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2 고등학교 실용 수학 교과서
P. 62










[2] 이 왜상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면에 직사각형 모양이 나타나게 하려면 바닥 면
에 어떤 도형을 그려야 하는지 알아보자.
직사각형의 변 중에서 시야에서 먼 쪽에 있는 변 CD의 길이가 원근법에 의

하여 실제보다 짧게 보이므로 변 CD를 변 AB보다 좀 더 길게 그리면 화면 상
에서는 직사각형으로 보이게 된다.
즉, 축구경기장 바닥 면에 광고판을 사다리꼴 모양으로 그리면 화면에는 세
아래 그림은 흔히 볼 수 있는
도로 위의 글자이다. 그런데 이 워진 직사각형 모양으로 보이게 된다.
글자는 자동차 운전석에서 내
려다 보면 마치 글자가 세워져 시점
있는 것처럼 보인다.


C
B
D A




7 오른쪽 그림과 같이 시점에서 바닥 면을 바라볼
탐구
문제 때, 바닥에 수직인 화면에 문자 ‘ㄱ’을 보이게 하려 시점
고 한다. 바닥 면에 적당한 모양을 그려라.












생각의 왜상을 이용한 미술 작품

오른쪽 그림은 1533년 독일 화가 한스 홀바인이 그린 「대사들」이다.
이 그림의 아랫부분에 있는 형체가 분명하지 않은 길쭉한 모양은 특

정 각도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보면 해골로 보이게 된다. 즉, 화면이
거의 안 보일 만큼 오른쪽 가장자리에 바짝 붙어 해골 쪽을 내려다보
면 해골이 제 모습으로 보인다. 이 지점을 빼고는 어디서도 제대로
된 해골의 이미지를 볼 수 없다. 반대로 이 지
점에서는 나머지 사물이 다 일그러진 형태로
보인다.
이 그림은 왜상을 이용한 대표적인 미술 작품
중 하나이다.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왜상을
이용하여 그려진 미술 작품들을 찾아보아라.



60 Ⅱ. 공간







048081_2단원-공간 디자인.indd 60 2017-09-08 오후 6:16:33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