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4
P. 94









উ 도입بࣁࠗ ૑


1-1 문제 파악 질문 제시

1. 자아 이해와 긍정적 자아 개념 형성
나는 얼마나 소중한 존재일까? 청소년기가 되면 ‘나에게 어떤 능력이 있을까? 나는 무엇을 잘할 수 있을까?’ 등 자신 ݺਗױੑ ૕ޙ ࣗب
01 나는 얼마나 소중한 존재일까?
행복한 아이와 행복하지 않은 아이의 차이는 자 에 관하여 여러 가지 질문을 한다. 이러한 질문에 스스로 답을 해 보는 것은 진로 설계 بੑ ૕ޙ ੄ب
의 기초를 마련하는 과정이므로,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그 답을 찾아야 한다.
자신의 능력이나 특성을 존중하고, 강점은 발전시키 •주사위 놀이로 특성 이해하기 •나의 강점과 약점 알아보기
학습 활동 강점
존감에 있다고 한다. 따라서 자존감을 높이는 것은 학생들에게 목표 며 약점은 보완할 수 있다. 과제 •나의 특성 표현하기 •모방 시 짓기로 자아 존중감 높이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자신의 능력, 특성, 강점, 약점 등을 객관적으 남보다 우세하거나 더 뛰어난 점
로 이해하고 소중하게 여기는 자아 존중감이 필요하다. 자아 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학
중요하다. 질문을 통해 스스로를 얼마나 소중하게 여기는지, 업이나 진로 탐색 등 주어진 일을 잘 해낼 수 있다고 믿는 자기 효능감도 높다. 자아
열려라!
생각 네가 가진 것을 봐 자아 존중감과 자기 효능감이 잘 형성된 사람은 자신을 사랑하고 긍정적인 자세로 자기 자신에 관하여 가지고 있
는 의식이나 생각
실제로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여 그것을 발전시킨다. 따라서 미래를 준비하는 청소년기에는
자신만의 능력과 특성을 소중히 여기며, 약점은 보완하고 강점은 발전시킬 수 있는 자기 효능감
어느 날, 공작이 신에게 불평하였다.느 날, 공작이 신에게 불평하였다.느 날, 공작이 신에게 불평하였다. 어떤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자
어 어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자세는 자신의 진로를 찾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신에 대한 믿음과 확신 زഝࢎ Ү
밑바탕이 된다.
• 핵심 질문과 도입 질문을 제시하면서 이 단원을 학습하는 까닭 꾀꼬리는 저도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를 잘하고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방법
을 학생들이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멋지게 노래하는데, 싶다고요.
저는 왜 못하죠?
࢚ ਬ੄੼↟ب↟૑
설명만으로 수업을 진행하다 보면 지루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예시를 자신을 칭찬하기
마음의 소리에
마음의 소리에
통해 접근하는 것이 좋다. 삶의 목적을 가지기 귀 기울이기
삶의 목적을 가지기
비단실로 짠 무지개처럼
화려한 꽁지를
갖고도 불평이라니
1-2 문제 파악 학습 동기 유발 정말 욕심이 많구나.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소속감을 가지기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소속감을 가지기
زഝࢎ Ү
•출처: 이솝·라퐁텐, 『이솝·라퐁텐 우화』. 재구성
•<열려라! 생각>을 학생들과 함께 읽는다.
•도입 질문으로 학습 동기를 유발한다.
자신을 다른 사람과
자신을 다른 사람과 실수했을 때도
보고 내가 비교하지 않기 자신을 존중하기
내가 신이라면 공작에게 어떤 말을 했을까?신이라면 공작에게 어떤 말을 했을까?
- 공작새처럼 자주 이야기하는 여러분의 불만은 무엇인가요? 묻기
•짝과 함께 간단한 역할극을 해 보도록 유도한다. 14 Ⅰ .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1. 자아 이해와 긍정적 자아 개념 형성 15
• 한 명은 공작새, 한 명은 신이 되어 서로 이야기한 후, 역할을 바꾸
어서 역할극을 하도록 한다.
• 역할극을 한 후 느낀 점을 간단히 이야기해 보면서 본문으로 들어
੗ܐ Ҋଵ
가도록 한다.
ࢿҳ੄ х੗ઓ хè ੗ই ઓ઺ زഝ೟ࢤ
• 〈열려라! 생각>과 동영상을 보면서 나의 자존감에 대해 생각해
자신에 대한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이 매우 가치 있고 능력이 있
본다.
긍정적 이미지 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자신의 판단을 믿고 신뢰한다.
৔࢚ ੗ܐ 자존감이 높다는 것은 타인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이미ز
• 마이크임팩트 TV, ‘아름답지만 자존감이 낮은 당신을 위한 영상’(1분 52초) 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타인과의
타인에 대한 관계에서 행동으로 드러난다. 혼자 해결할 수 없는 곤
8&# https://www.youtube.com/watch?v=jGzhWrIzDvg
긍정적 이미지 란한 상황에 처하면 기꺼이 도움을 청하고, 타인에게
• 「법륜 스님의 희망 세상 만들기」 채널, ‘자존감과 열등감(모음)’(48분 18초)
자신의 약점과 강점을 있는 그대로 드러낸다. 따라서
8&# https://www.youtube.com/user/jtinfo5 진솔하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다.
1-3 문제 파악 학습 목표 확인 세상에 대한 세상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면 세상은 재미
있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많은 곳이라고 생각하게
긍정적 이미지
಴ 되어 기꺼이 새로운 일에 도전한다.ݾ ب૑
•자신의 능력이나 특성을 존중하고, 강점은 발전시키며 약점은 출처: 김은실·손현동 저,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 ߊх보완할 수 있다. è ੗ઓ
자존감은 자신을 얼마나 유능하고 가치가 있으며, 중요하고 꼭 필요한 زഝࢎ Ү
존재로 여기는지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가정, 학교, 주위 환경, 개인
• 학습 목표를 통해 학생들에게 자신의 능력이나 특성, 강점, 약
의 내적 요인에 따라서도 발달한다. 유아기에는 양육자에 의해 기본적
점 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존중하는 자존감에 대해 알아
인 틀이 형성되지만 그 후에는 양육자뿐 아니라 교사나 또래처럼 자
보는 시간이라는 것을 인식시킨다. 신에게 의미 있는 사람들에 의해 그 발달 정도가 변할 수 있다. 즉,
자존감은 일정한 시기에 형성되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험
࢚ ਬ੄੼↟ب↟૑
을 통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달한다.
설명만으로 수업을 진행하기보다 동기 유발 동영상 자료나 우화의 내용
을 학습 목표와 연관 지어 생각하도록 유도한다.



92 각론






중등직업_지도서_1단원(82~133)_3.indd 92 2017-07-25 오후 1:12:53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