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1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91
중단원 정리하기
표준화의 의미
합리적으로 설정한 표준을 따르고 활용하기 위하여 규칙이나 지침, 가이드 등을 만드는 조직적인 행위
표준화의 효과
① 생산 능률을 증진하고 원가를 절감하는 등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옴.
② 부품의 호환성이 증가하여 자재를 절약할 수 있음
③ 종업원의 교육과 훈련이 용이해져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어서도 효과적임.
표준의 분류
적용 영역에 따라 국제 표준, 지역 표준, 국가 표준, 단체 표준, 사내 표준 등으로 구분
국제 표준
① 국제 표준 개념: 국제적으로 적용되는 표준
② 국제 표준 기관: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표준회의(IEC),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등
한국산업표준(KS: Korean Industrial Standards)
산업 표준화법에 의거하여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기술표준원장이 고시함으로써 확정되는 국가 표준
국제 통합 인증 마크
① 부처마다 다르게 사용하던 13개의 법정 강제 인증 마크를 하나로 통합하여 만듦.
② 2009년 7월 1일 지식 경제부에서 국가 통합 인증 마크를 우선 도입하였고, 2011년 1월 1일부터는 환경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8개 전 부처로 확대 실시되었음
탐구
직업 자동차 정비원
주요 업무 ① 엔진부에서는 엔진, 냉각기, 배전기 등을 수리하며 엔진 기관을 점검한다.
② 전기부에서는 각종 센서, 램프, 배선, 발전기 등을 수리하며 첨단 장치를
다룬다.
③ 하체부에서는 타이어, 브레이크, 핸들하고, 판금부에서는 우그러진 차체를
펴거나 교환 및 용접하고, 도장부에서는 판금 부위나 흠집 부위에
도색하는 일을 한다.
자동차 정비원
필요 역량 ① 최근 자동차의 기계적 작동이 전기·전자 장치에 의존하고 있고, 각종 부속품 역시 전기·전자 제품이기 때문에
전기·전자 제어 장치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
② 자동차의 고장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자동차 정비 지식과 더불어 분석력과 인내력이 필요하고, 성실함, 고객과의
의사소통 능력 등이 요구된다.
관련 자격 자동차 보수 도장 기능사, 자동차 정비 기능사, 자동차 차체 수리 기능사, 자동차 정비 산업 기사, 자동차 정비 기
사, 자동차 기사, 차량 기술사, 자동차 정비 기능장 등
2. 제품의 표준화 89
공업일반_2단원 김영수 0426.indd 89 2017-08-30 오후 1:3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