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P. 89
5 단원 지도 계획 및 평가 방법
1. 자아 이해와 긍정적 자아 개념 형성
차시 구성의 예
교수·학습
소단원 학습 주제 평가 방법
방법 68차시 (80% 운용시 55차시)
34차시 (85% 운용시 29차시)
※창체 프로젝트 학습 4차시 포함
(1) 나는 얼마나 자아 존중감과 •강의 학습 과정 중심 평가: 1차시 1차시
소중한 자기 효능감 •개별 학습 •자기 평가 ❶ 주사위 놀이로 특성 이해하기 ❶ 주사위 놀이로 특성 이해하기
존재일까? • 협동 학습 • 교사 관찰 2차시 2차시
14~19p (학생 소집 평가(서술형 ❷ 나의 특성 표현하기 ❷ 나의 특성 표현하기
단 활동) 수행 평가) ❸ 나의 강점과 약점 알아보기 3차시
3차시 ❸ 나의 강점과 약점 알아보기
❹ 모방 시 짓기로 자아 존중감 높이기 4차시
❹ 모방 시 짓기로 자아 존중감 높이기
(2) 내가 자신의 특성 •강의 학습 과정 중심 평가: ※ 직업 흥미 검사를 수업 전에 실시할 경우 ※ 직업 흥미 검사를 수업 시간에 실시할 경우
좋아하는 것 (흥미 등) •개별 학습 •자기 평가 3차시로 진행 4차시로 진행
은 무엇일까? 탐색 •협동 학습 •동료 평가 4~5차시 5~6차시
20~23p (학생 소집 •교사 관찰 •직업 흥미 검사 결과 설명 •커리어넷 직업 흥미 검사(H) 실시
단 활동) 평가(서술형 ❶ 나의 직업 흥미 알아보기 •직업 흥미 검사 결과 설명
수행 평가) 6차시 7차시
❷ 직업 흥미 유형별 특성 알아보기 ❶ 나의 직업 흥미 알아보기
8차시
❷ 직업 흥미 유형별 특성 알아보기
(3) 내가 잘하는 자신의 특성 •강의 학습 과정 중심 평가: ※ 직업 적성 검사를 수업 전에 실시할 경우 ※ 직업 적성 검사를 수업 시간에 실시할 경우
것은 무엇 (적성 등) •개별 학습 •자기 평가 1차시로 진행 2차시로 진행
일까? 탐색 •협동 학습 •교사 관찰 7차시 9차시
24~27p (학생 소집 평가(서술형 •직업 적성 검사 결과 설명 •직업 적성 검사 실시, 결과 설명
단 활동) 수행 평가) ❶ 나의 적성 알아보기 10차시
❶ 나의 적성 알아보기
2. 대인 관계와 의사소통 역량 개발
차시 구성의 예
교수·학습
소단원 학습 주제 평가 방법
방법 68차시 (80% 운용시 55차시)
34차시 (85% 운용시 29차시)
※창체 프로젝트 학습 4차시 포함
(1) 대인 관계 상황에 맞는 •강의 학습 과정 중심 평가: 8차시 11차시
능력은 왜 대인 관계 •개별 학습 •자기 평가 ❶ 나의 대인 관계 분석하기 ❶ 나의 대인 관계 분석하기
중요할까? 능력 •협동 학습 •동료 평가 ❷ 미래 직업 생활에서의 갈등 예상 ❷ 미래 직업 생활에서의 갈등 예상하기
30~35p (역할극 • 역할극 수행 하기 12차시
활동) 평가 ❸ 역할극으로 대인 관계 능력 키우기 ❸ 역할극으로 대인 관계 능력 키우기
• 교사 관찰
평가(서술형
수행 평가)
(2) 효과적인 효과적인 의 •강의 학습 과정 중심 평가: 9차시 13차시
의사소통을 사소통 방법 •개별 학습 •자기 평가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설명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설명
위해 무엇이 •협동 학습 (자기 이해 •나의 의사소통 능력 점검 •나의 의사소통 능력 점검
필요할까? (학생 소집 척도표) 10차시 14차시
36~41p 단 활동) • 교사 관찰 ❶ 의사소통 이해하기 ❶ 의사소통 이해하기
평가(서술형 ❷ ‘경청’으로 의사소통하기 ❷ ‘경청’으로 의사소통하기
수행 평가) ❸ ‘나 전달법’으로 의사소통하기 15차시
❹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하기 ❸ ‘나 전달법’으로 의사소통하기
❹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하기
Ⅰ .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87
중등직업_지도서_1단원(82~133)_3.indd 87 2017-07-25 오후 1:1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