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6
P. 126
ࣁࠗ بউ 전개
3-1 문제 탐색 개별 활동 바꾸어 말하기
활동 활동
ഝز ݾ 1 의사소통 이해하기 개별 국어, 도덕 2 ‘경청’으로 의사소통하기 모둠 국어
•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활동 목표 다음 상황에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해 보자. 친구와 서로 말하고 들으면서 듣는 사람에게 필요한 자세를 생각해 보자. 활동 목표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할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할 수 있다.
Үҗ ো҅ 수 있다. 동우는 점심시간에 급식실에서 순서를 기다 1. 친구에게 이야기하고 싶은 소재 두 가지에 관해 1분 동안 말할 내용을 각각 써 보자.
리고 있다. 그런데 뒤늦게 나타난 재영이가 예 일상생활에서 기뻤거나 슬펐던 일, 감동받았거나 화났던 일, 최근에 재미있게 본 책이나 영화, 가지고 싶은 물건,
• 국어 › 듣기·말하기 줄을 서지 않고 새치기를 하려고 해서 화가 여행해 보고 싶은 나라, 살아 보고 싶은 도시 등
난다. 활동 방법
• 도덕 › 타인과의 관계 이야기 ❶ 이야기 ❷ ① 짝과 순서를 정해 각자 쓴 이
야기 ❶을 말한다. 듣는 역할
인 사람은 짝과 눈을 마주치
ഝز ߑߨ 면서, 다른 행동을 하지 않고
귀 기울여 듣는다.
1. 내가 동우라면 어떻게 의사소통을 시작할지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해 보자.
• 짝과 모둠을 이루어 동우와 재영이 역할을 나누어 맡는다. 이때 ② ①번과 같은 순서로 각자 쓴
이야기 ❷를 말한다. 듣는 역
할인 사람은 짝과 눈을 마주
상대방에게 어떻게 이야기할지 생각해 본 후, 자신의 의견을 먼 눈으로 말해요 몸으로 말해요 언어로 말해요 치지 말고, 공책에 좋아하는
노래 가사를 적거나 낙서를
재영이에게 눈빛으로 나의 생 재영이에게 몸짓으로 나의 생 재영이에게 언어로 나의 생각 하면서 듣는다.
각 표현하기 각 표현하기 표현하기
저 기록한다.
2. 1번에서 쓴 이야기를 짝과 주고받은 후 짝의 두 가지 이야기 중에서 더 기억에 남는 것을
활동 시 유의 사항
• <활동 1-1>은 동우의 입장에서 자신의 생각을 글과 그림으로 간단히 정리하고, 그 이유를 써 보자. 자신이 듣는 역할일 때는 질문하
거나 떠들지 않고 듣기만 한다.
표현하도록 한다.
더 기억에 남는 이야기
• <활동 1-2>는 동우와 재영이의 역할을 번갈아 하면서 의사소통
진로 샘
을 하도록 한다. 기억에 남는 이야기와 기억
2번에서 이유를 쓸 때는
활동 방법 2. 짝과 함께 동우와 재영이 중 역할을 정해 번갈아 가면서 의사소통을 하고, 느낀 점을 정 이유 에 남지 않는 이야기를 들을
• <활동 1-2>의 활동을 할 때 느낀 점을 정리해서 쓰고 짝과 이 ① 눈빛, 몸짓, 언어를 각각 사용 리하여 이야기해 보자. 때 자신의 태도를 떠올리며
쓰세요 .
해 의사소통을 하고, 다시 역
야기 나누도록 한다. 할을 바꾸어 같은 방법으로 눈빛, 몸짓, 언어를 각각 사용했을 때와 동시에 사용했을 때 느낀 차이점
의사소통을 한다.
② 눈빛, 몸짓, 언어를 동시에 사
• 언어적 표현(대화), 비언어적 표현(표정, 손, 발, 몸동작 등을 통 용해 의사소통을 하고, 다시 3. 2번에서 내가 말하는 역할일 때 듣는 사람의 태도에 따라 느낀 점을 써 보자.
역할을 바꾸어 같은 방법으
로 의사소통을 한다.
한 표현)을 사용하여 평상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도록 한다.
• 역할을 교대로 수행하면서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었을 때 느낀
점을 짝과 함께 이야기 나누고 스스로 의사소통의 의미, 중요성 38 Ⅰ .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2. 대인 관계와 의사소통 역량 개발 39
에 대해 정의를 내려 보도록 한다.
↟ب࢚ ਬ↟
द উ
• 동우의 입장과 재영이의 입장을 각각 경험하면서 학생 스스로 문제와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짝 활동을 통해 각자 동우의 입장과 재영이의 입장을 설명할 수 있는 è ഝز
시간을 주어 상대방의 행동에 대하여 이해하고 마음을 열 수 있도록
유도한다. 눈으로 말해요. 몸으로 말해요. 언어로 말해요.
• 상대방의 행동에 비난보다는 먼저 이해하고 배려하려는 마음을 가지 재영이를 무섭게 째려본 팔짱을 낀 채 밀쳐 낸다. 재영이에게: 야, 너 지금
다. 손으로 재영이의 팔을 뭐하는 거니?
고 소통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잡는다. 줄 서서 기다리는 게 안
• 소통을 할 때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이 일치하도록 안내한다. 보이니?
예를 들어 웃으면서 눈은 째려본다거나, 또는 화난 얼굴로 “고마워.”라
고 말하는 것은 상대방에게 혼란을 주거나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것
을 알도록 한다.
• 의사소통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상대방에 대한 편
è ഝز
견, 무관심, 불신, 두려움은 소통의 방해 요인이 된다. 학생들이 의사소
통을 할 때 이러한 방해 요인을 사용하고 있는지 각자 신중하게 생각
↟ ׀ਸ ݃ݶࢲ ӈ ӝৈ ٜ ঠӝܳ ҅ࣘ ೯ೞ
하는 시간이 필요함을 깨달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Ҋ र ݃ ٜҊ ӝ࠙ જও
느낀 점 ↟ ׀ਸ ݃ ঋҊ բࢲܳ ೣ ҳীѱ tաܳ ࠁҊ
ղ ঠӝܳ ٜয ݶ જѷয uۄҊ ݈ೞҊ रҊ ࣘ
࢚ೞҊ ചо լ
듣는 사람에게 Ҋѐܳ Ս؋Ҋ ׀ਸ ݃ݴ ӈܳ ӝৈ ٜযঠ ೠҊ
ଵҊ ܐ
필요한 자세 ࢤпೠ
è ച ߨ
상대와 대화할 때 한 번 말하고, 두 번 듣고, 세 번 맞장구 쳐 주는
것이다. 이는 말하는 능력도 중요하지만, 경청, 공감 역시 중요함을
의미한다.
124 각론
중등직업_지도서_1단원(82~133)_3.indd 124 2017-07-25 오후 1:1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