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1
P. 91









(3) 임금 형태

임금 형태는 근로자의 임금 계산 방법 및 지급 방법을 말하며, 크게 시간급, 능률급, ERP 기출 문제
연봉제, 임금 피크제 등으로 구분한다. 근로자의 계속 고용을 위하여 일
정 연령 이후 근로자의 임금을 일
정 비율씩 감소하도록 임금 체계
를 설계하는 대신 소정 기간 동안
일급, 주급, 월급 등과 같이 근로자의 노동 성과를 측정하 고용을 보장하는 임금 형태는 무
엇인가?
수행한 작업 양이나 질에 관 여 근로자의 작업이나 업무 성
계없이 근로 시간을 기준으 과 정도에 따라 임금을 산정하 ① 연공급
로 하여 지급되는 임금 형태 여 차등 지급하는 임금 형태 ② 성과급
③ 인센티브
④ 임금 피크제

시간급 능률급
(고정급) (성과급)



임금 형태





임금 피크제 연봉제





근속 연수에 따라 임금이 상 근로자 개개인의 능력, 성과,
승하는 연공제에서 정년을 업적 등과 관련된 목표의 달
몇 년 남겨 놓은 시점에 임금 성도를 평가하여 임금의 전부
액이 점점 줄어드는 제도 또는 상당 부분을 연 단위로
책정하여 지급하는 제도

 임금 형태의 분류




ERP 충전소 시간급(고정급), 능률급(성과급), 연봉제의 장단점


시간급(고정급), 능률급(성과급), 연봉제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구분 장점 단점

시간급 • 임금 계산이 간단하며, 일정액의 임금 보장 • 비효율적인 작업 능률
(고정급) • 근로자 간의 경쟁과 마찰이 없음. • 구성원에게 동기 부여가 어려움.
• 임금의 합리성과 공평성
능률급 • 생산성 향상 • 생활의 안정을 위협받을 수 있음.
(성과급) • 제품의 품질 저하 우려 있음.
• 감독의 필요성이 줄어듦.
• 평가 결과의 객관성과 공정성에 시비가 제기될 수 있음.
• 능력주의, 성과주의, 책임 경영을 실현할 수 있음. • 연봉액이 삭감되면 근로자의 사기가 저하될 우려 있음.
연봉제
• 우수한 인재 확보에 유리하며, 임금 관리가 용이함. • 근로자 간에 불필요한 경쟁심이나 위화감이 조성될 수
있음.



2. 임금 및 복리 후생 관리 89






기업자원통합관리-본문2(076-141)-0515.indd 89 2017-07-17 오전 11:48:57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