 실행할 수 있다. Үҗ ো҅
음악 끄신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황과 관련된 사 네가 다른 사람들 앞에서 내 별명을 저절로 음악 감독이
1단계: 사실 거예요?
실을 말한다. 자꾸 불러서 되니? 내가 너 때문에 • 도덕 › 타인과의 관계
잠이 안 와.
상대방의 행동 때문에 내가 느끼는 감
2단계: 감정 나는 창피하고 속상하고 화가 나. ഝز ߑߨ
정을 말한다.
➋ • 학생들에게 교과서의 예시 내용을 읽도록 한다.
저도 어머니 아들이
나는 네가 나를 별명보다 이름으로 불
3단계: 기대 내가 상대방에게 원하는 것을 말한다. 때문에 짜증나요. 공부는 안 하고
러 주면 좋겠어. ➊
저한테 무조건 화만 음악만 듣는데, • <활동 4-1>의 ❶과 ❷의 빈칸에 ‘나라면 할 말’을 먼저 쓰고,
내시잖아요. 너라면 화가
안 나겠니?
1. 다음 상황에서 내가 지영이라면 하고 싶은 말을 ‘평소 나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한 말로 바꾸어 쓰도록 한다.
대화법’과 ‘나 전달법’으로 구분하여 각각 써 보자.
• <활동 1~3>을 통하여 알게 된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을 떠올리
학급 대항 교내 합창 대회가 1주일 남았다. 방과 후 연습
시간, 독창을 맡은 민호가 계속 같은 실수를 하는 바람에 1. 위 그림의 ➊, ➋에 ‘나라면 할 말’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한 말’을 써 보자. 며 ‘필요한 말’을 쓰도록 안내한다.
지휘자인 지영이는 화가 난다.
구분 나라면 할 말 필요한 말 • <활동 4-1>에서 쓴 ‘필요한 말’을 짝과 비교해 보고, 어머니와
➊
➋
‘평소 나의 대화법’으로 말하기 ‘나 전달법’으로 말하기 아들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더 알맞은 말을 서로 토의하
2. 1번에서 쓴 ‘필요한 말’을 짝과 비교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더 알맞은 말을 정해 보자.
사실 여 정하도록 한다.
감정
• 마지막으로 각자 의사소통 능력을 점검하도록 한다.
기대
활동 점검하기
자기 평가
↟ب࢚ ਬ↟
나의 의사소통 능력을 점검해 보자.
2. 1번에서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의사소통 방법을 고르고, 그 이유를 써 보자. 평가 기준 성취 수준
• 활동의 예시 내용을 잘 읽고 각자 역할 수행 시 실제처럼 진지하게 할
더 효과적인 방법 이유 나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듣는가? � 상 � 중 � 하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나는 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 상대방의 생각과 가치관을 존중하려고 노력하는가? � 상 � 중 � 하
• 시간이 되면 역할을 바꾸어서 활동을 수행해 보고, 역할이 바뀌었을
40 Ⅰ .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2. 대인 관계와 의사소통 역량 개발 41 때 서로 느낀 점을 이야기하여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활동 4-1>을 마친 후 느낀 점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해야 할 부분들을 정리하도록 지도한다. 이때 너무 추상적이거나
ಣо ܐ 실현 불가능한 점을 기록하지 않고, 지금부터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을
기록하도록 안내한다.
è ӝ ಣо ӝ ೧ ୋب • 활동을 마친 후 개별 의사소통 능력을 점검하는 과정을 통하여 스스로
학습 목표를 정리하도록 지도한다.
나의 의사소통 능력 자가 진단 사항 5 4 3 2 1
ղо ׳ೠ ݫदܳ ࢚ߑ ݽف ೧ೠҊ ࢤпೠ
աח ղо ਗೞח ղਊਸ ഛ ࢚ߑীѱ ݈ೠҊ 4 평가 및 정리 평가하기
ࢤпೠ
Үࢎ ഝز
աח ࢚ߑ ݈ਸ ੜ ҃ೠҊ ࢤпೠ
• 학생들 스스로 자기 평가를 통해 나만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
աח ࢚ߑ Ѽী ࠗӝࠁח ӛੋ ݫद
ܳ ݢ ׳ೞ۰Ҋ ೠ 법을 이해하고 실생활에 적용하도록 안내한다.
աח ա Ѽਸ ࢚ߑীѱ ъਃೞ ঋҊ ചೞ۰Ҋ • 교과서 활동지나 지도서의 자기 평가지를 활용해 학생들이 자신
֢۱ೠ 의 의사소통 능력을 점검하도록 안내한다.
• 자기 관찰 평가지를 활용해 학생들이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하기
è ӝ ҙ ಣо
위한 실천 계획을 수립하고 스스로 점검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평가 항목 ○ △ ×
ࢤ ഝز
࢚ߑਸ ઓೞݴ ࢎࣗాೞח णҙਸ ыب۾ ֢۱ೞѷ
• 활동을 바탕으로 나의 의사소통 능력을 스스로 점검한다.
ࢎࣗాਸ ೡ ٸ ա ࢤпҗ ו՝݅ ਃदೞ ঋѷ
•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한 실천 계획을 세우고 실천 사항을
ܻࣗ۽ ചղ ঋҊ ࢚ߑীѱ ա ࢤпਸ ݈ೞѷ
스스로 점검한다.
࢚ߑ ࢤпա ೯زਸ ޖઑѤ ࠺դೞѢա ޖदೞ ঋѷ
ա ࢤпҗ хਸ ࣛೞѱ ࢚ߑীѱ ݈ೞ۰Ҋ ֢۱ೞѷ
rա ׳ߨsਸ ഝਊ೧ࢲ ҳҊ ബҗੋ ࢎࣗాਸ ೞѷ
ബҗੋ ࢎࣗా ߑߨਸ ࣘਵ۽ पୌೞѷ
○: 실천할 수 있다, △: 보통이다, ×: 실천할 수 없다.
Ⅰ .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127
중등직업_지도서_1단원(82~133)_3.indd 127 2017-07-25 오후 1:1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