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고 경제 평가
P. 17
3 수행 평가의 이해
1. 수행 평가의 의미
수행 평가는 학생이 가지고 있는 지식, 기능, 태도 등의 능력을 직접 수행으로 나타내 보이는 방식의 평가
를 의미한다. 즉 지식 및 기능에 대한 습득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학생이 만든 산출물이나 실제 수행을 통해
학생의 학습을 평가하는 것으로, 교수·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이다.
수행
(遂行, ‘수행’은 구체적인 상황 하에서 실제로 행동하는 과정(process)이나 그 결과(product)를 의미한다.
performance)
•수행 평가를 원래 의도하는 바대로 시행하면 그것으로도 충분히 과정 중심 평가의 방향성을 담을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수행 평가는 결과만을 강조하여 학생의 전인적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
었다.
•수행 평가는 기존의 지식 암기 중심의 평가를
인지적 영역과
개선하고자 하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수행 과정을 중시하는 함께 정의적 영역의
수행 평가가
평가는 대안적 평가, 실제적 평가, 직접 평가, 평가도 중합니다.
중요합니다.
과정 평가 등이 가지는 특성들을 모두 포괄하
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한 시대의 주류를 이루는 평가 체제 •실제 상황에서 발휘할 수 있는 능력
와 비교하여 그 패러다임과 목적을 평가
달리하는 평가 체제 •평가 상황이 실제 상황과 유사함
대안적 실제적
•선다형 문항 중심의 지필 평가에 대
평가 평가
한 대안적인 평가
•일회성 정기 고사에 대한 대안적인
수행 평가 관련
평가
유사 용어
•결과 중심의 평가에 대한 대안적인
평가
과정 직접
평가 평가
•간접적인 평가 방법보다는 직접적인
평가 방법을 중시
•학습의 과정 또는 수행 과정을 평가 •답을 선택할 수 있는 것보다 답을 직
•수업과 연계하여 수업 중에 평가 접 서술하거나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평가가 수업의 일환이 되기를 기대함. 중시
3. 수행 평가의 이해 15
(고경제) 2015 평가의 모든것 내지.indd 15 2018-06-22 오후 6:5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