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5
P. 125









ࣁࠗ ૑بউ 전개


2 문제 탐색 내용 파악

2. 대인 관계와 의사소통 역량 개발
೟ण ઱ઁ ߂ ೟ण ߑߨ উղ
의사소통을 단순히 말을 주고받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의사소
02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 통은 서로의 생각과 마음을 능동적으로 전달하고 받아들이는 것으로 언어, 표정, 몸짓 능동적 • 대인 관계가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짐을 이해하도록 한다.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생각과 마음을 공유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것에 이끌리지 아니하고 스
경청, 질문, 설득 등을 상황에 맞게 활용하여 효과적 •의사소통 이해하기 •‘나 전달법’으로 의사소통하기 스로 일으키거나 움직이는 것
학습 활동
목표 과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먼저 자기 자신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왜냐하면 자 •본문을 학생들과 함께 읽으면서 내용을 이해하도록 한다.
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경청’으로 의사소통하기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하기
신의 생각이나 원하는 바를 모르면서 상대방을 이해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가정이나 학교, 직장에서 원만한 대인 관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의사 ղਊ ೧ࢸ
열려라!
생각 의사소통은 어려워 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대인 관계에서 나타나는 많은 갈등이 의사소통의 문제에서 비
롯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감, 경청, 질문, 배려, 설득 등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을 통 (1) 본문 상단 내용 해설
서연이네 모둠은 다음 ‘진로와 직업’ 수업 시간까지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은
해 자신의 의견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이해하는 것은 행복한 삶의 바
사례를 조사해야 한다. • 의사소통의 의미: 언어적 표현(말, 대화, 글 등)과 비언어적 표현
탕이 된다.
(몸짓, 손짓, 표정, 태도 등)을 모두 포함한다.
각자 의사소통이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자, 이제
잘 되지 않았던 사례를 잠
깐 생각해 보자. 다시 한번 • 의사소통 방법: 의사소통은 대인 관계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
얘기해 볼까?
오늘 학교에서 저런, 많이 그랬구나.
친구가 저한테 속상했겠구나. 열심히 너는 원인이 뭐라고
화를 냈어요. 공부했는데 성적이 생각하는데? 한 요소이다. 의사소통 방법은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공감, 배려,
좋지 않아.
경청, 질문, 설득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행복한 삶을 위한 바탕이 된다.
공감 상대방의 경험을 자신의 경험처럼 경청 상대방이 말하는 내용뿐만 아니라 질문 상대방이 스스로 생각을 정리하고
느끼면서 그 마음을 같은 눈높이에 표정이나 움직임까지 귀를 기울여 말할 수 있도록 질문한다. (2) 본문 하단 내용 해설
졸려. 서 이해한다. 듣는다.
졸려.
요즘 무슨 영화가 재미있지? • 질문: 앤서니 라빈스는 “우리가 부딪히는 한계에 대해 제기하는
요즘 무슨 영화가 재미있지? 아버지께서 왜
어제 본 드라마 재미있더라. 걱정하시는지 알아요.
어제 본 드라마 재미있더라. 내 생각과 다르더라도 하지만 조금만 더 저를 질문은 삶의 장벽들(비즈니스, 대인 관계, 그리고 국가 간의 장
네 의견을 듣고 싶어.
배고파. 믿어 주시면 좋겠어요.
배고파.
벽)을 무너뜨린다. 나는 모든 인간의 진보가 새로운 질문에서
얘들아! 우리 회의에 집중하자!
비롯된다고 믿는다.”라고 질문의 힘을 설명하였다.
보고 그림에서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배려 상대방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설득 상대방의 입장을 존중하면서 자신이 • 설득: 로버트 치알디니는 “설득이란 쉽고 명쾌하게 상대방을 자
묻기 가질 수 있도록 그 사람의 입장이나 원하는 방향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상황에 마음을 써 준다. 이끈다.
신의 뜻대로 움직이게 만드는 것, 즉 그들의 공감을 백퍼센트
36 Ⅰ .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2. 대인 관계와 의사소통 역량 개발 37
이끌어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배려: 작가 맥스 비어봄은 배려에 대해 “상대방을 기쁘게 하고
남과 원만하게 지낼 수 있는 기술은 충분히 배울 만한 가치가
ଵҊ ੗ܐ 있다. 살아가는 데 있어 배울 수 있는 많은 것들 중에서 배려만
큼 유용하고 가치 있는 것도 드물 것이다.”라고 표현하였다.
è ؀ച੄ ઁ ӏ஗
• 공감: 미국의 심리학자 칼 로저스는 “공감은 내담자(상대방)가
• 대화의 제1 규칙은 ‘경청’이다. 훌륭한 화자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훌륭
한 청자가 되어야 한다. 상대의 말을 주의 깊게 들으면 내가 말할 차례 경험하고 있는 감정들과 개인적인 의미들을 상담자가 정확하게
가 됐을 때 더 잘 응대할 수 있고, 말을 더 잘할 수 있다. 상대방이 한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하였다.
말에 대하여 적절하게 응답할 수 있는 능력은 곧 뛰어난 대담자들의 기
• 경청: 스티븐 코비는 “성공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대화
본 태도이다.
습관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그 차이점이 무엇인지 단 하나만
출처: 래리 킹 저, 강서일 역, 『대화의 신』.
꼽으라고 한다면 나는 주저 없이 ‘경청하는 습관’을 들 것이다.
è ؀ച੄ ߨ஗
우리는 지금껏 말하기, 읽기, 쓰기에만 골몰해 왔다. 하지만 정작
① 대화의 목적은 이기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우리의 감성을 지배하는 것은 ‘귀’이다.”라고 경청을 강조하였다.
② 가장 중요한 대화의 법칙은 ‘진실’이다.
③ 마음에 감동을 주는 언어들을 배운다. Үࢎ ഝز
④ 마음 깊이 상대방을 존중한다. • 학생들이 의사소통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효과적인 의사소
출처: 정병태, 『소통의 기술』.
통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을 소개하고 학생 스스
è ӛ੿੸ੋ ݈੄ ൨ 로 소통의 방법을 일상생활에 적용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
부주의한 말은 싸움을 붙인다. 잔인한 말은 인생을 망친다. 록 안내한다.
감사의 말은 장애를 제거한다. 즐거운 말은 하루를 밝게 한다.
↟૑ب࢚ ਬ੄੼↟
때에 맞는 말은 고통을 줄여 준다. 사랑의 말은 상처를 치유하고 축복
을 준다.
•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위한 다섯 가지 개념에 대하여 이해가 어려
출처: 정병태, 『소통의 기술』.
운 학생들을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실례를 찾아 설명한다.
೟ࢤ ഝز
•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을 통하여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
다는 자신감을 갖는다.
Ⅰ .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123







중등직업_지도서_1단원(82~133)_3.indd 123 2017-07-25 오후 1:13:37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