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고 체육탐구
P. 85
⑵ 핸드볼에 적용된 심리학적 원리
핸드볼 선수의 페인팅 동작은 심리적 불응기와 관계가 있다. 즉, 공격수가 1차로
속임 동작을 하면 수비수는 이에 반응하여 수비 동작을 취하게 되고, 연속적으로 2 핸드볼은 왜 팀플레이가 중요할까?
핸드볼은 구기 종목 중에서 팀원들 간의
차 동작을 하면 수비수는 잠깐 동안 혼란이 생겨 대처가 느려진다. 이때 공격수는 끈끈한 조직력이 가장 중요한 종목이다.
핸드볼은 농구의 맨투맨처럼 한 선수의
수비수를 돌파할 수 있게 된다. 개인기만으로 득점을 내는 경우는 거의
핸드볼은 단체 경기이므로 선수 개개인이 훌륭한 기량을 갖고 있어도 경기의 승리 드물며 대부분 팀원의 도움을 받아 득점
을 성공시킨다. 평균적으로 한 번의 공
를 장담하지 못한다. 선수의 기량과 열정을 하나로 모으는 팀 응집력과 이를 최대한 격 시도에서 15번 이상의 패스로 기회를
포착한 후 골을 만들어 낸다.
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핸드볼 팀은 다양한 형태의 공격과 수비 전술에 있어서 끊임없는 의사소통이 필요
하며, 개인의 기량보다는 협동을 통한 팀 전술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핸드볼
경기에서 요구하는 높은 수준의 상호 작용에 부응하지 못하고 응집력이 저하되면
팀의 전술 수행력도 나빠지게 된다.
‘우생순’ 신화 분석하기
정형균 감독은 우리나라 여
자 핸드볼의 지도자로, 1984년
LA 올림픽 은메달, 1992년 바
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 1995
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
달 획득과 각종 국제 대회에서
수많은 우승을 일구어 낸 주인
공이다. 그의 업적은 국내는 물
론 국제적으로도 이례적인 것
이다. 감독과 선수들의 끊임없
▲ 정형균 전 감독
프리 스로 라인 는 노력으로 만들어낸 여자 핸
페널티 스로 라인 드볼의 기적은 국민들의 감동을 이끌어 냈으며, 이러한 내용을 소재로 ‘우리
(7 m) 생애 최고의 순간’이라는 영화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골 에어리어 라인 정형균 감독은 강도 높은 체력 훈련을 시키면서도 팀워크를 가장 중요하
(6 m)
게 생각하였다. 대표 팀은 아침 훈련부터 야간 훈련까지 훈련복을 동일하게
맞춰 입고 훈련을 하고, 훈련 중에 한 명의 낙오자, 한 명의 실수도 없어야만
40 m 훈련이 종료되었다. 이러한 고된 훈련은 선수들이 서로를 의지하며 응집력
을 가지게 하였고, 선수들에게 ‘감독의 지시에 따르면 늘 좋은 결과가 있다.’
는 믿음을 심어 주었다.
정형근 감독은 승리를 위한 과학적 경기 분석도 빠뜨리지 않았다. 매일 저
센터 라인
녁 상대 팀의 경기를 녹화한 비디오를 보는 것은 기본이었고, 경기 직전 상
대 팀의 공격수가 되어 직접 시범을 보이며 지도하기도 하였다.
팀 응집력과 근성, 승리에 대한 믿음을 길러준 정형균 감독의 리더십은 우
리나라 여자 핸드볼을 세계 정상에 올려놓는 밑거름이 되었다.
82 Ⅱ. 체육과 과학 02. 체육의 심리학적 원리와 적용 83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83 2018-07-19 오후 3:1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