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8 중학교 기술가정 ① 교과서
P. 48









빈혈
비만은 섭취하는 영양분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적을 때 여분의 에너지가 체지방의
혈액 중 헤모글로빈 농도가 감소하
여 인체 조직의 대사에 필요한 산소 형태로 축적되어 생긴다. 즉 식사 습관, 운동 부족, 유전 등으로 비만이 되는데, 비
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조직의 저
만이 되면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및 암의 발병률이 높아진다. 또한 외모에 대한 자
산소증을 초래하여 어지러움을 동반
하는 증상. 신감까지 떨어져 신체적·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청소년기는 외모와 체형에 관심이 많은 시기이다. 특히 대중 매체의 영향으로 날씬
체육
한 몸매를 선호하여 정상 체중임에도 지나치게 체중을 줄여 저체중이 되는 경우가
건강한 체중 = 식사 요법 + 운동
있다. 이러한 청소년기의 무리한 체중 감량은 영양 불균형으로 빈혈, 골다공증 등
요법 + 행동 수정
식사량을 줄이면 당연히 체중 감량 을 유발하며, 건강과 성장에 심각한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규칙적이고 적
을 할 수 있지만 계속 유지하기가 힘
당한 식사와 운동으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들다. 운동 요법, 식사 요법, 행동 수
정 3가지를 동시에 해야 건강한 체중
을 유지할 수 있다. 비만도 측정 체질량 지수
즉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걷기 등 일 (kg/m ) 2
상적인 활동량을 늘리며, 고열량 음
식을 피해야 한다. 또한 취침 전에는
가능한 한 음식 섭취를 자제하고, 균
형 잡힌 식사를 위해 하루 세끼 규칙
적으로 적절한 양을 먹는 것이 좋다.

18.5 23 25 30
저체중 정상 체중 위험 체중 1단계 비만 2단계 비만
※ 나의 체중과 키를 알고, 체질량 지수를 구해 보자.
나의 체중 kg
체질량 지수(BMI) 나의 신장 m
= 체중(kg)÷신장의 제곱(㎡) 2
나의 체질량 지수 kg/m



한걸음
섭식 장애
섭식 장애는 마른 몸매에 대한 강한 욕구로 음식을 조절할 수 없는 식사 장애이다.



거식증 폭식증










• 살이 찌는 것에 대한 강한 두려움으로 먹는 것을 거부하거나 두려워 • 식사량을 조절하지 못하고 한꺼번에 많은 음식을 먹은 다음 음식을
하는 증상을 말한다. 억지로 토해 내거나 약을 먹어 장을 비우는 증상을 말한다.
• 거식증의 결과 체중이 적정 체중에 비해 감소하며, 여성의 경우 무월 • 대부분의 폭식증 환자들은 잦은 폭식과 구토로 식도, 위, 치아의 손상
경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나타나며 심리적 불안이 지속된다.


2. 창의적인 가정생활 01. 청소년기의 영양과 식행동
46 47





중등기술가정1권-3차제출본.indb 46 2017-07-28 오전 11:55:09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