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4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94
2 제품의 수명 주기와 매출
판매가 시작된 제품의 수명 주기는 매출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는다. 제품의 수
명 주기가 나타내는 각 단계별 특징과 매출과의 관계는 제품의 생산·판매 전략에
영향을 미치므로 각 단계별 판매 전략의 목표도 달라야 한다.
(1) 도입기 순이익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잔액으로
도입기는 제품이 시장에 나와 판매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때는 소비자에게 제 계산할 수 있다.
순이익 = 수익 - (비용 + 소득세)
품을 알려야 하는 시기이므로 판매량이 적고, 제품의 출시 이전에 사용된 개발비, 설
시장 점유율
계비, 제작비 등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순이익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정 업종의 제품 시장에서 취급되
는 전체 거래량 중에서 특정 기업이
(2) 성장기 차지하는 비율
성장기는 시장에서 제품의 점유율이 상승하는 단계로, 제품의 인지도 상승으로 소 투자(investment)
장차 얻을 수 있는 수익을 위해 현
비자의 구매가 확산되면서 순이익이 발생하며 동시에 유사 제품이나 기존 제품과의 재 자금을 지출하는 것을 말한다.
경쟁이 치열해진다.
중간 이윤(margin)
따라서 다른 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하여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생산에 투입되는 비용인 원가와 판
매로 얻는 수익의 차이로 발생하는
발생한 수익을 다음에 이어질 신제품 개발에 투자해야 한다. 이익의 정도를 말한다.
(3) 성숙기 원가(cost)
상품의 제조, 유통, 판매 등에 따르
성숙기는 제품의 판매량이 최고치에 도달했다가 감소하는 단계로, 경쟁 상품이 많 는 재화와 용역의 비용을 단위 제
품의 비용으로 환산한 것으로, 재
이 생겨나고 판매량이나 인지도의 순위가 결정되는 시점이다. 이 시기에는 제품 간의 료비·노무비, 경비로 구성되며, 이
를 원가의 3요소라고 한다. 이는 다
치열한 경쟁으로 제품의 가격 인하가 시작되고 중간 이윤이 줄어들게 되므로 생산 원 시 각 제품에 직접 부과할 수 있는
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이 중요하다. 직접비와 여러 제품의 생산에 대하
여 공통으로 쓰이는 간접비로 세분
따라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에 투자하여 성숙기 된다. 직접비와 제조에 소요된 간접
비를 포함한 것을 제조 원가라고 하
의 기간을 더 길게 만들어야 한다. 며, 일반적인 상품은 여기에 관리 비
용과 판매 비용을 더하여 총원가라
고 한다.
(4) 쇠퇴기
생산성(productivity)
쇠퇴기는 새롭고 좋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는 단계로, 새로운 기
생산의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술의 신제품이 시장에 등장하게 되면서 제품의 매출이 급격히 감소하는 시점이다. 투입된 자원에 비해 산출된 생산량
의 비율에 의해서 결정된다. 적은
양의 자원을 투입하여 많은 양의 제
[표 Ⅱ -4] 제품의 수명 주기별 특징 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였다면 생
산성이 높은 것이다.
구분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
최고 수준 유지, 마케팅(marketing)
매출액 서서히 증가 급격히 증가 감소
성장률 정체 제품을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판매
하는 데 필요한 모든 기획 활동을
시장 규모 확대, 이익의 극대화, 최저 이익 유지,
마케팅 전략 시장 점유율 확대 뜻한다. 시장 조사, 상품화 계획, 광
제품의 인지도 향상 시장 점유율 유지 비용 절감 고, 판매 전략 등이 모두 포함된다.
92 Ⅱ. 제품의 생산
공업일반_2단원 김영수 0426.indd 92 2017-08-30 오후 1:3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