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9 고 체육탐구
P. 119









⑶ 인체의 기계 작용

인체 지레는 대부분 많은 힘을 들여서 속도와 운동 범위를 크게 하고, 기계 지레는
비교적 적은 힘으로 큰 저항을 이겨낸다. 이러한 지레의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면 인
체 기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❶ 인체 지레

인체 지레는 인체 분절의 형태를 구축하는 뼈가 지렛대 역할을 하고, 그 뼈를 움직 지레의 3요소
 받침점(A): 움직임의 받침대가 되는
이는 근육의 부착점에 힘점이 위치한다. 또한, 이동 분절의 무게 중심 및 그 분절에 지점
가해진 외적 부하가 가해진 곳에 저항점이 위치한다. 즉, 해당 인체 분절 운동의 중  저항점(R): 저항이 집중되는 지점
 힘점(F): 힘이 작용하는 지점
심인 관절이 곧 받침점의 위치가 되며, 이러한 인체 지레 기능은 많은 힘을 들여 속
도와 운동 범위를 크게 얻는 특성이 있다.

❷ 지레의 유형

지레 시스템은 일의 양을 변화시키지는 않지만 많은 힘을 들여 속도와 거리 즉, 운 지레의 유형
동 범위에서 이득을 보거나 운동 범위에서는 이득을 보지 못하지만 적은 힘을 들여  1종 지레
F R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지레는 힘점, 저항점, 받침점(축)이 위치한 F FA RA R
F FA RA R
순서에 따라 세 가지 유형이 있다. FA RA
A
• 1종 지레 1종 지레는 받침점이 힘점과 저항점 사이에 위치한다. 받침점의 위치
A
에 따라 힘 팔이 저항 팔보다 길면 힘에서 이득을 얻고, 힘 팔이 저항 팔보다 짧  2종 지레 R A FA F
RA R F
으면 속도와 거리에서 이득을 얻는다. FA
RA R FA F
RA
| 1종 지레의  | A
A
A F R
 3종 지레 F RA
R FA R
A F RA R
FA RA
F R
FA
F A
A
A
A
F
▲ 상완 삼두근 신전 ▲ 가위 힘 팔과 저항 팔
 힘 팔(FA): 받침점에서 힘점까지의
거리
 저항 팔(RA): 받침점에서 저항점까지
F 의 거리
R

A
F
R
A
▲ V자 싯업 ▲ 삽질


116 Ⅱ. 체육과 과학 04. 체육의 역학적 원리와 적용 117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117 2018-07-19 오후 3:16:38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