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고 경제 평가
P. 11
3.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평가 용어의 차이와 의미
국가 교육과정에 개별 성취 기준 단원/영역별 성취
국가 교육과정
따른 성취 기준 달성 정도 기준 달성 정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 성취 수준 성취 수준
평가 기준 개별 연구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준거 성취 기준 평가 기준 성취 수준
성취 기준
평가 기준 개별 연구
•평가 용어의 의미
단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활동의 근거가 되는 것으로서 학생들이 각 교과 수업을 통해 배
교육과정 워야 할 내용(지식, 기능, 태도)과 관련된 능력 또는 특성을 진술한 것
성취 기준 내용: 교과 지식을 의미
능력: 각 교과의 핵심 역량을 비롯하여 각 교과에서 기르고자 하는 기능과 역량을 모두 포함
교육과정 성취 기준을 실제 평가의 상황에서 준거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것
학교에서 교육과정 성취 기준을 그대로 구체적인 평가 활동을 위한 판단의 기준으로 삼기에 다소 포
평가 준거 괄적이거나 모호할 수 있어 고려한 것으로, 학생과 교사의 입장에서 보다 명료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
성취 기준 해 교육과정 성취 기준을 재구성한 것
학생 입장: 무엇을 공부하고 성취해야 하는가?
교사 입장: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해야 하는가?
평가 활동에서 학생들이 어느 정도의 수준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실질적인 기준 역할을 할 수
평가 기준 있도록 각 평가 준거 성취 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상/중/하’의 세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속한 학생
들이 무엇을 알고 있고, 할 수 있는지를 기술한 것
영역별 성취 수준은 각 단원 또는 영역에 해당하는 교수·학습이 끝났을 때 학생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지식, 기능, 태도에 도달한 정도를 기술한 것
교과별로 학교에서 평가를 몇 단계로 하느냐에 따라 그 단계를 ‘A / B / C / D / E’의 5단계 또는
성취 수준 ‘A / B / C’의 3단계로 나눈다.
각 단원에 포함된 교육과정 성취 기준 또는 평가 준거 성취 기준을 단순히 나열한 것이 아니라 ‘단원
또는 영역 내 성취 기준들을 포괄하는 전반적인 특성에 도달한 정도를 수준별로 구분해 진술한 것’을
의미한다.
1.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 역량과 평가의 변화 9
(고경제) 2015 평가의 모든것 내지.indd 9 2018-06-22 오후 6:5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