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고 경제 평가
P. 13
2 과정 중심 평가의 이해
1. 평가의 변화
학생 평가는 교육 활동의 불가결한 구성 요소로서, 학생이 학교 교육을 통해 학습한 성과를 확인하려는 목
적, 학생의 교육적 성장과 발전을 돕기 위한 목적, 향후 교수·학습 과정의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는 중요한 교육적 행위이다.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 학습을 위한 평가, 학습으로서의 평가
• 학기말/학년말에 시행되는 평가(등급, 성적표를 •교수·학습 중 지속적으로 시행되는 평가(학습에
제공하기 위한 평가) 도움을 주기 위한 평가)
•총합적 평가 •진단적, 형성적 평가
•결과 중심 평가 •결과 및 과정 중심 평가
•교사 평가 •교사 평가, 자기 평가, 동료 평가
•성취 평가제의 도입
성취 평가제는 상대적 서열에 따라 '누가 더 잘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무엇을 어느 정도
성취하였는지’를 평가하는 제도로, 새로운 평가 방식으로의 변화를 위한 것이다.
종래의 평가 방식 새로운 평가 방식
평가 체제 •상대 평가 •양적 평가 •절대 평가 •질적 평가
평가 목적 •설발·분류·배치 •한 줄 세우기 •지도·조언·개선 •여러 줄 세우기
•학습의 결과 중시 •학습의 결과 및 과정 중시
평가 내용
•학문적 지능의 구성 요소 •실천적 지능의 구성 요소
•선다형 문항을 사용한 지필 평가 중심 •다양한 평가 방법 고려 •지속적·종합적 평가
평가 방법
•일회적 평가 •객관성·일관성·공정성 강조 •전문성·타당성·적합성 강조
•학습 활동이 종료되는 시점 •학습 활동의 모든 과정
평가 시기
•교수·학습과 평가 분리 •교수·학습과 평가 통합
교사 역할 •지식의 전달자 •학습의 안내자·촉진자
학생 역할 •수동적인 학습자 •지식의 재생산자 •능동적인 학습자 •지식의 창조자
•교사 중심 •인지적 영역 중심 •학생 중심 •인지적·정의적 영역 모두 강조
교수·학습
•암기 위주 •기본 학습 능력 강조 •탐구 위주 •창의성 등 고등 사고 기능 강조
2. 과정 중심 평가의 이해 11
(고경제) 2015 평가의 모든것 내지.indd 11 2018-06-22 오후 6:5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